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과치료

검색결과 3,476건 처리시간 0.032초

당뇨병환자의 치과시술

  • 고홍섭
    • 월간당뇨
    • /
    • 통권207호
    • /
    • pp.14-15
    • /
    • 2007
  • 당뇨병환자의 치과시술시 가장 문제가 되는 사항은 감염에 대한 위험성 증가와 창상치유 지연이다. 대부분의 치과치료는 출혈을 일으키고 창상을 남긴다. 만약 치과치료를 예정하고 있는 환자가 당뇨병환자라면 치과의사는 보다 적극적으로 감염 가능성을 예방하거나 줄이고 창상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치과 치료계획을 세울 것이다. 그러므로 당뇨병환자가 치과치료를 받을 때 가장 중요한 사항은 환자 본인의 당뇨 병력을 상세히 치과 진료진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물론 병력은 상세할수록 좋다.

  • PDF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 진료실의 외래마취 하 치과치료 (Dental Treatment for Handicapped Patients in Day Care Units: 2 Years' Experienc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 박창주;염광원;김현정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1-26
    • /
    • 2002
  • 연구배경: 장애인의 치과치료는 일반인의 치과치료와는 달리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애인 환자의 치과치료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서는 치과마취과를 중심으로 임상 각과가 협진하여 외래마취 기반 하에 1999년부터 장애인 진료실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 진료실의 치료방법을 소개하고 그 동안 치료받은 장애인 환자들의 자료를 바탕으로 마취과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2년 5월까지 치료받은 총 54명의 장애인 환자들의 치료기록지와 마취, 그리고 회복실 기록지를 검토하였다. 환자의 성별, 나이, 전신질환, 수술 전 시행된 검사, 치료에 참여한 협진과, 마취 유도제와 유지제, 총 마취시간과 회복실 체류시간, 그리고 회복실에서 관찰된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5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58건 치과치료가 시행되었다. 한 건의 의식진정 법을 제외하고는 모두 전신마취 하에서 치과치료가 시행되었다. 마취유도제는 thiopental sodium, 근이완제는 vecuronium과 succinylcholine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마취 유지를 위해서는 enflurane과 isoflurane의 흡입마취제를 이용하거나 TCI를 이용한 propofol 지속정주를 이용하였다. 총 마취지속시간은 $160.2{\pm}55.5$분이었으며 회복실에서의 체류시간은 $132.8{\pm}50.1$분, 그리고 완전한 회복을 확인하기 위해 병동에 단기 입원시킨 소아환자에서는 $58.7{\pm}16.8$분이었다. 회복실에서 심각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지속적인 감시를 위하여 4명의 환자가 입원을 권유받았으나 특별한 합병증 없이 다음 날 퇴원하였다. 결론: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 진료실은 외래마취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보다 긴 마취시간과 회복실 체류시간을 보였다. 그러나 별다른 합병증 없이 일회 방문으로 장애인 환자들에게 필요한 치과치료를 모두 제공할 수 있었다.

  • PDF

구강암환자의 치과치료

  • 김용각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4권7호통권206호
    • /
    • pp.583-591
    • /
    • 1986
  • 근년에 이르러 암환자의 증가, 암치료성적의 호전, 그리고 암환자의 통원치료 증가등으로 암전문변원이나 암연구소의 치과의사(institutional dentist)뿐만 아니라, 일반 치과의사(non-institutional dentist)들도 암과 관련된 환자들을 접하는 기회가 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구강함환자는 구강암 자체, 혹 그 처치를 통하여 전신적으로, 혹은 국소적으로 위약된 조건을 갖게되므로 치과치료시에는 특별한 지식과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에 이해 선진국에서는 이미 치과종양학(Dental Oncology)의 임상이 활발하다. 이제 이러한 치과종양학적 입장에서 외과적 수술, 방사선요법, 그리고 화학요법을 통한 구강암 (혹은 두경부암)의 처치시에 치과의사의 역할과 치과치료의 문제점 및 그 해결책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약물을 사용하는 동통과 불안감의 조절

  • 김종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4권11호통권210호
    • /
    • pp.923-928
    • /
    • 1986
  • 대부분의 소아치과 환자는 그들의 불안감과 공포감에 대해서 이해를 시킨후에는 성공적으로 치료를 받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의 소아치과 환자는 이러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행동조절을 할 수 없어 치료를 하여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소아치과 환자는 주로 정상적으로 문제가 있거나 정신적, 육체적으로 장해가 있는 어린이일 수 있으며 또한 겁이 많은 어린이나, 아주 어린 학령전 아동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치과 치료전, 또는 치료중에 약물을 사용하여서 이러한 어린이들의 치과 치료에 대한 불안감과 공포감을 해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치과의사는 양질의 치료를 환자에게 하여 줄 수 있다.

  • PDF

간질 및 경련성 질환 환자의 치과치료 (Dental treatment of the patient with epilepsy and seizure disorders)

  • 정태성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9-74
    • /
    • 2007
  • 진단기술과 약물치료기법 및 신경학적 과정에 대한 이해가 발전됨으로 인하여 치과의사는 간질환자를 더 잘 이해하고 치료할 수 있게 되었다. 간질환자는 몇 가지 주의사항만 지킨다면 일반치과에서도 쉽게 치료할 수 있다. 즉, 의학적 병력과 함께 매 번 방문 시 마다 치과치료 전에 현재상태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기왕력 중 발작은 치료계획수립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치과의사는 간질이나 경련성질환에 대하여 포괄적이며 통합적 이해를 통하여 환자의 구강건강뿐 아니라 나아가 전신건강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PDF

장애인의 치과진료 현황과 치과의사의 교육 및 훈련 정도에 대한 조사연구 (DENTAL CARE AND THE STATE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DENTISTS FOR THE HANDICAPPED)

  • 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7-94
    • /
    • 2001
  • 장애인에 대한 치과의사의 치과진료 현황과 장애인 치과치료를 위한 치과의사 교육 및 임상훈련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광주광역시와 경인지역의 치과의원 각각 300곳과 600곳의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한달 평균 한 명 이상을 치료하는 치과의원은 44%이었다. 장애유형은 지체장애자, 정신장애, 감각장애, 자폐증 순이었다. 63%의 치과의사가 친절히 대했으며 51%가 치료 후 만족스러웠다고 응답했다. 치료시의 문제점으로는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시간의 지연이 가장 많았다. 장애인 치과치료에 대한 교육과 임상 실습에 대한 경험은 각각 49%, 19%이었다. 치과의사의 93%가 장애인 치과치료를 위한 훈련과정이 필요하며, 81%가 장애인을 위한 전문의료기관의 설립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효율적인 장애인의 치과치료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치과대학 학과과정과 졸업 후 보수교육에 장애인 치과치료를 위한 교육 과정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지역내 국가 차원의 장애인 전문의료기관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장기적으로 안정된 예후를 위한 통합 치과치료의 원칙과 적용방법

  • 장원건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8-77
    • /
    • 2011
  • 다양한 치과 전문분야의 협진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서는 심미적인 만족뿐 아니라 기능적이며 장기적 안정을 가져올 수 있는 치료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분명한 치료목표와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한 치료계획을 세우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환자와 술자 모두가 만족하는 치료결과를 갖기 위하여 어떠한 치료목표가 필요하며 그 목표를 위하여 치료계획을 세우는 방법과 그 치료과정에 대해 실제 임상증례를 통하여 각 과정을 설명하였다.

  • PDF

청소년의 치과치료와 관련된 공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공변량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of Fear Factors Associated with Dental among Teenagers)

  • 김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350-36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15세에서 17세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감의 일반적인 경향과 관련변인들에 따라 공포감이 어떻게 차이가 나며, 이들 변인들이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감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와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DFS, DBS 및 GFS를 포함한 설문도구와 청소년의 특성에 관한 문항들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SPSS를 이용하여 단변량 분석을 시행한 후 LISREL 8.12를 사용하여 공변량 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DFS (0.957), DBS (0.916) 및 GFS (0.910)의 Cronbach 신뢰도 계수가 모두 0.9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자신의 치아상태가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할수록, 최근 구강 내 동통을 경험했을 경우, 치과치료 시 동통을 강하게 느꼈을 경우, 그리고 치료 시 동통을 자주 경험했을 경우와 치과약속을 어긴적이 있을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감의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지는 추세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치과치료시 동통정도와 동통 횟수, 치과약속을 어긴 횟수, 치과의사에 대한 불신감 그리고 일반적인 공포감이 치과치료와 관련된 공포감에 정(+)의 직접효과가 있었다.

Hemophilia 환아의 관혈적 치과치료에 관한 증례보고 (A CASE OF INTRAORAL SURGICAL TREATMENT FOR CHILDREN WITH HEMOPHILIA)

  • 이준균;이긍호;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89-594
    • /
    • 2005
  • 혈우병은 성염색체 열성 유전양식에 따라 유전되는 출혈성 질환으로서 응고인자의 결핍이나 결손에 의해 혈액응고 시간이 지연되게 된다. 과거에는 혈우병 환자의 치과치료시 과다출혈의 위험성 때문에 치과시술을 위해서는 입원하여 내과 전문의나 혈액 전문의가 출혈을 조절하도록 하여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졌으나, 최근의 혈액응고기전에 대한 이해와 의료기술 발전에 의해 출혈을 좀더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본과에 내원한 혈우병 B, 중증과 혈우병 A, 중증에 해당하는 환아에서의 관혈적인 치과치료를 시행하여 각각의 과정 및 치료원칙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보고하는 바이다. 1 혈우병 환자의 치료시에는 반드시 환자의 내과 소아과 또는 혈액 전문의와 상의하여 긴밀한 협조하에 치과 치료를 시행하도록 한다. 2. 환자의 치료방법은 환자의 전신상태와 협조도 및, 필요한 시술의 위험성 정도에 따라 결정하도록 한다. 3. 치과치료의 전과 후에 혈액응고인자의 투여 등으로 발생하는 불편과 합병증의 기회를 최소로 하기 위해 치료를 위한 내원 횟수를 가능한 한 줄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치료 시에는 감염을 예방하고 지혈을 도울 수 있는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 PDF

외래 전신마취하 치과 장애인의 치과치료 및 보호자의 반응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F DENTAL TREATMENT AND THE RESPONSE OF THE PARENTS OF THE DENTALLY HANDICAPPED PATIENTS TREATED UNDER OUT-PATIENT GENERAL ANESTHESIA)

  • 박동석;최병재;강정완;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2-101
    • /
    • 2003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에서 1997년 7월부터 2000년 7월까지 외래 전신마취하에 치과치료를 시행한 235명의 치과 장애인 환자를 대상으로 연령 분포, 전신마취 선택이유, 소요시간, 마취시간, 치료내용과 합병증 등을 분석하고, 우편 설문 조사에 응답한 109명을 대상으로 보호자의 연령과 교육정도, 보호자의 전신마취 경험 유무, 환자의 연령, 치과치료 경험의 유무 등에 따른 보호자의 불안정도와 만족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아동의 전신마취시 보호자가 느끼는 불안정도는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더 높았으며, 보호자의 학력이 높을수록 불안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2. 보호자의 학력이 높을수록 전신마취 치료의 만족도는 높았다.(P=0.05) 필요하다면 다시 전신마취하에 치과치료를 받겠냐는 설문에 95명(87.2%)이 받겠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외래 전신마취하의 치과치료는 환자 보호자에게 통상의 치과치료보다 불안을 야기하지만 치료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으며 행동조절의 어려움으로 인해 치과 치료받기가 어려운 환자에게 양질의 치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