• 제목/요약/키워드: 치상

검색결과 457건 처리시간 0.035초

생리활성물질 처리가 priming 고추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Activators on Germination of K3PO4-primed Seeds of Pepper (Capsicum annuum L.))

  • 황미란;김희은;최효길;권준국;강남준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113-118
    • /
    • 2012
  • 생리활성물질 처리가 priming 고추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ASM 0.1 mM 처리에서는 치상후 7일째 98%의 발아율을 보였으며 T50은 0.96일이였다. 그러나 ASM 0.5 mM 처리에서는 17%의 낮은 발아율을 보여 발아가 억제되었다. INA 0.01 mM 처리에서는 치상 후 2일째에 90% 이상의 발아율을 보였지만, 0.1 mM 처리에서는 치상 후 5일째에 90%의 발아율을 보였다. T50은 INA 0.01과 0.1 mM 처리에서 각각 0.65와 6.03일로 나타났다. BABA와 JA 처리는 priming에 의한 발아촉진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형질전환 감자에서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인 PAT gene의 간편한 확인 (The simple assay of phosphinothricin acetyltransferase gene on the transgenic potato)

  • 정재훈;양덕춘;방극수;최경화;한성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53-259
    • /
    • 1999
  • 제초제 bialaphos에 저항성인 phosphinothricin ace-tytransferase gene이 도입된 형질전환 감자 식물체에서 유전자의 간편한 확인방법을 확립하였다. 먼저 형질전환체와 대조식물체의 잎 disc를 취해 bialaphos 5mg/l를 처리한 액체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배양 25일이면 대조식물체의 잎 disc는 완전히 고사되어 형질전환체와 구별이 가능하였다. 감자의 뿌리 생육 비교실험에서는 bialaphos 0.5mg/l의 농도에 agar를 0.6% 첨가한 선발배지에서 식물체의 정단부위를 치상하여 비교하였을 때 7-10일이면 뿌리의 생육차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형질전환여부를 판정할 수 있었다. 또한 감자의 잎 disc를 제초제 bialaphos 0.5mg/l를 처리한 액체배지에 치상하여 15일이 경과한 후 chlorophyll A의 함량을 측정하였을때 형질전환체는 대조식물체보다 2.5배 정도 많은 chlorophyll A를 가지고 있어 형질전환체의 조기 판별시 chlorophyll A함량에 의해 검증이 가능하였다. 한편, 이렇게 형질전환 여부가 확인된 감자 식물체를 이용하여 PAT효소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 식물체에서는 PAT효소의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형질전환 식물체에서는 모두 효소의 활성이 높았다.

  • PDF

작물의 유전자 재조합을 위한 세포주의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Cell Lines for Application of Recombinant DNA Techniques in Crops)

  • 채영암;최규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5-200
    • /
    • 1985
  •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하여 유용한 유전자를 세포내로 이전시키거나 세포 수준에서 육종선발을 하기 위한 기술로서 원형질체를 나출, 배양하고 재분화시키는 과정과 세포주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원형질체 나출을 위한 잎의 표면 소독은 sodium hypochloride 2 %에서 3분간 침지하는 것이 소독율이 높았다. 2. 원형질체 나출 최적 효소농도는 cellulase 2 %와 macerozyme 0.5 %의 혼용이다. 3. 원형질체의 배양밀도는 1.4 - 2.0 $\times$ $10^4$/$m\ell$에서 치상효율이 높았다. 4. 배양배지는 배지 1에서 제일 양호하였다. 5. 배양 2 일 후에는 세포격이 완전히 재생되고 배양 4 일 후에는 세포분열이 시작되었다. 배양 2주 후에는 세포 덩어리를 형성하고 3주 후에는 육안으로 볼 수 있는 colony를 형성하였다. 6. Shoot 분화 배지에 치상한 calli는 치상후 25 일에 bud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Shoot분화에는 BA 1 -2 mg/$\ell$로 첨가한 경우 shoot분화율이 높았다. 7. 발근은 홀몬이 첨가되지 않은 MS 배지에서 양호하였고 현재 100여 개의 세포주에서 종자를 수확하였으며 차후 세포주의 특성과 변이성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 PDF

고추의 약배양 시 온도 전처리에 따른 소포자의 세포학적 변화 분석 (Cytological Analysis of Microspores during Temperature Pretreatment in Anther Culture of Capcicum annuum L.)

  • 김문자;장인창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63-271
    • /
    • 2001
  • 고추의 약을 배지에 치상한 후 4$^{\circ}C$와 32$^{\circ}C$의 온도 전처리가 소포자의 활력, 초기분열 및 소포자 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활력 있는 소포자의 비율은 모 식물에서 채취하여 치상할 당시에는 62~64%정도였으나 치상 후 온도처리 기간 중에는 매우 급속하게 저하되었다. 소포자의 활력은 4$^{\circ}C$ 처리에 비해 32$^{\circ}C$ 처리 시에 더욱 심하게 감소하였으며 배양 9일이 되면 온도처리와 관계없이 활력 있는 소포자가 거의 없었다. 치상 당시의 소포자는 대부분이 후기 1핵성 소포자기였으며 배양 2일 후부터 핵이 소실된 무핵 소포자들과 함께 다양한 유형의 다핵 소포자들이 나타났다. 배 발생적 소포자의 비율은 고온처리에서 높았으나 균등분열에 의한 동형2핵 소포자의 출현에는 온도처리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다핵 소포자들은 균등 또는 불균등 분열에 의해 생겨났다. $25^{\circ}C$와 32$^{\circ}C$ 처리에서는 배양 2일 후에 이미 퇴화 소포자들이 50% 이상이 되었는데 4$^{\circ}C$ 처리에서는 14일 동안 대부분의 소포자들에서 핵이 완전하였다. 소포자 배의 발생은 4$^{\circ}C$ 처리에 비해 32$^{\circ}C$ 처리에서 높았으며 가장 효과적인 고온처리 기간은 4일이었다. 이에 비해 4$^{\circ}C$ 처리에서는 2일 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처리기간이 길어질수록 소포자 배의 발생이 감소되었다.

  • PDF

올챙고랭이(Scirpus juncoides Roxb.) 종실(種實)의 휴면타파조건(休眠打破條件)에 관한 연구(硏究) (Dormancy - breaking Conditions of Bulrush(Scirpus juncoides Roxb.))

  • 허상만;구자옥;손보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2-109
    • /
    • 1986
  • 올챙고랭이 종실(種實)의 저장입지(貯藏立地), 저장온도(貯藏溫度)에 따른 휴면실성(休眠實醒) 차이(差異)와 함께 임실경과정도(稔實經過程度)가 다른 종실(種實)의 저장조건(貯藏條件) 및 발아치상조건간(發芽置床條件間)의 휴면소거(休眠消去)에 대한 상호작용성(相互作用性)을 파악(把握)하고 기존의 휴면각성제(休眠覺醒劑)에 의한 휴면각성효과(休眠覺醒效果)를 탐색(探索)할 목적으로 일련(一連)의 시험(試驗)을 통해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자연입지(自然立地)에서도 2-60%의 휴면소거효과(休眠消去效果)의 변이(變異)가 있었고 그 중에서도 논 2cm깊이의 매몰처리(埋沒處理)에서 휴면소거효과(休眠消去效果)가 가장 컸으며 발아치상(發芽置床)은 pot보다 Petridish의 노저상태하(瀘紙狀態下)에서 효과적(效果的)이었다. 2. 저장온도(貯藏溫度)는 $15^{\circ}C$보다는 $5^{\circ}C$의 저온(低溫)에서 휴면각성효과(休眠覺醒效果)가 가장 컸고, $25^{\circ}C$에서는 거의 소거효과(消去效果)가 기대(期待)되지 않았다. 3. 저장기간(貯藏期間)에 따른 휴면각성(休眠覺醒) 정도(程度)의 차이(差異)는 크지 않았으나 저장치상후(貯藏置床後) 10~60일 사이에서 효과(效果)가 높았다. 4. 발아종자(發芽種子)의 평균발아소요일수(平均發芽所要日數)은 발아율(發芽率)과 역상관(逆相關)을 나타내는 경향으로서 발아율(發芽率)은 휴면성(休眠性) 깊이에 따라 속도(速度)가 증감(增感)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5. 완숙(完熟) 및 중숙종실(中熟種實)보다 미숙종실(未熟種實)의 휴면각성(休眠覺醒)이 용역(容易)하였다. 6. 휴면각성제(休眠覺醒劑) 처리효과(處理效果)는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향상(向上)되는 경향이었고 발아치상(發芽置床) 조건(條件)에 따라 논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 처리효과(處理效果)가 특히 높았다. 7. 휴면각성제(休眠覺醒劑)의 효과(效果)는 흑색(黑色)이나 갈색종자(褐色種子)보다 녹색종자(綠色種子)에서 유의적(有意的)으로 컷고, 흑색(黑色) 및 갈색종자(褐色種子)에 대한 약제처리효과(藥劑處理效果)는 논 조건(條件)의 발아치상(發芽置床)에서만 가능(可能)하였다.

  • PDF

Mongolian gerbil의 뇌허혈에 대한 현삼의 신경보호효과 (Neuroprotective Effects of Scrophulariae Radix on Cerebral Ischemia in Mongolian Gerbils)

  • 이준환;송미연;이종수;김성수;신현대;정석희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11
    • /
    • 2008
  • 목적 : 뇌허혈은 일시적 혹은, 영구적 뇌동맥 폐색에 의한 뇌혈류의 감소로 유발되며, 허혈 부위에서는 복잡한 병태 생리적 과정을 통하여 신경 세포사가 초래되어 비가역적인 신경학적 손상을 일으킨다. 본 연구에서는 모래쥐를 대상으로 일시적인 전뇌허혈을 유발 시킨 후 해마 치상회에서 허혈로 인한 세포사멸을 관찰하고, 현삼(玄蔘)의 투여가 허혈로 유발된 해마 치상회에서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과 단기 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실험하였다. 연구방법 : 세포사멸은 DNA 분절을 나타내는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 (TUNEL) 염색법과 단백분해 과정의 마지막 단계에 발현되는 caspase-3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였고, 단기기억은 step-down avoidance task를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본 실험의 결과 일시적인 전뇌허혈은 해마 치상회의 세포사멸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단기기억을 감소시켰다. 현삼의 투여는 허혈로 증가된 해마 치상회의 세포사멸을 유의하게 억제하였고, 허혈로 인한 단기 기억의 감소를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결론 : 본 실험을 통하여 현삼은 뇌허혈로 증가된 세포사멸을 억제하고 단기 기억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현삼은 뇌허혈로 인한 뇌손상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는 바이다.

큰달맞이꽃 종자(種子)의 발아(發芽)에 미치는 광(光) 및 저장조건(貯藏條件)의 영향 (Effects of Light and Storage Condition on the Germination of Oenothera lamarckiana Seeds)

  • 김진석;황인택;구석진;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0-138
    • /
    • 1987
  • 광(光) 및 저장조건이 큰달맞이꽃 종자(種子)의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발아(發芽)는 적색광(赤色光)하에서는 양호하였으나 청색광(靑色光) 녹색광(綠色光) 초적색광(超赤色光) 또는 암조건(暗條件) 등(等)에서는 억제되었다. 종자(種子)의 유근부위(幼根部位)가 광(光)에 대하여 더욱 예민(銳敏)하였으며, 10 Lux 정도의 낮은 광도에서부터 발아반응(發芽反應)을 보이기 시작하여 3,000 Lux 까지는 광도(光度)가 증가됨에 따라 발아율(發芽率)도 증가되었다. 만윤(漫潤)과 광감응(光感應)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적어도 도 6시간(時間) 이상(以上) 만윤(漫潤)되어야 반응(反應)되기 시작하였고 최대감응시기(最大感應時期)는 3,000 Lux 조사(照射)의 경우 치상후(置床後) 1~2일(日)사이였고 3일(日)이면 발아(發芽)가 거의 완료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저온습윤종자(低溫濕潤種子)를 항온(恒溫) 또는 변온조건(變溫條件)에 치상(置床)하였을 때는 공(共)히 암조건(暗條件)에서 발아(發芽)되었으나 건조저장종자를 항온(恒溫) 암조건(暗條件)에 치상(置床)하였을 때는 전혀 발아(發芽)되지 않았다. 그러나 변온조건(變溫條件)에 치상(置床)하였을 때는 발아(發芽)되었으며 그 정도는 저온(低溫)저장 종자(種子)보다 실온(室溫)저장 종자(種子)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 PDF

Sclerotinia trifoliorum의 Spermatization에 관여하는 요인(要因)의 검색(檢索) -I. 균(菌)의 수정과정(受精過程) (Detection of the Factors Related to spermatization in Sclerotinia trifoliorum -I. Course of Fertilization)

  • 엄재열;김영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127-133
    • /
    • 1987
  • 콩과목초(科牧草) 균핵병균(菌核病菌) S. trifoliorum의 완전세대 형성과정중 수정(受精)의mechanism과 그 시기를 밝히고 균핵(菌核)내부의 해부학적(解剖學的) 구조변화의 양상(樣相)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본 실험에 공시(供試)한 S계통(系統)의 균주(菌株)에 있어서 수정가능상태(受精可能狀態)에의 도달은 균핵(菌核)을 포화습도(飽和濕度) 15C에 치상(置床)한 후 18일 경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수정가능상태(受精可能狀態)는 일부의 균핵(菌核)에서 치상(置床) 후(後) 45일 경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本) 균(菌)의 균핵(菌核)이 수정가능상태에 달하게 되면 균핵(菌核)의 교배형(交配型)과 관계없이 그 내부에 염색성(染色性)이 강한 균계집단(菌系集團)이 출현하였는데 이들의 진전과정을 homothallic 계통(系統)과 heterothallic 계통(系統)에서 비교 검토한 결과, ascogonium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들 ascogonium은 치상 후 약 45일 경까지 지속적으로 관찰되었으나 치상 39일 경부터 퇴화되어 가는 것이 관찰되었다. 균핵내부에서의 ascogonium의 출현 지속기간과 균핵의 수정가능기간이 서로 잘 부합되었다.

  • PDF

액아배양을 통한 야생 백하수오(Cynanchum wilfordii)의 기내증식 (In Vitro Propagation of Wild Cynanchum wilfordii Through Axillary Bud Culture)

  • 이수광;이송희;강호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2호
    • /
    • pp.172-177
    • /
    • 2011
  • 본 연구는 야생 백하수오를 대상으로 기내증식의 최적 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내 종자발아를 위하여 야생 백하수오 종자를 $GA_{3}$ 용액(100 ppm)에 24시간 침지처리 후 1.0 mg/L BA가 첨가된 WPM 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91.6%의 발아율을 보였다. 신초 증식은 1.0 mg/L $GA_{3}$가 첨가된 배지에서 최대 5.2 cm까지 신초가 신장하였으나 비정상적으로 생장하여 결국 고사하였고, 신초를 0.1 mg/L BA가 첨가된 배지에 치상 4 주 후 2.4개의 신초를 획득하였다. 발근은 식물생장조절제(Plant Growth Regulators, PGRs)를 첨가하지 않은 환기처리 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3개의 뿌리가 분화되었고, 0.1 mg/L NAA가 첨가된 환기처리 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2 cm로 가장 높게 유도되었다. 기외이식 후 생존율은 기내에서 환기 전처리한 개체군이 7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삼이 흰쥐의 치상회에서 알코올에 의한 새로운 신경세포 생성 및 nitric oxide synthase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nseng radix on Alcohol-induced Decrease in New Cell Formation and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 Dentate Gyrus of Rats)

  • Min-Chul, Shin;Ee-Hwa, Kim;Youn-Hee, Kim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6-32
    • /
    • 2002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독성에 대하여 흰쥐의 치상회에서 새로운 신경세포의 생성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발현에 인삼이 미치는 영향을 5-bromo-2-deoxyuridine (BrdU) 면역 조직 화학법 및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diaphorase (NADPH-d) 조직화학법을 통해서 관찰하고자 한다. 방법 : 실험동물을 정상군, 인삼처치군, 알코올처치군 및 알코올-인삼 처치군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실험군에 3일간 BrdU (50mg/kg)를 복강주사하였다. 인삼처치군은 30mg/kg 용량의 인삼 전탕액을 중완혈에 약침주사하였고, 알코올 처치군은 2 g/kg 용량의 알코올을 투여하였으며. 알코올-인삼 처치군은 2 g/kg 용량의 알코올 및 30mg/kg 용량의 인삼 전탕액을 투여한 후 각각의 BrdU 양성 세포수와 NADPH-d 양성세포수를 관찰하였다. 결과 : 알코올 투여군은 BrdU 양성세포 및 NADPH-d 양성세포 발현이 감소하였으나, 인삼 및 알코올 인삼처치군에서는 알코올 투여군에 비해서 모두 증가하였다. 결론 : 인삼은 알코올에 의해서 유발된 새로운 신경세포 생성의 감소에 대하여 보호효과가 있으며, 알코올에 의해서 부가적으로 영향 받는 산화질소는 세포생성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려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