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치근단 와동 형성 시 초음파 또는 음파 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고 여러 측면에서 평가되어져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혐기성 세균을 이용한 미세 누출 모델을 이용하여 초음파와 음파 기구를 사용, 치근단 와동 형성을 하였을 때 두 기구의 사용이 충전된 치근단 와동의 미세 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48개의 단근치의 근관을 crown-down방법을 이용 Profile로 .06 black까지 근관 성형을 시행하고 수직 가압법을 사용하여 gutta-percha와 AH26 sealer를 이용하여 근관 충전을 시행하였다. 각 충전된 시편의 치근단 3mm를 절제하였다. 각 시편은 이미로 4군으로 나누었으며 1군에서는 치근단 와동을 초음파 기구로 형성하였고 2군에서는 음파 기구로 형성하였다. 3군은 음성대조군으로 4군은 양성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형성된 치근단 와동은 공기 분사침을 이용하여 건조 후 super EBA 시멘트로 충전하였으며 Anaerobic chamber에서 Fusobacterium nucleatum (VPI 10197)을 사용한 혐기성 세균 미세누출 모델을 이용하여 30일간 미세 누출을 관찰한 결과, 초음파 기구를 사용한 군에서는 80%에서 음파 기구를 사용한 군에서는 75%에서 미세누출이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root resection and retrograde cavity preparation methods on the apical leakage in endodontic surger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root resection and retrograde cavity preparation methods on the apical leakage, 71 roots of extracted human maxillary anterior teeth and 44 mesiobuccal roots of extracted human maxillary first molars were used. Root canals of the all the specimens were prepared with step-back technique and filled with gutta-percha by lateral condensation method. Three millimeters of each root was resected at a 45 degree angle or perpendicular to the long axis of the tooth according to the groups. Retrograde cavities were prepared with ultrasonic instruments or a slow-speed round bur, and occlusal access cavities were filled with zinc oxide eugenol cement. Three coats of clear nail polish were placed on the lateral and coronal surfaces of the specimens except the apical cut one millimeter. All the specimens were immerged in 2% methylene blue solution for 7 days in an incubator at $37^{\circ}C$. The teeth were dissolved in 14 ml of 35% nitric acid solution and the dye present within the root canal system was returned to solution. The leakage of dye was quantitatively measured via spectrophotometric method. The obtained data were analysed statistically using two-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ultrasonic retrograde cavity preparation method and slow-speed round bur technique, without apical bevel (p>0.05). 2. Ultrasonic retrograde preparation method showed significantly less apical leakage than slow-speed round bur technique, with bevel (p<0.0001). 3.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beveled resected root surface and non-beveled resected root surface, with ultrasonic technique (p>0.05). 4. Non-beveled resected root surface showed significantly less apical leakage than beveled resected root surface, with slow-speed round bur technique (p<0.0001). 5.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pical leakage was found between the group of retrograde cavity prepared parallel to the long axis of the tooth and the group of one prepared perpendicular to the long axis of the tooth (p>0.05). 6. Regarding isthmus preparation, ultrasonic retrograde preparation method showed significantly less apical leakage than slow-speed round bur technique, in the mesiobuccal root of maxillary molar, without bevel (p<0.0001).
Kim, Jin-Cheol;Kim, Mi-Ri;Ko, Hyun-Jung;Yang, Won-Kyung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v.34
no.4
/
pp.371-376
/
2009
We evaluated in vitro microleakage of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 powder with 4-methacryloxyethyl trimellitate anhydride (4-META) / methyl methacrylate (MMA) & tri-n-butylborane (TBB) resin as a retrograde filling material by using methylene blue dye method. Fifty-two single rooted, extracted teeth were instrumented and obturated with gutta percha and AH plus sealer. The apical 3mm of each root was resected and 3mm deep ultrasonic root end preparation was done. External surface of roots was coated with nail varnish. Prepared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Negative control: completely covered with nail varnish; Positive control: coated with nail varnish except for apical foramen; Group 1 (retrofilled with Portland cement); Group 2 (retrofilled with MTA); Group 3 (retrofilled with MTA powder mixed with 4-META/MMA & TBB resin). Immediately after completion of root-end filling, all specimens were submerged in methylene blue dye for 72 hours in $37^{\circ}C$incubator. The roots were longitudinally sectioned and measured for extent of dye penetration by three different examiners under microscope (${\times}$10).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 way ANOVA and Turkey's HSD test. No leakage was evident in negative control and complete leakage in positive control group. Group 3 showed significantly less leakage than group 1 and 2 (p < 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1 and 2 (p > 0.01). It was concluded that MTA powder with 4-META/MMA & TBB resin was excellent in reducing initial apical microleakage.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apical sizes on the sealing ability of a root canal filling. Thirty-six single rooted teeth with a single canal were divided into 3 groups (n = 12) and instrumented with either the $Profile^{(R)}$ or $LightSpeed^{(R)}$ system to achieve three different apical sizes (master apical file [MAF] of #25, #40, or #60). The teeth were filled with gutta perch a using a modified continuous wave technique. The level of microleakage was determined by immersing ten teeth from each group into India ink for 1 week followed by clearing with nitric acid, ethyl-alcohol, and methylsalicylate. The microleakage was measured using vernier calipers. The data was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Kruskal-Wallis one-way ANOVA and a Student-Newman-Keuls Method. Two teeth from each group were sectioned horizontally at 1, 2, 3 and 4 mm from the apex in order to observe a cross section. The apical size was significantly (p < .05) influenced the level of microleakage. In the Student-Newman-Deuls Method, MAF sizes of #25 and #40; and MAF sizes of #25 and #60, respectivel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40 and #60. In most cross sections, oval-shaped canals were observed, and the irregularity of the internal surface increased with decreasing apical size. There was also an increase in the area of recess, which is the area where the canal space is not filled with either gutta-percha or sealer. When the root canals are filled using a modified continuous wave technique, canal filling with more consistent and predictable outcome may be expected as the apical preparation size is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newly developed endodontic root canal cleanser (MTAD) on the apical leakage of obturated root canal using an electrochemical method. Canals of 60 extracted single-rooted human teeth were prepared by using a crown-down technique with rotary nickel-titanium files. In Group 1 (positive control group) and 2 (negative centre) group), 5.25% NaOCl was used as a canal irrigant and no canal wall treatment was done. In group 3 only 5.25% NaOCl were used as canal irrigant, canal wall treatment and final rinse. In group 4, specimens were irrigated with 5.25% NaOCl, treated with 5 ml of 17% EDTA for 5 minutes and final rinsed with 5.25% NaOCl Specimens of group 5 were irrigated with 1 3% NaOCl and treated with 5 ml of MTAD for 5 minutes. All root canals are dried with paper points and obtuated with gutta-percha and AH plus as a sealer using a continuous wave of condensation technique except in the group 1. The electrical resistance between the standard and experimental electrodes in canals was measured over a period of 10 days. Rising of apical leakage with time was observed for all the groups. Group 4 and 5 showed lower apical leakage than group 3 bu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3, 4 and 5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t any measurement time.
Gutta-percha와 근관sealer를 사용한 근관 충전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성공률이 높은 방법이지만, 현재 사용되는 모든 근관sealer는 미세누출을 나타낸다. 따라서 더 효과적인 근관 폐쇄를 이루기 위한 재료 및 방법들이 연구되어왔다. 이중 상아질 접착제는 근관 충전재와 함께 사용되어 미세누출을 감소시키지만, 근관 내에 사용하기에 술식이 복잡하고 기술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gutta-percha와 레진계 근관 sealer로 충전한 근관에서 self-etching primer를 미리 도포한 경우와 도포하지 않은 경우의 치근단 미세누출을 비교하고, self-etching primer를 도포함에 있어 근관 내에 적용하는 방법에 따른 미세누출을 비교하는 것이다. 또한 근관sealer와 상아질 계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이 결과를 미세누출과 관련시켜보고자 하였다. 36개의 발거된 사람의 단근치에서 치관부를 절단, 제거하고 ProFile로 근관 형성한 후, 무작위로 선택하여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에서는 주사기와 30게이지 주사 바늘로 self-etching primer를 근관 내에 적용하였고, 2군에서는 self-etching primer를 paper point에 적셔 근관 내에 적용하였다. 3군에서는 self-etching primer를 적용하지 않았다. 1, 2, 3군의 치아를 gutta-percha와 AH26 sealer를 사용하여 continuous wave 충전법으로 충전한 후 치근단공 주위 3mm를 제외한 치근변에 nail polish를 2회 도포하였고, 4군(음성 대조군)은 치근면 전체에 도포하였다. 1군과 2군에서 각각 2개의 치아는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을 위해 준비하였다. 모든 치아를 Methylene Blue 수용액에 48시간동안 침적, 수세한 후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양분하여 10배의 실물확대현미경 하에서 치근단 색소 침투를 관찰하였다. Self-etching primer를 도포한 군과 도포하지 않은 군 사이에는 평균 미세누출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사 바늘로 적용한 군과 paper point로 적용한 군 사이에도 평균 미세누출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아질과 근관 sealer계면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일부분에서 긴밀한 접착 관계를 나타내었고, 다른 부분에서는 간극을 나타내었다.
임상에서 점차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에 대한 우수성이 소개되면서, apical matrix로의 사용은 주목할 만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근관에서 MTA가 apical matrix로 사용될 때의 치근단 밀폐효과를 알아 보고, 근관충전의 시기와 matrix의 두께가 치근단 밀폐에 미치는 영향을 치근단 미세누출의 측면과 matrix탈락빈도의 측면에서 관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개방형 근관을 재현하고자 45개의 발거된 단근치에 #90크기로 근단공을 형성하였고, 투명레진등을 이용하여 치근단 병소를 갖는 치조골을 재현한 후, 4개의 실험 군과 1개의 대조 군으로 분류하였다. A군: 2mm두께의 MTA matrix 형성후, 열연화된 Gutta-percha와 AH26 sealer를 이용하여 즉시 근관충전. B군: 2mm 두께의 MTA matrix 형성후, A군과 같은 방법으로 24시간 후 근관충전. C군: 4mm 두께의 MTA matrix 형성후, A군과 같은 방법으로 즉시 근관충전. D군: 4mm 두께의 MTA matrix 형성후, A군과 같은 방법으로 24시간 후 근관충전. 대조군: matrix를 사용하지 않고 열연화된 Gutta-percha와 AH26 sealer를 이용하여 근관충전하였다. Matrix의 탈락이 있는 경우 기록하고 완전 수세 후 다시 시행하였다. 색소침투정도의 평가를 위해 methylene blue에 치아를 48시간 침수시킨 후 협설로 양분하였다. 각 시편들을 고배율 현미경 관찰 후 비디오촬영 하였고, digitalized image analysing program을 이용하여 두명의 관찰자가 누출의 정도를 평가한 후, One-way ANOVA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atrix를 사용한 실험 군이 matrix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누출을 보였다(p<0.05). 그러나 근관충전시기와 matrix의 두께를 달리한 실험군 내에서는 누출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모든 실험군에서 gutta-percha를 이용한 근관충전의 시기에 matrix탈락 및 gutta-percha의 압출은 발생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ye leakage of MTA (mineral trioxide aggregate) apical plug produced by two orthograde placement techniques (hand condensation technique and ultrasonically assisted hand condensation technique). To simulate straight canal, 60 transparent acrylic blocks with straight canal were fabricated. These transparent acrylic blocks were divided into 2 groups (Group C; hand condensation technique (HC) and Group U; ultrasonically assisted hand condensation technique (UAHC)) of 30 blocks with each MTA application method. Each group was divided into 2 subgroups (n=15) with different canal size of #70 (subgroup C70 and subgroup U70) and #120 (subgroup C120 and subgroup U120). After apical plug was created, a wet paper point was placed over the MTA plug and specimen was kept in a humid condition at room temperature to allow MTA to set. After 24 hours, remaining canal space was backfilled using Obtura II. All specimens were transferred to floral form socked by 0.2% rhodamine B solution and stored in 100% humidity at room temperature. After 48 hours, resin block specimens were washed and scanned using a scanner. The maximum length of micro leakage was measured from the scanned images of four surfaces of each resin block using Photoshop 6.0.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Mann-Whitney U test. Group U of UAHC had significantly lower leakage than Group C of HC in #70-size canal (subgroup U70) (p<0.05).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two different calcium hydroxide ($Ca(OH)_2$) paste removal techniques on the apical leakage of canals obturated with gutta percha cones and sealer after removing a $Ca(OH)_2$ dressing using an electrochemical method. Seventy extracted single-rooted teeth were instrumented on with Profile rotary files under NaOCl irrigation. Fifty-eight canals were filled with calcium hydroxide paste, which was then removed using one of the following two techniques. In group A, calcium hydroxide was removed using only NaOCl irrigation, and in group B, the canals were re-prepared with a Profile rotary files-one size larger than the previous instrument and were irrigated with NaOCl. In both groups, the root surfaces were coated twice with nail varnish from CEJ to an area 4 mm away from the apex after canal obturation. Apical leakage was measured using an electrochemical method for 24 days. All the specimens showed leakage that increased markedly in the first three day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The effect of two calcium hydroxide paste removal techniques on the apical leakage was not different during a short period.
치근단 수술시 구동형 수술현미경과 미세수술기구들이 사용됨에 따라 치근단 절제술 후 역충전와동의 효과적인 형성 및 충전을 위해 새로운 초음파기구가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상품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초음파기구중 신속하게 역충전와동을 형성할 뿐아니라 충분한 깊이를 제공하여 역충전재료의 변연누출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3종의 초음파기구를 사용하여 역 충전와동을 형성 한 후 SuperEBA로 충전하여 그 변연누출을 비교하였다. 모두 56개의 근첨형성이 완료된 단근치를 선택하여 Profile .06를 사용하여 근관형성한 후 음성대조군 2개를 제외한 54개의 치아를 수직가압법으로 충전하였다. 근단부 3mm를 절제한 뒤 KaVo Isthmus, KaVo T-shape 그리고 KiS tip을 각각 18개의 치아에 사용하여 역충전와동을 형성하고 그중 각각 2개의 양성대조군 치아를 제외한 나머지 치아에 SuperEBA로 충전하였다. 각치아는 1% methylene blue dye에 침윤시켜 1주일 후 종절단하여 그 색소침투정도를 측정,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측정된 평균 변연누출은 KaVo Isthmus가 $1.5\pm$1.4mm, KaVo T-shape이 1.7$\pm$1.2mm이고 KiS tip은 1.1$\pm$0.7mm 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초음파기구를 사용한 역충전와동의 임상시술 성공여부는 술자의 편의도와 임상적 사용시 조작능력에 달려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