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매예방행위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6초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s of Middle-aged Adults)

  • 이미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383-39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에 대하여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P시에 거주하는 중장년층 남녀 297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치매에 대한 지식은 9.0점, 치매에 대한 태도는 2.98점, 치매 예방행위는 2.22점이었다. 치매에 대한 지식은 치매에 대한 예방행위와 치매에 대한 태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치매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흡연, 음주, 치매에 대한 지식, 월수입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치매 예방행위를 39%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예방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금연 및 절주에 대한 교육 및 치매에 대한 지식을 높이기 위해 중장년층을 위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의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Preventive Behavior of Dementia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 한은경;서유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77-385
    • /
    • 2022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의 치매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 101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20년 1월 2일부터 1월 16일까지 수행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의 치매예방행위는 치매지식(r=.42,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치매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운동(β=-.26, p=003), 주관적 건강상태(β=.26, p=.003), 치매에 대한 지식(β=.37, p<.001)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28.7%이었다. 이에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의 치매예방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운동과 주관적 건강상태 및 치매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매예방교육 중재 개발을 제안하는 바이다.

중년층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 치매태도 및 치매예방행위 차이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Dementia Policy Perception, Dementia Knowledge, Dementia Attitude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 최희정;김지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125-133
    • /
    • 2020
  • 본 연구는 중년층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 치매태도 및 치매예방행위 차이분석을 위한 것이다. D시와 G시에 거주하는 40세에서 64세까지 중년층 21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가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치매정책인식 정도는 75.42±8.52, 치매지식은 8.71±1.90, 치매태도는 28.55±5.10, 치매예방행위는 27.04±3.35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정책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치매지식은 성별, 질환 수, 치매정보 원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치매태도는 성별, 나이, 학력, 가족 중 치매, 치매가족 동거, 직업상태, 조기검진, 치매정보 원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치매예방행위는 치매가족 동거, 조기검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매예방행위의 세부항목 순위는 '당신은 담배를 피우십니까?(역문항)'가 가장 높았고, '당신은 평상시 혈압이나 당뇨관리 등 질환관리를 하십니까?'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층의 치매정책인식을 높이고 올바른 치매지식, 긍정적 치매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치매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인지활동, 사회활동, 올바른 식생활 습관, 건강관리 등을 형성 및 유지할 수 있는 맞춤형 치매예방행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농촌노인의 우울, 수면, 자아존중감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pression, Sleep and Self-Esteem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in Rural Elderly People)

  • 최혜진;김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970-980
    • /
    • 2021
  • 본 연구는 농촌노인의 우울, 수면, 자아존중감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J도 J군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235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정, 일원 분산 분석, Scheffe 검정, 피어슨 상관계수,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분석하였다. 치매예방행위는 종교, 교육수준, 동거형태, 경제수준, 치매교육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아존중감(r=.52, p<.001)과 수면(r=.31, p<.001)과는 정적상관관계, 우울과는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57, p<.001).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요인은 우울, 자아존중감, 종교로 설명력은 37%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농촌노인의 치매예방행위를 높이기 위해 우울 감소와 자아존중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치매예방프로그램 개발과 종교 활동 등 다양한 사회 참여 여건 조성 마련이 필요하다.

성인의 치매 지식, 치매 두려움 및 치매 예방행위 의도가 치매 예방교육 요구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Adult Dementia Knowledge, Fear of Dementia, and Intention of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on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on Education)

  • 신은희;이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67-75
    • /
    • 2023
  • 본 연구는 성인의 치매 지식, 치매 두려움 및 치매 예방행위 의도가 치매 예방교육 요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충남, 충북에 거주하고 있는 19~64세 성인으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할 것을 동의한 2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인의 치매 지식과(p=.055) 치매 두려움은(p=.302)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매 예방행위 의도가(β=.329, p<.001) 치매 예방교육요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치매의 이해와 치매관리사업, 치매조기검진과 치매예방 건강수칙, 치매예방을 위한 만성질환 관리, 치매예방을 위한 운동, 치매예방을 위한 건강한 식생활,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증진프로그램 등 국가의 치매 예방 홍보 및 국가 차원의 대응 노력과 더불어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치매예방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여 올바른 치매 예방행동을 실천하고 예방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중년기 성인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요인 (The Effect Dementia Knowledge and Attitude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of Adults)

  • 김영희;권영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9-17
    • /
    • 2020
  • 본 연구는 중년기성인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에 대하여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K시와 P시에 거주하는 중년기성인으로 총230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9년 3월부터 2019년 7월 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해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치매에 대한 지식은 15점 만점에 9.97점, 치매대한 태도는 60점 만점에 47.45점, 치매예방행위는 36점 만점에 27.75점으로 나타났다. 치매에 대한 지식은 치매에 태도(r=.122, p=.050)와 치매 예방행위(r=.122, p<.05)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치매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결혼상태(β=.129, p<.05), 교육정도(β=.219, p<.000), 질병의 종류(β=-.108, p<.000), 종교의 유무(β=-.219, p<.000), 치매에 대한 관심(β=.237, p<.000), 음주유무(β=.317, p<.000), 흡연유무(β=.235, p<.000), 치매에 대한 지식(β=.316, p<.000)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기성인의 치매예방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치매에 대한 지식, 긍정적인 태도 및 좋은생활습관을 실천하기 위한 중년기성인에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혈액투석 환자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 (The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s of Hemodialysis patients)

  • 서은경;이미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795-804
    • /
    • 2018
  • 본 연구는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에 대하여 조사하고 관련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P시에 소재한 G병원 인공신장센터에서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 128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9월 22일부터 10월 1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치매에 대한 지식은 교육수준(F=4.58, p<.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치매에 대한 태도는 연령(F=3.08, p<.05) 그리고 교육수준(F=6.64, 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매 예방행위는 성별(t=-2.30, p<.05)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매에 대한 지식은 치매에 대한 태도(r=.189, p<.05)와 그리고 치매에 대한 태도는 치매 예방행위(r=.280, p<.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치매에 대한 태도(${\beta}=.319$, p<.01)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혈액투석 하는 환자의 치매 예방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치매에 대한 지식을 높이고 치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중장년층의 치매관련 태도와 치매예방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mentia Related Attitudes of the Middle Aged and Their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 박미정;오두남;문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53-663
    • /
    • 2018
  •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치매관련 태도 및 치매예방행위의 정도, 그리고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10월 1일부터 9일까지 국내의 40~60대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220부의 설문지가 수거되었다. 자료는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등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 중 52.7%가 치매예방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나 단지 5.9%만이 치매와 관련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다. 둘째, 암,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에 비해 치매 발병에 대한 두려움은 높았으나, 질병극복에 대한 자신감, 일상생활 유지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 가족 및 주변인의 도움에 대한 기대감, 국가의 의료 및 경제적 지원에 대한 기대감은 유의하게 낮았다. 셋째, 치매예방행위를 실천할수록 질병극복에 대한 자신감, 일상생활 유지가능성에 대한 기대감, 가족 및 주변인의 도움에 대한 기대감, 국가의 의료 및 경제적 지원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으며, 치료비의 부담감이 낮아졌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질환으로만 생각하였던 치매에 대해 중장년층의 인식 변화와 조기예방을 위한 사회적 제도 마련 및 교육, 홍보 활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개인적, 사회적 노력은 치매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 경제적인 문제를 감소시켜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라 사료된다.

실봇(Silbot)을 병용한 인지강화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Effects of a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combined Silbot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in Elderly:A Pilot Study)

  • 정혜진;한은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02-411
    • /
    • 2023
  • 본 연구는 실봇을 병용한 인지강화 프로그램이 주관적 기억력 저하를 호소하는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하는 노인 17명을 대상으로 복지관에서 수행되었다. 실봇과 인지강화를 병용한 총 20회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으며 중재 전과 후에 한국 몬트리올 인지평가(K-MoCA), 우울(GDS), 치매예방행위(DPB)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실봇을 병용한 인지강화 프로그램은 노인의 인지기능(t=-4.49, p<.001), 우울(t=2.58, p=.02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실봇을 병용한 인지강화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및 우울 완화에 유용한 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 지역사회노인의 만성질병수와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치매인식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Dementia Recognition on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s of Elders in Rural Communities)

  • 박필남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41-48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of elders in rural communiti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5 elders aged 60 or older who lived in Eup or Myeon areas of P city. For data analysis, SPSS/WIN 22.0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linear multiple regression and mediated effects. Results: Scores for dementia recognition, dementia attitude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averaged 5.6±2.50 points in the 0~11 range, 38.8±4.59 in 14~56 and 20.2±3.59 in 10~30 respectively. Dementia recognition (a), dementia attitude (b),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c) and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of the elders (d) were positively or nega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rab=.29, p<.01; rbc=.26, p<.01; rac=.36, p<.01; rad=-.29, p<.01; rcd=.19, p<.05). Factors affecting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were dementia recognition, dementia attitude, and degree of dementia interest. When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ffects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dementia recognition has a mediating effect. Conclusion: In order to prevent dementia among elders in rural areas, appropriate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and provision of appropriate dementia-related education and information to enhance dementia recognition should b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