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료 초음파

검색결과 698건 처리시간 0.029초

자궁암 치료 시 고선량률 근접 치료기와 사용될 초음파 온열치료기 개발

  • 이레나;서현숙;이경자;최진호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4년도 제29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81-84
    • /
    • 2004
  • 자궁암 치료시 고선량률 강내 근접치료기와 병행하여 사용할 초음파 온열 치료기가 개발되었다. 온열치료기는 텐덤형, 오보이드 형, 원통형으로 디자인 되었다. 각각의 치료기들에 사용될 초음파원 으로 PZT물질이 사용되었다. 텐덤형의 경우 외부직경이 2mm 이고 길이가 24.5mm 인 PZT5A가 사용되었고 오보이드형은 직경 20mm, 길이 20mm 인 원통형의 PZT 8 물질을 반으로 나누어 사용하였으며 원통형 치료기는 외경 25.4mm, 길이가 15.2 mm 인 원통형 PZT 8물질이 이용되었다. 각각의 트랜스듀서의 초음파 발생효율을 측정하였다. 텐덤형의 경우 3.2MHz 로 작동하였고 평균효율성은 16.7% 이다. 오보이드형의 작동 주파수는 1.5MHz 이며 효율성을 32${\sim}$46% 이다. 마지막으로 원통형의 작동주파수는 1.7MHz 이며 측정?? 효율성의 범위는 55${\sim}$65%이다. 특성분석 결과 온열치료에 사용될 초음파원으로 사용가능함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3개의 텐덤형 드랜스듀서를 연결하여 자궁내막의 길이가 73.5mm까지 치료가능한 텐덤형 온열치료기가 제작되었고 2개의 반원통형 트랜스듀서를 연결하여 치료길이가 40mm 인 오보이드형 치료기가 제작되었다. 마지막으로 4개의 원통형 트랜스듀서를 연결하여 질암등에 사용이 가능하고 61mm 까지 치료가 가능한 원통형 온열 치료기가 제작되었다.

  • PDF

토끼모델에서 저강도 초음파치료의 골절치유 효과 (Effect of Low-Intensity Ultrasound on Bone Repair in Rat Model)

  • 이충휘;김종만;황태선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7
    • /
    • 1999
  • 이 연구에서는 24마리의 Japanese White 토끼를 대상으로 양쪽 비골을 인위적으로 골절시킨 후 초음파치료가 골절의 치유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초음파 치료 후 대조군의 비골과 실험군의 비골에서의 골소주 비율은 차이가 없었으며 초음파 주파수를 0.875 MHz로 하였을 때와 3 MHz로 하였을 때의 골소주 비율도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초음파 치료는 토끼의 비골 골절의 치유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다양한 주파수와 초음파 전달양식을 변화시켰을 때 골절치유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인도메타신을 이용한 음파삼투요법에 의한 측두하악관절부 동통의 완화효과 (The Effect of Indomethacin Phonophoresis on the Relief of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 Soon-Moon Shin;Jae-Kap Choi,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0권2호
    • /
    • pp.377-383
    • /
    • 1995
  • 이 연구의 목적은 측두하악관절통에 있어서 인도메타신 포노포레시스의 동통완화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측두하악관절통을 가진 20명의 환자들이 이 연구에 참여했다. 10명은 인도메타신을 이용하여 초음파치료를 받았고 다른 10명은 순수 초음파 치료용 젤을 이용하여 초음파 치료를 받았다. 동통완화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치료전과 치료후에 유추지수와 압력통각역치를 이중맹검법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도메다신을 이용하여 초음파 치료를 받은 군은 유추지수와 압력통각역치에서 다 유의한 동통의 감소를 보였다. 반면에 대조군에서는 치료후에 유추지수와 압력통각역치에서 동통의 감소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측두하악관절통에 있어서 단순한 초음파 치료보다 포노포레시스가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 PDF

미용 치료 헬스케어를 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Device for the Beauty Treatment Health Care)

  • 이우철;고윤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259-1264
    • /
    • 2016
  • 초음파 치료는 회복속도가 빠르고 안전하다는 이유로 피부거상치료와 관련된 미용분야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용치료를 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의 출력회로를 개발하였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 시스템의 미용치료분야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중 청음기를 이용하여 3 차원 초음파 강도 에너지를 측정 분석하였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장치에 의해 미용 치료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하지에서의 프롤로 치료 (Prolotherapy for the Lower Extremities)

  • 김용욱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7-44
    • /
    • 2009
  • 프롤로 치료는 최근에 이완된 인대를 강화시키는 기술로써 점점 더 많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프롤로 치료는 만성통증의 원인이 되는 약해지거나 이완된 인대에 자극성 용액을 주사하는 방법이다. 이 주사행위는 염증반응을 유도하고, 후차적으로 정상적인 회복과정을 밟게 만들고 있다. 하지에서 다양한 근골격계질환, 퇴행성관절염, 인대와 건 손상 등은 프롤로 치료로 치료될 수 있다. 프롤로 치료는 다양한 근골격계질환에서 대단히 우수하고 강력한 비수술적이고, 보존적 치료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프롤로치료는 반월상연골 파열, 슬개건 파열 및 병변, 햄스트링 파열 등 다양한 질환에서 효과적이고 우수한 치료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프롤로치료를 하면서 초음파 검사를 병행할 때는 질환의 정확한 병변을 찾고 확인하며 치료과정에 따라 임상적인 경과를 점검하는데 대단히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프롤로 치료를 시행하면서 초음파 검사를 병행할 때 추시한 결과를 함께 제시할 수 있다.

  • PDF

쇄골 골절의 골유합 평가에 있어서 초음파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Ultrasonography in the Evaluation of Clavicle Fracture Healing)

  • 문동규;박형빈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6-71
    • /
    • 2011
  • 목적: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 받은 쇄골 골절 환자 중 단순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가골 형성이 관찰 되지 않아 지연유합이나 불유합이 의심되는 경우 초음파 검사가 가골 형성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로서 유용한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쇄골 골절로 진단되어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 받았으나, 불유합 또는 지연 유합이 의심되는 여섯 명의 남자와 한 명의 여자 환자(평균 38.3세; 범위: 7~70세)를 대상으로 초음파를 시행하였다. 초음파 검사상 가골 형성이 관찰된 경우는 보존적 치료를 지속하였고, 가골 형성이 관찰 되지 않은 경우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초음파 검사상 가골 형성을 관찰 할 수 있었던 6예는 보존적인 치료를 지속하여 최종 추시 단순 방사선 검사상 골유합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초음파 검사상 가골 형성이 관찰되지 않았던 1예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수술소견상 골유합 소견을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초음파 검사는 보존적 치료를 받는 쇄골 골절 환자에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불유합 또는 지연 유합이 의심되는 경우 가골 형성을 평가하는데 있어 유용한 검사 방법으로 불필요한 수술을 피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강내온열 치료를 위한 원통형 초음파 치료기 개발 (Development of a cylindrical ultrasound applicator for Intracavitary Hyperthermia)

  • Lee, Rena J.;Hyunsuk Suh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3권2호
    • /
    • pp.79-84
    • /
    • 2002
  • 항문암 및 자궁경부암 치료시 사용되는 고선량률 강내 근접치료기와 병행하여 사용할 원통형 초음파 온열치료가 개발되었다. 온열치료를 위한 에너지원으로 원통형 트랜스듀서가(PZT-8 물질, 길이=1.5 cm 두께=1.5 mm 외경= 2.5cm) 사용되었다. PZT-8 물질의 특성을 측정하기위해 세 개의 단일 엘리멘트 어플리케이터가 제작되었다. PZT 물질을 작동하기 위한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벡터 임피던스가 측정되었다. 선택된 물질이 온열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지 가능성을 타진하기위해 방사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각 엘리맨트의 초음파발생 효율을 입력한 전기량과 발생한 초음파량의 비로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질암의 온열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다채널 초음파 치료기가 디자인 되었다. 임피던스 실험결과 각 엘리맨트 1, 2, 그리고 3에 대해 1.78, 1.77, 그리고 1.77 MHz의 주파수에서 최대 임피더스 값을 얻었다. 방사능력 측정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에너지 소스는 40와트 이상의 초음파량이 방출되었다. 또한 각 엘리맨트 1, 2, 그리고 3의 평균 효율은 61.4, 65.2, 그리고 54.0% 이다. 본 연구에서 디자인되어진 원통형 초음파 치료기는 질 또는 항문 치료 시 고선량 강내근접치료와 더불어 사용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온열 치료기구가 고 선량 강내 근접치료와 함께 사용하여 병변조직의 방사능 민감도를 증가시켜 암 치료효율을 높일수 있다.

  • PDF

회전근 개 질환에 대한 초음파의 유용성 (Usefulness of USG in Rotator Cuff Disease)

  • 최창혁;장일웅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7-112
    • /
    • 2009
  • 회전근 개 질환에 대한 초음파 검사는 비침습적이며 동적인 검사이며, 최근의 발달을 통해 MRI에 비견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초음파 유도하의 주사 치료뿐 만 아니라 회전근 개 복원술 등의 수술적 치료 후 추적 검사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초음파 장비의 발전, 검사자의 숙련도 및 병증에 대한 사전 지식은 초음파를 이용한 회전근 개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로 알려지고 있다.

  • PDF

초음파를 활용한 아킬레스 건 파열의 보존적 치료 결과 추시 -증례 보고- (Conservative Treatment of Achilles Tendon Rupture with Ultrasonographic Follow-Up - A Case Report -)

  • 김윤정;안재훈;신동철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8-92
    • /
    • 2011
  • 아킬레스 건의 급성 파열은 최근 레저 활동의 증가로 인하여 그 빈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수술적 및 보존적 치료 방법 모두 장단점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급성 아킬레스 건 파열에 대해 석고 고정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고 그 치유 과정을 초음파를 이용해 추시하였다.

  • PDF

중년 여성 환자의 견관절 통증에 대한 아로마 오일의 효과 (The Effects of Aromatic Oil on Shoulder Pain in the Middle-aged Woman Patients)

  • 박경순;한동욱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1-24
    • /
    • 2005
  • 대전에 소재하는 C 대학교 병원의 물리치료실에 2003년 5월 9일부터 2004년 10월 20일까지 내원한 환자들 중 견부 통증의 진단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 가운데 중추신경계에 손상 병력이 없고, 치료사와 의사소통이 가능한 인지 능력을 가졌으며, 실험에 참가하기로 동의한 환자를 대상으로 내원한 순서에 따라 아로마 초음파군, 아로마군, 초음파군에 각각 30명씩을 배정하여 실험한 결과, 치료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통증의 정도를 알아보는 시각적 통증 점수가 감소하였으며(p<0.001), 군 간에 통증 감소의 정도도 차이가 있었다. 사후 검정을 보면 아로마 초음파군과 아로마군의 통증 감소의 정도가 초음파군에 비해 높았다(p<0.001). 또한 치료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McGill-Melzac 통증 점수 역시 감소하였으며(p<0.001), 군 간에 차이는 없었지만, 교호작용을 고려하면 아로마를 사용한 군에서 감소 폭이 더 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압통계의 역치 역시 치료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모든 군에서 상승하였으며(p<0.001), 군 간에 역치 증가의 정도에도 차이가 있었는데(p<0.05), 사후 검정을 보면 아로마 초음파군이 아로마군에 비해 역치 증가의 폭이 더 컸다. 따라서 압통계의 역치 증가는 아로마 보다는 초음파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아로마 오일은 주관적이고, 정서적인 통증을 검사하는 시각적 통증 점수와 McGill-Melzac 점수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반면 조직의 회복에 의해 상승하는 압력 역치를 검사하는 압통계의 수치에는 영향을 적게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반면 초음파는 주관적, 정서적인 통증의 감소보다는 실제 조직이 회복되면서 감소하는 통증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