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BBLE BEHAVIOR OF PIT AND FISSURE SEALANT

치면열구전색제의 도포 시 전색제에 따른 기포 발생 양태

  • Kim, Hyun-J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Na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김현진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난영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In clinical practice, air bubbles trapped in the pit and fissure may increase early loss of sealing materials for fracture, wear and microleakage.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xamine the bubble behavior of pit and fissure sealant. The 140 replicas made of epoxy resin were used to this experiment. Following conditioning, light-polymerized sealants were applied and then exposed to the light source. After stereoscopic examination of standarized specimen by grinding, bubble behavior was analys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Ultraseal $XT^{(R)}$ plus grops irrespective of using time were higher than groups of $Helioseal^{(R)}$ with clinpro tip and metal tip in the frequency of bubble(p<0.05), 2. Ultraseal $XT^{(R)}$ plus old group was more than $Clinpro^{(R)}$, Teethmate $F-l^{(R)}$ and $Helioseal^{(R)}$ with brush tip in the number of bubble under 200 magnified cross section(p<0.05). 3. The widest mean area of bubble was shown in the Teethmate $F-1^{(R)}$. 4.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frequency and the site of bubble between $Clinpro^{(R)}$ and $Helioseal^{(R)}$ groups(p>0.05).

치면열구전색제의 도포 시 발생하는 기포는 전색제의 두께 감소에 의한 강도의 저하로 파절 및 마모를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계면부에 발생한 경우 미세 누출 등의 임상적인 문제점을 가져온다. 본 조사에서는 치면열구전색제 중 Teethmate $F-1^{(R)}$(Kuraray, Japan), Ultraseal $XTplus^{(R)}$(Ultradent, USA), $Clinpro^{(R)}$(3M-ESPE, USA), $Helioseal^{(R)}$(Ivoclar-Vivadent, Liechtenstein)의 기포 발생 양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연치 교합면의 열구를 모방한 표준화된 시편을 제작하고 치면열구전색제를 각 군별 20개의 시편에 전색하고 광중합시킨 후 열구 중앙을 절단하여 stereoscope(Olympus SZ61, Japan)으로 확대하여 관찰하였고 컴퓨터 영상분석 프로그램(Image Pro plus Express, Mediacybermetics Co., U.S.A)을 통하여 기포의 발생 양태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기포의 발생 빈도는 Ultraseal $XT^{(R)}$ plus에서 사용 시간과 관계없이 $Helioseal^{(R)}$에 Clinprotip과 metal canula tip을 적용한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05). 2. 기포의 단면적 당 개수는 Ultraseal $XT^{(R)}$ plus old가 $Clinpro^{(R)}$, $TeethmateF-1^{(R)}$, $Helioseale^{(R)}$에 brush tip을 적용한 경우보다 많이 발생하였다(p<0.05). 3. 기포의 평균 단면적은 Teethmate $F-1^{(R)}$가 다른 군에 비해 큰 값을 보였다(p<0.05). 4. $Clinpro^{(R)}$와 적용 tip을 달리한 $Helioseal^{(R)}$의 경우 기포의 발생 빈도, 평균 개수, 평균 단면적 모두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