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과진료형태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44초

경남지역 청소년들의 치과진료형태가 치과공포감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the Type of Dental Treatment on the Dental Fear of Adolescent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 권수진;최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77-285
    • /
    • 2010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치과진료형태에 따른 치과공포감의 영향관계에 대해 규명하여 청소년의 치과진료 시 불안, 공포감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경남지역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2009년 12월 2일부터 9일까지 8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2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상관분석을 통한 치과진료 경험과 공포감의 관계에서 각 구성요소 간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 회귀분석 결과 전체적인 공포감에는 치과보철 진료경험이, 치과진료 회피 공포감에는 치과보존 진료경험이, 생리적 반응요인 공포감에는 구강악안면 진료경험이, 치료자극 반응요인 공포감에는 치과보철 진료경험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향후 치과 의료기관은 청소년들이 치과진료에 대한 막연한 공포나 두려움을 없애고, 정기적인 치과방문을 통한 예방진료 등의 강화로 구강건강증진을 도모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진료형태별 대상별 치과 공포감을 없앨 수 있는 매뉴얼 개발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과 의료장비의 소음 수준 평가 (The Noise Level Assessment of Dental Equipment)

  • 이정숙;한예슬;조영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03-611
    • /
    • 2015
  • 치과 진료실에서 발생하는 소음원에 대한 소음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피해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휴대용 소음기로 측정하여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치과용 의료기기 소음측정 결과 단독측정에서는 고속 핸드피스가 가장 높았으며, 초음파 스케일러, 저속 핸드피스 순서로 낮게 나타났다. 단독측정 시 평균 소음도는 58~66 dB(A)를 보였으며, 복합측정 시 평균 소음도는 62~71 dB(A)를 보였다. 진료실 형태에 따른 개방형과 개실형의 소음측정 결과 개방형 진료실에서의 소음이 평균 1.9~3.2 dB(A) 더 높게 나타났다. 비진료 시와 진료 시의 소음측정 결과 초음파 스케일러와 고속 핸드피스의 소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초음파 스케일러와 high volume aspirator을 함께 사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소음도를 보였으며, 진료 시 75.5 dB(A)로 비진료 시와 3.5 dB(A)의 소음차를 보이며 더 높게 나타났다. NR 곡선으로 진료 시 가장 높은 소음도를 보인 치석제거를 평가해본 결과 치석제거 시 NR-73~78로 ISO 소음기준중 일반작업장의 소음기준을 초과하는 수준이며 8 kHz의 고주파에서 피크치를 나타냈다. 진료 시 거리에 따른 소음을 측정한 결과 작업자와 가까운 30 cm 거리에서의 소음이 100 cm 거리에서의 소음보다 높은 패턴을 보였으며, 30 cm 거리에서 대상 치과 의료기기에서 발생하는 소음레벨은 79.8~80.6 dB(A)으로 장시간 폭로 시 청력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수준이다. 두 거리의 차이로 5 dB(A) 이상의 소음 감쇠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치과 치료 시 진료실 소음은 치과 의료기관 종사자에게 정신적, 육체적 피해를 줄 수 있는 정도이며,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자료들이 기초가 되어 더 많은 치과 진료 시의 소음에 대한 특성이 파악된다면 직장환경의 질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소음 감소 대책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아치과 개원의 진료 현황 분석 (THE PRACTICE PATTERN OF PEDIATRIC DENTISTS IN KOREA)

  • 최은정;정태련;한세현;김영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04-509
    • /
    • 2006
  • 소아치과는 소아와 청소년의 구강상태에 대하여 보존, 교정, 치주, 외과치료 등 다방면의 치료를 복합적으로 시행한다는 점에서 타분야와 구분된다. 초창기의 소아치과학은 유치와 영구치의 우식의 치료, 발치 등에 국한되었으나, 최근에는 교정, 소 수술, 심미, 예방치료 등으로 진료의 범주가 확대되고 있다 2005년 11월 현재 소아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개인치과에서 근무하는 치과의사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발송하고 회송된 설문지 21매를 토대로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주일 간 평균적으로 진료하는 환자의 수는 82.4명이었고, 각 환자당 평균적으로 치료받는 치아의 수는 2.35개였다. 2, 전체 치료 중 예방치료가 15.7%, 수복치료가 55.7%, 치수치료가 15.6%, 외과치료가 10.5%, 교정치료가 2.4%를 차지하였다. 3. 수복치료 중 아말감이 3.8%, 글래스 아이오노머가 5.5%, 복합레진이 63.0%, 스테인레스 기성금관이 277%를 차지하였다.

  • PDF

진료실용 밀링머신을 이용한 교합평면 부조화 환자의 완전 구강 회복술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occlusal plane discrepancy with milling machine for clinic)

  • 박지만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8-78
    • /
    • 2016
  • 최근 디지털 기술이 치과진료실 안으로 점차 파급되고 있다. 진료실용 밀링머신을 활용하여 진료실 내에서 임시치아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는 반조절성 교합기 탑재 가능 모형스캐너와 직관성이 우수한 치과용 캐드 소프트웨어의 도움으로 규모가 큰 증례에까지 활용 가능할 전망이다. 본 증례보고에서는 반복된 수복치료로 인해 교합평면이 틀어지고, 대합치마모로 교합고경이 상실된 55세 여환을 대상으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완전구강회복술을 시행하였으며, 임시치아 디자인 및 진료실 내 밀링가공, 이중스캔을 통한 임시수복물 형태 복제 등을 통하여 양호한 구강회복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악골에 발생된 골경화증에 대한 방사선학적 연구 (A RADIOGRAPHIC ANALYSIS OF OSTEOSCLEROSIS OF THE JAWS)

  • 박태선
    • 치과방사선
    • /
    • 제14권1호
    • /
    • pp.153-161
    • /
    • 1984
  • Orthopantomograph는 치과진료에서 가장 일반적인 국외촬영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저자는 1983년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 치과방사선과에 래원한 환자중 Orthopantomogram을 촬영한 2,160명을 대상으로 골경화증의 성별, 연령별 발생빈도와 발생부위, 경화상의 크기, 모양등을 분류하고 특발성 골경화증과 condensing osteitis에 관하여 관찰하였든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Idiopathic osteosclerosis의 발현율은 16.0%, condensing osteitis의 발현율은 9.8%였고 남녀간의 차이는 없었다. 2. 골경화증의 호발부위는 하악소구치, 대구치부위였고, 상악에서의 발생율은 적었다. 3. 골경화상의 크기는 idiopathic osteosclerosis는 10㎜이내였고, condensing osteitis는 10-20㎜의 폭경을 가지고 있었다. 4. 골경화상의 형태, 건강골과의 경계 및 발현되는 상태는 일정하지 않았다.

  • PDF

보철물의 균형감을 위한 lab side의 고민과 노력 (The effort and agony of dental laboratory for the balanced proportions of dental prosthesis.)

  • 이승섭;배영환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5-83
    • /
    • 2020
  • 성공적인 보철치료를 위해선 초진과정에서 부터 시작되는 진료실과 기공실의 협업이 중요하다. 다만 진료실과 기공실이 서로 모든 치료과정에서 협업이 용이하지 않고, 그중 보철물의 이상적인 형태를 부여하는 일은 기공파트가 책임 지어야 할 부분 중 하나이다. 제한된 환경에서 치과기공사가 어떤관점으로 case에 접근하는지 설명하고자 한다.

치과의원 공기중의 공중낙하세균수와 세균분포 (The Number and Distribution of Bacteria falling in the Air of Dental Clinics)

  • 장계원;강용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1
    • /
    • 2004
  • 치과 진료실은 진료의 특성상 환자의 혈액과 타액 내에 있는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에 노출되며, 진료 중 튀거나 에어로졸의 형태로 진료인과 환자의 신체 그리고 사용하는 모든 기구와 장비의 표면을 오염시키며 구강질병의 감염 가능성이 높아 치과영역의 교차감염에 관한 관심이 높다. 따라서 치과 진료실의 공기 중 미생물 분포와 오염정도를 조사하고 치과 진료기구의 오염과 치과 진료실의 감연방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J시 9개 치과의원의 대기실과 진료실 공기를 자연방치법과 air sampler를 사용하여 공기시료를 채취하고 평판에 배양하여 공중낙하세균을 산출하고 생성된 집락을 세균 자동 동정기(ATB)로 분리 동정하여 세균의 분포를 검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과의원 환자 대기실 공기 중의 공중낙하 세균수는 자연방치법의 경우 1개 치과의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10(CFU/Plate)이하여서 청결기준에 적합하였다. 2. 치과의원 진료실 공기 중의 공중낙하 세균수는 자연방치법의 경우 1개 치과의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10(CFU/Plate)이하여서 청결기준에 적합하였다. 3. 황색포도상구균(Stapylococcus aureus) 검색결과는 1개 치과의원 만이 양성이었고 모두 비병원성 포도상 구균이 검출되었다. 4. 병원성 그람 음성간균의 검색결과는 1개 치과의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5. 세균의 분포검사는 진료실의 경우 9개 치과의원 중 7개 치과의원에서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고, 환자 대기실의 경우 4개 치과의원에서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검출된 의원의 균주도 대부분 비병원균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J시 연구 선정 치과의원의 공기는 1개 치과의원을 제외하고 모두 위생적으로 관리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으나, 청소와 살균여부에 따라 증감을 보였기에 감염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치과의원의 공기청정 및 살균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PDF

심한 편측 하악 치조골 흡수를 보이는 환자에서의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 증례 (Implant overdenture of mandible with severe unilateral atrophy: Report of two cases)

  • 김소연;권은영;정경화;전혜미;백영재;윤미정;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71-279
    • /
    • 2019
  • 심한 하악 치조골 흡수룰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의치는 환자의 저작 효율이 극히 저하되며 특히 치조골의 형태가 불규칙한 경우 의치의 안정성은 더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임플란트를 통한 지지를 얻는 피개의치를 통해 편안감 회복과 향후 지속적인 치조골 흡수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위한 하방의 attachment는 크게 bar attachment와 solitary attachment로 나뉘며 임플란트 고정체의 위치가 하악 전방 치조골에 있으면서 의치 전체가 견고한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bar attachment가 유리하고 구치부에도 고정체가 위치하며 쉬운 착탈과 유지관리의 편의를 얻고자 하면 solitary attachment를 고려할 수 있다. 본 증례는 환자의 상황에 따른 임플란트 식립 위치 결정, attachment를 선택을 통하여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임플란트를 하면서 만나게 되는 문제들: 증례보고 (What would we meet for the implant dentistry: A Case Report)

  • 이정삼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9-67
    • /
    • 2015
  • 임플란트가 치과 진료의 중요한 수단이 된 후 오랜 기간이 지나면서 자연치를 거의 완전한 형태로 재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많은 선학들의 연구와 임상이 진행되어왔다. 과거 임플란트는 교합면의 저작에 중점을 두었다면 최근의 임플란트는 보다 편하고 기능적이며 심미적인 수복을 요하게 되었다. 이런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보철적으로 교합면의 형태뿐만 아니라 축면의 형태 및 치간공극에 대한 배려, 치은 하방의 형태도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수술적으로는 수술 시기 및 절개에 대한 세심한 고려, 골과 연조직에 대한 적절한 형성을 위해 많은 진보가 이루어졌다. 치과의사가 이러한 부분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최종 완성품에 대한 열정이 있을 때 보다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