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상

검색결과 457건 처리시간 0.032초

식물조직배양 자동화를 위한 로봇개발 - 엔드이펙터 및 시스템의 성능시험 - (Development of a Robot for Automation of a Callus Inoculation)

  • 정석현;노대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7-94
    • /
    • 2009
  • 본 연구는 식물체 캘러서의 접종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로봇개발을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본 보에서는 로봇의 주요구성부인 엔드이펙터 및 전체 로봇시스템의 성능에 대한 연구결과를 소개하였다. 이에 본 보에서 소개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캘러스 접종을 위하여 흡인식 엔드이펙터와 기계식 엔드이펙터를 제작하였으며, 흡인식은 분리 및 치상의 겸용, 기계식은 분리 분할 치상용으로 각각 분리하여 제작하였으며, 흡인식 엔드이펙터의 성능시험 결과, 평균 8.2kPa의 흡인압에서 캘러스가 깨끗이 분리되었으며 분리된 캘러스를 새배지로 치상 고정히는데 소요되는 적정 배출압은 12kPa로 나타났다. 또한 기계식 엔드이펙터를 이용한 접종공정 자동화 시스템의 성능시험으로서 분할, 파지, 이송 및 치상 작업 성능을 시험한 결과 분할에서는 97%, 분할된 캘러는 모두 정확하게 파지되었으나, 치상하기 위하여 새로운 배양용기로 이송하는 과정에서는 일부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95%의 성능을 보였고 이송된 캘러스는 모두 정확하게 치상이 기능하였다. 따라서 분할하여 치상할 총 80개의 캘러스 가운데 74개가 정확하게 작업되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성공율은 92%였다. 또한 식물 조직 배양 자동화 공정에 사용되는 로봇에 있어서 엔드 이펙터를 장착하게 되는 매니퓰레이터로서는 6자유도의 매니퓰레이터를 선정하였다.

배지, 생장조절물질 및 치상조직이 지황 체세포조직으로부터 식물체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um , Plant Growth Regulators , and Explant Sources on Plant Regeneration of Rehmannia glutinosa)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4-99
    • /
    • 1997
  • 1. 지황의 잎조직과 줄기조직을 생산조절물질이 첨가된 MS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Quincrac, NAA, 2.4-D에서 보다 TDZ에서 더 많은 신초분화가 일어났다. 뿌리분화는 신초분화가 잘되었던 TDZ에서와는 달리 NAA가 첨가된 배지에서 잎조직을 치상했을 때 분화가 많이 일어나TEk. 2. 지황의 잎조지과 줄기조직을 $B_5$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Quinerac, NAA, 2.4-D에서보다 TDZ에서 신초분화가 많이 일어났다. $B_5$배지에서는 Quincrac, NAA, 2.4-D 모두 0.01mg/l에서 분화가 일어났다. 뿌리의 분화에서 $B_5$배지에서는 NAA, TDZ 모두 분화가 잘 되었다. $B_5$배지에서는 Quincrac과 2.4-D에서도 뿌리분화의 효율이 높았다. 3. 2.4-D와 TDZ 생장조절물질을 조합처리한 MS배지에 지황의 잎과 줄기조직을 치상한 결과 신초수와 길이는 2.4-D 0.01mg/l와 TDZ 0.01, 0.1, 2(${\mu}M$)의 조합처리에서 가장 많은 신초분화수와 길이를 나타냈다. 2.4-D와 TDZ을 조합처리한 $B_5$배지에 지황의 잎과 줄기조직을 치상한 결과 신초수와 길이는 MS배지에 치상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2.4-D 0.01mg/l와 TDZ 0.1, 2.0(${\mu}M$)의 조합처리에서 신초분화가 일어났다.

  • PDF

1대잡종 벼의 발아시 종실내 성분함량의 변화와 발아율 및 초기생육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in Hybrid Seed during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Hybrid Rice)

  • 이덕배;권태오;박석홍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12-419
    • /
    • 1994
  • 발아기에 있어 1대 잡종벼의 종실내성분함량 변화, 발아율 및 생육에 대한 Heterosis현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1대잡종벼인 V20A/청청벼, IR62829 A/청청벼와 이들의 양친(유지계통;V20B, IR628 29B, 회복계통:청청벼)및 비교품종으로 삼강벼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대잡종벼는 양친(유지계통, 회복계통)이나 비교품종보다 발아율이 높아 발아잡종강세를 나타내었으며 잡종강세 정도는 발아초기가 발아후기 보다 켰고, 1대잡종벼 조합간에는 IR62829 A/ 청청벼가 V20A /청청벼보다도 켰다. 2. 발아 중 현미내 유리아미노 산 함양에 있어 1대잡종벼는 양친이나 비교품종보다 높았으며 또한 치상후 24시간에서 48시간 사이에 감소되는 양도 많았다. 질소함양(Amnonia-N, Nitrate-N, Nitrite-N)에 있어서는 IR62829A/청청벼 조합은 양친이나 비교품종보다 대체로 높으나 V20A/청청벼 조합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3. 현미중 무기성분함양은 치상전보다 치상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P_2O_5$함량은 증가하였으나 $K_2$O, MgO함량은 감소되었고 CaO함량은 변화가 없었으며, $P_2O_5$는 치상후,$K_2$O, MgO함량은 치상전후 1대잡종벼가 양친이나 비교품종보다 잡종강세를 보였으나 CaO함량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4. 치상전, 후 전당함양은 1대잡종벼가 양친이나 비교품종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치상전에 비하여 치상후 48시간째 증가율에 있어서도 높았는데 V20A/청청벼 보다는 IR62829A/청청벼 조합이 전당 증가율 및 전분 감소율이 월등히 켰다. 5. 치상후 현미중 a-amylase활성에 있어 1대잡종벼가 양친 및 비교품종보다 활성이 커 잡종강세를 나타내었으며 발아율과 a-amylase 활성과는 고도의 정의 유의상관이 있었다. 6. 파종 10일후 묘의 생육에 있어서도 1대잡종벼가 양친이나 비교품종보다 건물중, 초장 등에서 잡종강세를 나타내었으며 묘의 생육과 a-amylase 활성간에는 유의한 정의상관이 있었다.

  • PDF

1900년대 초반의 기록사진과 디지털 카메라 사진분석을 활용한 광화문 앞 해치상의 원위치 추정 (Estimation of the Original Location of Haechi (Haetae) Statues in Front of Gwanghwamun Gate Using Archival Photos from Early 1900s and Newly Taken Photos by Image Analysis)

  • 오현덕;남호현;유영식;김정곤;강기택;유우식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91-504
    • /
    • 2021
  • 경복궁 광화문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해체 이전되었다가 한국전쟁 과정에서 소실되었다. 1968년에 철근 콘크리트로 중건되었다가 정확한 복원을 위해 다시 해체되어 2010년 현재의 위치에 세워졌다. 광화문 앞에 놓여져 있던 한 쌍의 해치상도 해체되어 방치되어 있다가 원위치에서 수차례 이탈해 본래의 위치를 찾지 못하고 현재에 이르고 있다. 서울특별시와 문화재청이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의 일환으로 월대와 해치상을 복원하기로 함에 따라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00년대 초반의 기록사진과 새롭게 찍은 디지털 카메라 사진에 대한 이미지분석을 통하여 해치상의 원위치를 추정하는 방법과 결과를 제안한다. 기록사진의 촬영 위치를 찾아 재촬영하고 찾고자 하는 피사체와의 각도와 거리를 계산하여 일제 강점기 이전의 해치상의 원위치를 추정하는 데 성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왼쪽 해치상의 위치는 현재의 왼쪽 해치상 표시석의 중앙을 기준으로 동쪽으로 약 9.6 m, 북쪽으로 약 7.4 m 지점에 있으며, 오른쪽 해치상은 현재의 오른쪽 해치상 표시석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쪽으로 약 1.9 m, 북쪽으로 약 8.0 m 지점에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기록사진을 이용한 건축물의 위치복원을 시도한 사례가 국내외에서는 처음이나 문화재복원에 대한 새로운 과학적인 방법론으로서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

땅콩발아시 저장단백질의 변화 (Change in Storage Protein during Germination of Peanut Seed)

  • 김종진;박재욱;신동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64-570
    • /
    • 1994
  • 땅콩 품종에 있어서 종자발아 동안에 단백질의 함량 및 pattern(subunits)의 변화를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땅콩의 저장단백질 패턴이 다른 남대와 대광의 자엽부에 대한 함수율의 변화는 거의 비슷하였으나 배축부에서는 치상 2일과 3일에 남대가 75.0%, 89.1%였고, 대광이 66.0%, 83.5%로서 남대가 다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가용성 단백질의 함량 변화는 남대와 대광 두 품종 공히 자엽부에서는 2∼3일, 배축부에서는 치상 1∼2일 사이에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치상 5일에 자엽부에서는 28∼29%, 배축부에서는 10%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남대와 대광 두 품종의 arachin의 함량은 자엽부, 배축부에서 모두 남대 품종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발아 동안에 생성된 new protein은 자엽부에서 3일, 배축부에서 2일에 최고량을 보였다. arachin type이 상이한 남대와 대광 품종에서 발아동안에 대광의 자엽부에서만 치상 2일경부터 16kD의 band를 나타내었다.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남대와 대광 품종의 자엽부에서는 66, 43, 40, (35.5)kD의 subunit들이 현저히 감소되어 치상 4일경에 소실되었고, 21.5∼23.0kD의 subunits는 완만한 감소로 유지되었으며, 14∼16kD의 low polypeptides는 점차 승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배축부에서도 치상 2일 동안에 자엽부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세포 증식과 COX 2 발현에 미치는 봉독의 효과 (Effect of bee venom on cell proliferation and cyclooxygenase 2 expression in the dentate gyrus of mice with acetic acid induced hyperalgesia)

  • 류은경;최도영;이재동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12-122
    • /
    • 2003
  • 연구 배경 및 목적 : 봉독은 항염증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세포 증식과 관련된 봉독의 효과에 대한 고찰을 위해 본 연구(硏究)에서는, 봉독(蜂毒) 약침(藥鍼) 자극(刺戟)이 아세트산 유발(誘發) 통각(痛覺) 과민증(過敏症)을 가진 쥐의 치상회(齒狀回)에서의 세포(細胞) 증식(增植)과 COX2 발현(發現)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방법 : 대조군, 아세트산 처치군, 아세트산 0.1mg/kg 봉독 처치군, 아세트산 1mg/kg 봉독처치군(n=5 in each group)의 네 군으로 나누고 해당 군에 일벌 봉독(蜂毒)(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을 양측 족삼리 경혈(ST36)에 주입시키고 30분 후 아세트산(100% acetic acid 1% 용액의 0.5ml)을 복강내로 주입하여 복부 긴장 회수를 세었으며, BrdU 양성, COX 2 양성 세포수를 면역 화학 조직법을 수행하여 세어 보았다. 결과 : 아세트산 처치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5 bromo 2' deoxyuridine 양성 세포의 수는 감소(減少)되며, 치상회(齒狀回)에서의 COX 2의 발현(發現)은 증강(增强)되는 것으로 보여졌다. 봉독(蜂毒) 주입(注入)은 아세트산 유발(誘發) 복부(腹部) 긴장(緊張) 횟수와 치상회(齒狀回)에서의 COX2 발현(發現)을 억제(抑制)하여, 치상회(齒狀回)에서의 세포(細胞) 증식(增植)을 증가(增加)시켰다. 결론 : 이번 결과(結果)에서 보면, 치상회(齒狀回)에서의 COX 2의 발현(發現)은 세포(細胞) 증식(增植) 억제(抑制)와 관련(關聯)되며 봉독(蜂毒)은 COX 2 발현(發現) 억제(抑制)를 통해 치상회(齒狀回)에서의 새로운 세포(細胞) 형성(形成)을 증가(增加)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의 절편위치 및 치상방법에 따른 기내증식 및 미세삽목 (Effect of explant's position and culture method on shoot proliferation and micro-cuttings for a rare and endangered species,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 이나념;김지아;김용욱;최용의;문흥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228-234
    • /
    • 2015
  • 본 실험은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인 미선나무의 효과적인 증식을 위하여 줄기 증식, 생장 및 발근에 미치는 절편의 위치 효과 및 치상 방법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줄기유도는 BA를 처리한 액아절편 배양이 효과적이었으며 절편 당 2.4개의 줄기가 유도되었다. 정아 및 액아절편을 BA 1.0 mg/L를 전처리하여 수평과 수직으로 치상하였을 때 줄기유도는 액아 절편의 수직치상으로 절편 당 2.5개로 가장 좋았다. 반면 줄기의 생장, 발근 및 뿌리 발달은 정아절편의 수직치상에서 양호하였고 BA의 전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발근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기내증식된 줄기의 정아 및 액아를 절편으로 기외에서 미세삽목(micro-cutting)을 실시하여정아절편에서 100% 발근되었고, 뿌리수는 개체 당 평균 6.2개로 가장 양호하였다. 미세삽목묘는 온실에서 95% 이상 순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미선나무의 기내 증식은 액아를 절편으로 BA 처리 후 수직 치상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며, 줄기의 생장 및 발근은 정아를 절편으로 수직치상 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아를 절편으로 미세삽목을 통해 효과적인 발근 유도 및 순화가 가능하여 미선나무의 실용적인 묘목생산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발아조건 및 휴면타파 처리에 따른 수단그라스(Sorghum sudanense(Piper.) Stapf) 품종별 발아검정

  • Young-Jun Moon;Ji-Su Kyeong;Chae-Yeon Kwon;Ji-Yeong Jung;Seon-Yeong Im;Dong-Jin L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8-38
    • /
    • 2022
  • 녹비작물은 천연비료로서 화학비료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농업분야에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사용하고 있다. 녹비작물을 이용하여 지속가능한 친환경 농업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화본과 녹비작물은 두과 녹비작물에 비해 탄소 물질의 함량과 biomass가 상대적으로 높아 토양 내 유기물증진을 위한 재배에 적합하다. 이에 화본과 녹비작물 중 하나인 수단그라스의 발아 및 휴면특성 검정을 진행하여 발아 적정조건을 찾아 유기종자 생산기술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단그라스 4품종(GW104G, Cadan99B, TE-Evergreen, Sweet home)을 공시품종으로 사용하였다. 표준발아검사에 따라 각 품종별 종자를 100립씩 3반복 치상하여 10일간 발아검정 진행 후 발아율, 발아세, 평균발아일수, 발아속도를 조사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침종시간 및 치상온도별 실험으로 시간별(무처리/5/10/15/20/25hr)로 침종한 후, 생장상(10/20/30/40℃)에 보관하여 정상아 개수를 파악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휴면타파 실험으로 1~5일 동안 종자를 예냉(무처리/5/10/15℃)과 고온(50℃) 처리한 후, 첫 번째 실험 결과에 따라 발아 최적 조건(침종 20hr, 치상온도 20℃)에서 발아시킨 후 정상아 개수를 파악하였다. 수단그라스 4품종의 치상온도별 발아율은 20℃에서 평균 92±6.9%로 가장 높았으며, TE-evergreen의 경우 치상온도 10℃에서 10시간, 20℃에서 20시간, 30와 40℃에서 15시간 침종한 값이 유의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수단그라스 4품종의 평균발아일수(MGT)는 침종 20시간과 치상온도 30℃일 때 평균 1.21±1.14일로 가장 빨랐으며 발아속도(GR)는 침종 20시간과 치상온도 20℃의 조건일 때 89.9±5.92로 가장 빨랐다. 수단그라스 4품종의 휴면타파 온도별 발아율은 10℃에서 평균 92±9.3%로 가장 높았다. TE-evergreen의 경우 휴면타파 온도 5, 10, 15℃에서 4~5일 동안 처리한 값이 무처리와 50℃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수단그라스 발아검사 결과, 20시간 침종 후 20~40℃에서 2~3일간 발아시킬 경우 90%이상의 발아율을 보이므로 파종을 위한 종자 전처리를 할 경우 이와 같은 조건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2세 유아에서 발생한 고도 전위성 치상돌기 골절의 보존적 치료 (Conservative Management for a Highly Displaced Dens Fracture in a Two-Year-Old Child)

  • 임성준;김건중;김용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530-534
    • /
    • 2021
  • 소아, 특히 유아의 치상돌기 골절은 매우 드물고, 따라서 그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정립된 기술을 쉽게 볼 수 없다. 특히 전위가 심한 경우 보존적 혹은 수술적 치료 중 무엇을 적용해야 할지 결정하기가 어렵다. 이론적으로 수술적 고정을 통해 골절의 조기 정복과 견고한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작고 연약한 소아에서 안전하게 수행되기가 쉽지 않고, 환축추 관절의 영구적 고정이라는 문제가 남는다. 저자들은 교통사고로 발생한 2세 여아의 고도 굴곡 전위된 치상돌기 골절 1예를 보존적으로 치료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 체험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볼로냐 라가치상을 수상한 한국 그림책의 면지 유형 (The Endpaper Types of Bologna Ragazzi Award Korean Picturebooks)

  • 남아름;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327-33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 면지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2022년 현재까지 볼로냐 라가치상을 수상한 한국 그림책 25권의 면지 유형을 세 가지 기준('앞뒤면지 동일성', '미술 유형', '콘텐츠 유형')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분석한 결과, 앞뒤면지가 서로 상이한 그림책이 약간 더 많았고, 면지의 미술 유형은 삽화, 패턴, 단색 순으로 나타났으며, 콘텐츠 유형으로는 페리텍스트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볼로냐 라가치상을 수상한 한국 그림책의 면지가 서사와 관련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면지의 심미적, 서사적 역할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