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면열구전색제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1초

S-PRG filler를 함유한 치면열구전색제의 미세누출 및 항우식효과 (Microleakage and Anticariogenic Effect of S-PRG Filler-containing Pit and Fissure Sealant)

  • 신승우;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47-252
    • /
    • 2013
  • 치면열구전색은 생물막의 축적을 물리적으로 막아주며 박테리아에 의해 형성되는 산물질에 화학적 장벽 역할을 한다. 1999년 S-PRG(Surface reaction-type pre-reacted glass ionomer) 필러기술이 개발되었는데 S-PRG 필러는 수분 존재 하에서 스스로 분해되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불소유리가 가능하다. 이에 저자는S-PRG 필러를 포함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의 미세누출 및 인접 법랑질에 대한 항우식 효과를 기존의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와 비교해 보고자 한다. 건전한 소구치, 대구치를 실험대상으로 사용하였다. S-PRG 필러를 함유해 불소를 유리하는 치면열구전색제 Beautisealant$^{(R)}$(Shofu, Japan)를 실험군으로,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 Concise$^{(R)}$(3M ESPE, USA)를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미세누출실험을 위해 실란트 변연 1 mm를 제외한 나머지 치아에 손톱광택제를 2회 도포 후 2% 메틸렌블루 용액에 24시간 동안 보관 후 수세하였다. 항우식효과의 평가는 인공우식용액에 9일간 보관 후 수세 후 시행하였다. 수세한 시편들은 투명레진에 매립 후 현미경 관찰을 위해 절단하였다. 통계분석은 미세노출의 정도는 Chisquare test를, 측정된 우식의 깊이는 Mann-Whitney test를 이용해 두 군 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S-PRG 치면열구전색제와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의 미세누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S-PRG 치면열구전색제는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 보다 더 높은 항우식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S-PRG filler를 포함한 치면열구전색제의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미생물 특성에 관한 연구 (Antibacterial Properties of Pit and Fissure Sealant Containing S-PRG filler on Streptococcus mutans)

  • 안진선;박호원;서현우;이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2-311
    • /
    • 2015
  • 본 연구는 Planktonic growth inhibition test와 CDC Biofilm Reactor를 사용한 Biofilm assay를 통해 S-PRG filler를 함유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의 S. mutans에 대한 항미생물 효과를 기존의 치면열구전색제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S-PRG 필러를 함유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인 BeautiSealant, 불소를 방출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인 Clinpro$^{TM}$ sealant, 불소 미방출 치면열구전색제인 Concise$^{TM}$ sealant를 실험군으로 선정하였다. 성장억제평가를 위해 치면열구전색제를 사용하지 않은 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3개의 실험군 모두 대조군보다 유의할 정도로 낮은 집락 형성 단위를 보였고, Clinpro$^{TM}$ sealant가 BeautiSealant와 Concise$^{TM}$ sealant보다 유의할 정도로 낮은 집락 형성 단위를 보였다. BeautiSealant와 Concise$^{TM}$ sealant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바이오 필름 평가에서도 Clinpro$^{TM}$ sealant군이 BeautiSealant와 Concise$^{TM}$ sealant군들에 비해 유의할 정도로 낮은 집락 형성을 보였으며, BeautiSealant와 Concise$^{TM}$ sealant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S-PRG filler를 포함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인 BeautiSealant는 기존의 불소방출 치면열구전색제에 비하여 낮은 항미생물 효과와 높은 바이오 필름 형성능을 보였다.

파손된 치면열구전색제의 수리 방법에 따른 미세누출 비교 (COMPARISON OF MICROLEAKAGE IN SEALANT REPAIRED WITH DIFFERENT SURFACE TREATMENT)

  • 강명봉;현홍근;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04-214
    • /
    • 2007
  • 치면열구전색은 수 십년간 교합면 우식의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한가지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치면열구전색제의 마모와 파절 때문에 치면열구전색제의 재시술 또는 수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파손된 치면열구전색제를 수리할 때 치질과 잔여 전색제의 표면처리 방법에 따른 미세누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120개의 영구 대구치에 치면열구전색제를 적용하고 인위적인 파손을 만든 뒤 인공타액에 4주동안 보관하였다. 4주 후 근심 또는 원심의 치면열구전색제가 완전히 파손 양상을 나타내는 치아 60개를 선택하여 각각 15개씩 4개 군으로 나누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군을 산부식만 시행한 경우(1군), air-abrasion만 시행한 경우(2군), 산부식 후 결합제를 적용한 경우(3군), air-abrasion 후 결합제를 적용한 경우(4군)로 나눠 각각의 치아를 표면처리한 후 치면열구전색제를 도포하였다. 고온$(55^{\circ}C)$과 저온$(5^{\circ}C)$에서 각각 30초씩 500회의 열순환을 시행한 뒤 미세누출도를 검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면열구전색제/치면열구전색제 경계면에서 미세누출도는 결합제 사용 유무에 관계없이 air-abrasion을 처리한 2군, 4군에서 산부식을 사용한 1군, 3군보다 낮은 값을 보였고(p<0.05) 1군과 2군, 3군과 4군 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p>0.05). 2. 치면열구전색제/치아 경계면에서 미세누출도는 결합제를 사용한 3군, 4군에서 결합제를 사용하지 않은 1군, 2군보다 낮은 값을 보였고(p<0.05) 산부식을 사용한 1, 3군과 air-abrasion을 사용한 2, 4군 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p>0.05). 3. SEM 상에서 치면열구전색제를 산부식 처리하였을 때 표면거칠기의 증가가 적었으나 air-abrasion 하였을 경우 표면거칠기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PDF

CPP-ACP 적용이 치면열구전색제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PP-ACP PRE-TREATMENT ON BOND STRENGTH OF A SEALANT)

  • 공은경;정상혁;마연주;안병덕;정영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45-452
    • /
    • 2010
  • 최근 CPP-ACP의 초기 우식증의 재광화 및 예방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CPP-ACP 적용으로 인한 법랑질 산부식 저항성 증가가 치면열구전색제 접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CPP-ACP의 치면 도포 여부와 치면열구전색제의 접착 방법의 차이가 법랑질과 치면열구전색제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미세전단결합강도 측정법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건전한 제3대구치를 사용하여 15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6군으로 나누었다. I군: 인공타액에 2주 보관 후 35% 인산 산부식 II군: 인공타액에 2주 보관 후 35% 인산 산부식 + 접착제 III군: 인공타액에 2주 보관 후 자가 부식 접착제 IV군: CPP-ACP 2주 적용 후 35% 인산 산부식 V군: CPP-ACP 2주 적용 후 35% 인산 산부식 + 접착제 VI군: CPP-ACP 2주 적용 후 자가 부식 접착제 6군의 시편에 치면열구전색제 접착 후 미세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PP-ACP 적용은 전통적인 산부식 방법으로 치면열구전색제를 접착하는 경우에는 결합강도와 산부식 양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자가 부식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치면열구전색제의 결합강도를 약화시켰다.

치면열구전색제의 열구 침투에 primer의 효과 (THE EFFECT OF PRIMER ON PENETRATION OF SEALANT)

  • 정혜선;이제호;최형준;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16-426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면열구전색제 수복시에 상아질 접착제의 primer 도포의 치면열구전색제 열구 침투도 향상 효과를 확인하는 것으로, 발거된 영구 구치상에서 통상적으로 치면열구전색제를 도포한 대조군과 $Scotchbond^{TM}$ Multi-Purpose system과 $All-Bond^{(R)}$ 2 system의 primer 도포 후에 치면열구전색제를 도포한 실험군들의 열구 기저부까지 전색제 침투 성공율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cotchbond^{TM}$ Multi-Purpose system과 $All-Bond^{(R)}$ 2 system의 primer 를 사용한 군의 열구 기저부까지 치면열구전색제 침투 성공율은 primer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p>0.05). 2. 열구 깊이와 폭 및 '깊이/폭' 값은 열구 기저부까지 전색제 침투성공률에 대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3. 열구 기저부까지 전색제 침투 성공률은 열구 깊이가 $25{\mu}m$ 증가할 때마다 약 0.9배로 감소하였고, 열구 입구의 폭이 $25{\mu}m$ 증가할 때마다 약 1.1배로 증가하였으며, 열구의 '깊이/폭' 비율이 1 증가할 때마다 약 0.6배로 감소하였다.

  • PDF

불소도포제에 의한 치면열구전색제의 마모저항성과 표면 변화에 관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Surface Changes and the Abrasion Resistance of Pit and Fissure Sealant by Fluoride)

  • 황수현;유지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73-378
    • /
    • 2010
  • 불소도포와 치면열구전색은 치아우식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임상에서 널리 병용하여 사용되고 있지만, 불소가 치면열구전색제의 표면 구조를 변화시켜 미생물이 서식할 조건을 마련하여 수복물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치과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레진계 실란트 Concise와 Eco-S를 사용하였고, 대표적인 불소도포제재 1.23% APF gel과 5% NaF Fluoride Varnish가 치면열구전색제의 표면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제작된 치면열구전색제시편을 각각 5군으로 불소제재를 처리하지 않은 I군, APF gel 1분간 처리한 II군, APF gel 4분간 처리한 III군, Fluoride Varnish 1분간 처리한 IV군, Fluoride Varnish 4분간 처리한 V군으로 분류하여 마모실험에 의한 무게변화를 측정하였고,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구조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면열구전색제 Concise를 이용한 마모실험에서 불소제재를 처리하지 않은 I군에 비하여 APF gel 4분간 처리한 III군에 무게 감소가 증가하였으며, Fluoride Varnish 4분간 처리한 V군에서 무게 감소가 적으며(p<0.05), Eco-S를 이용한 마모실험 결과 또한 같았다(p<0.05). 2. 광학현미경으로 표면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APF gel을 도포한 경우 기질의 소실로 필러가 두드러진 양상을 보였으며, 각 군 별로는 APF gel 4분간 처리한 III군, APF gel 1분간 처리한 II군, 불소제재를 처리하지 않은 I군, Fluoride Varnish 1분간 처리한 IV군, Fluoride Varnish 4분간 처리한 Ⅴ군의 순으로 표면 거칠기가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치면열구전색과 불소도포를 당일 시행하는 경우, 불소도포제를 1.23% APF gel 사용 시 4분 보다 1분 도포하며, 1.23% APF gel보다는 5% NaF Fluoride Varnish 도포하는 것이 치면열구전색제의 표면 구조에 영향을 줄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우식성 열구에 적용한 치면열구전색제의 미세누출과 침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ICROLEAKAGE AND PENETRATION ABILITY OF A PIT AND FISSURE SEALANT APPLIED ON CARIOUS FISSURES)

  • 임엘;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45-35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교합면 열구우식에 대한 진단학적 기준을 기존의 시각에만 의존하지 않고 레이저형광을 이용한 광학적 우식진단법을 추가로 도입하여 우식의 상태를 건전, 착색, 초기 우식, 법랑질 우식의 4가지 단계로 세부 분류하여 치면열구전색제를 도포하고 미세누출과 침투도를 조사함으로써 치면열구전색제의 적용 기준에 대한 임상적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시진과 탐침으로 검사하여 충전물, 파절, 표면 결함이 없고, 방사선사진을 통해 상아질 우식증이 존재하지 않는 영구 소구치 80개를 실험대상으로 사용하였다. 교합면 우식성 열구에 치면열구전색이 가능한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시진 및 탐침, 그리고 레이저형광을 이용한 치아우식증 진단기기인 DIAGNOdent$^{(R)}$ (Kavo, Biberach, Germany)를 사용하여 교합면 열구의 상태를 건전, 착색, 초기우식, 법랑질우식의 4가지 단계로 분류하였다. 제조회사의 지시대로 치면열구전색을 시행한 후 전색제의 미세누출과 침투도를 비교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법랑질우식인 제Four군에서 미세누출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건전, 착색, 초기우식군인 제I군, II군, III군과 비교했을 때 통계학적 유의차를 나타냈다(p<0.05). 2. 치면열구전색제의 침투도가 가장 높은 제I군은 제II군, III군, IV군과 비교했을 때 통계학적 유의차를 나타냈고(p<0.05), I군>II군>III군>IV군 순으로 침투도가 감소하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차는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열구가 착색된 경우나 초기우식이 있는 경우에도 치면열구전색이 가능하나 임상적으로 탐침을 통해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법랑질 우식 열구는 치면열구전색을 시행할 경우 이차우식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S-PRG 필러를 포함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의 전단결합강도 및 미세누출 (Shear 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of a New Self-etch Sealant Containing S-PRG filler)

  • 안진선;이주현;서현우;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47-35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S-PRG 필러를 포함하는 치면열구전색제(BeautiSealant)의 법랑질 전단결합강도 및 미세누출을 평가함에 있다. 45개의 소구치를 실험대상으로 사용하였으며, 자가부식 프라이머 도포 후 BeautiSealant를 적용한 군(SEPBS), 인산 부식 후 BeautiSealant를 적용한 군(AEBS), 인산 부식 후 $Clinpro^{TM}$ sealant를 적용한 군(AECP)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전단결합강도 측정을 위해 치면열구전색제 블록을 법랑질 표면에 적용하였고, 미세누출을 평가하기 위해 소구치의 소와열구에 치면열구전색제를 도포하였다. 전단결합강도와 관련하여 SEPBS군은 AEBS, AECP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으나(p < 0.05), AEBS군과 AECP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미세누출과 관련하여 3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치면열구전색제의 도포 시 전색제에 따른 기포 발생 양태 (BUBBLE BEHAVIOR OF PIT AND FISSURE SEALANT)

  • 김현진;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9-105
    • /
    • 2007
  • 치면열구전색제의 도포 시 발생하는 기포는 전색제의 두께 감소에 의한 강도의 저하로 파절 및 마모를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계면부에 발생한 경우 미세 누출 등의 임상적인 문제점을 가져온다. 본 조사에서는 치면열구전색제 중 Teethmate $F-1^{(R)}$(Kuraray, Japan), Ultraseal $XTplus^{(R)}$(Ultradent, USA), $Clinpro^{(R)}$(3M-ESPE, USA), $Helioseal^{(R)}$(Ivoclar-Vivadent, Liechtenstein)의 기포 발생 양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연치 교합면의 열구를 모방한 표준화된 시편을 제작하고 치면열구전색제를 각 군별 20개의 시편에 전색하고 광중합시킨 후 열구 중앙을 절단하여 stereoscope(Olympus SZ61, Japan)으로 확대하여 관찰하였고 컴퓨터 영상분석 프로그램(Image Pro plus Express, Mediacybermetics Co., U.S.A)을 통하여 기포의 발생 양태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기포의 발생 빈도는 Ultraseal $XT^{(R)}$ plus에서 사용 시간과 관계없이 $Helioseal^{(R)}$에 Clinprotip과 metal canula tip을 적용한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05). 2. 기포의 단면적 당 개수는 Ultraseal $XT^{(R)}$ plus old가 $Clinpro^{(R)}$, $TeethmateF-1^{(R)}$, $Helioseale^{(R)}$에 brush tip을 적용한 경우보다 많이 발생하였다(p<0.05). 3. 기포의 평균 단면적은 Teethmate $F-1^{(R)}$가 다른 군에 비해 큰 값을 보였다(p<0.05). 4. $Clinpro^{(R)}$와 적용 tip을 달리한 $Helioseal^{(R)}$의 경우 기포의 발생 빈도, 평균 개수, 평균 단면적 모두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0.05).

  • PDF

시술자와 방습법에 따른 치면열구전색제의 유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S RETENTION BETWEEN DIFFERENT OPERATORS USING DIFFERENT ISOLATION TECHNIQUES)

  • 조재용;김정욱;장기택;김종철;한세현;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15-422
    • /
    • 2003
  • 치면열구전색제의 예방효과는 전색제의 유지와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시술시의 환경과 시술 방법, 개개 환자의 구강 위생이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대규모로 '치아홈메우기 사업'이 진행 중에 있지만 시술 여건이나 시술자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의 방습법과 치면 세마가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면열구전색제의 시술 시 소아치과의사, 일반치과의사, 치과위생사 등 시술자에 따른 유지율 차이와 러버댐과 코튼롤(cotton roll) 방습법 등 격리 방법에 따른 유지율의 차이를 알아보고 실패가 일어나는 치아의 특정 부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6세-11세인 119명의 아동(남자 64명, 여자 55명)에서 상하악 제1대구치에 시술된 279개의 치면열구전색제를 대상으로 1년 후의 유지율을 조사하였다. 이 아동들은 평균 연령이 $8.59{\pm}0.772$세였으며 각각 러버댐을 사용한 소아치과의사가 시술한 1군, 러버댐을 사용한 일반치과의사가 시술한 2군, 코튼롤(cotton roll)을 사용한 치과위생사가 시술한 3군으로 나누었다. 1년 후의 치면열구전색제의 유지율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년 후의 치면열구전색제 유지율은 러버댐을 사용한 소아치과의사가 시술한 1군이 90.8%, 러버댐을 사용한 일반치과 의사가 시술한 2군은 85.0%, 코튼롤을 사용한 치과위생사가 시술한 3군은 64.7%였으며 1군과 2군간에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으나(P>0.05) 1,2군과 3군 간에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P<0.05). 2. 상악과 하악의 유지율 비교에서 1군과 2군은 차이가 없었으나(P>0.05) 3군은 차이가 있었다(P<0.05). 3. 실패부위 분석에서 교합면의 실패는 58.3%, 협/설면구는 41.7%를 차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