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과교정학회

검색결과 2,942건 처리시간 0.029초

Grade 2, 4 티타늄 마이크로 임플랜트의 식립 및 제거 토크와 식립 후 조직학적 반응의 비교 (Comparison of histologic observation and insertional and removal torque values between titanium grade 2 and 4 microimplants)

  • 강승택;성재현;경희문;박효상;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71-177
    • /
    • 2006
  • 마이크로 임플랜트는 순티타늄과 티타늄 합금을 사용하고 있다. 순티타늄의 경우 grade가 낮을 수록 생체적합성은 증가하나 기계적 성질이 낮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순티타늄 grade 2와 grade 4를 재료로 한 마이크로 임플랜트를 각각 토끼의 다리뼈에 식립한 후 2, 8, 12주의 시간경과에 따른 조직학적 소견의 차이와 식립, 제거 시의 최대토크의 측정으로 그 티타늄 종류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토끼의 경골에 식립한 티타늄의 종류에 따른 식립시 및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제거시의 토크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grade 2와 grade 4간의 식립 시 최대 토크의 차이는 없었다. 둘째, 식립 후 2, 8, 12주 후의 제거 시 최대토크 측정에서 전체 마이크로 임플랜트의 그룹간 차이는 없었다. 셋째, 2주에서 8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거 시 최대토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8주와 12주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유지력은 grade 2 티타늄과 비슷하지만 물리적 성질이 더 단단한 grade 4 티타늄을 마이크로 임플랜트 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생각된다.

안면 비대칭 환자의 수직 안모 유형과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계측치 및 표면 근전도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facial biotype, submentovertex cephalometric measurements and surface EMG activity in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 김성수;이남기;차봉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8-227
    • /
    • 2006
  • 안면 비대칭 환자의 진단분석에 이용할 수 있는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과 표면 근전도 검사 자료는 통용화된 진단분석법 부재 등의 이유로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여타 진단분석법과 비교할 때, 수직 안모 유형의 평가 등 차별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면 비대칭을 보이는 60명을 대상으로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및 저작근의 표면 근전도를 측정하여 수직 안모 유형과의 연관성 및 안면 비대칭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함이다.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계측치 중 radiographic corpus length는 비편위측이 큰 값을 보였고 (p<0.001), 유의성은 없었으나 gonion to interspinosum axis는 편위측이 크고, gonion과 하악과두의 위치는 비편위측이 편위측에 비해 전방에 위치하였다 (p=0.07). 안정시 편위측 전측 두근의 근활성은 비편위측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또한 최대 폐구 시 교근의 활성은 유의성이 없었으나 비편위측에 비해 편위측이 큰 값을 보였다 (p<0.09). Facial index와 intercondylar axes angle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1). 최대 폐구 시 편위측 및 비편위측의 교근의 활성은 facial index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골격성 안면 비대칭을 보이는 환자에서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과 표면 근전도 검사를 통해 비대칭 양상의 평가와 더불어 수직 안모 유형의 평가 또한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의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및 치아모형 연구 (A cephalometric and dental cast study of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 정미라;남기영;김종배;권오원;황상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8-236
    • /
    • 2006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란 수면도중 주기적으로 호흡이 멈추는 증상을 말한다. 상악과 하악이 후퇴되어 있거나 하악이 작으며 수평적으로 기도 폭경이 좁고 혀가 후방에 위치하는 등 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의 전후방적인 악골 및 연조직 특성에 대한 평가는 많았으나 치열 및 악궁에 대한 평가가 부족하여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의 골격적 특징과 악궁의 폭경과 구개깊이와 수면무호흡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의료원 수면클리닉에 수면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수면다원검사와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치아모형이 갖추어진 38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하여 치아모형과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수면무호흡지수와 체질량지수를 비교하였다. 수면무호흡지수와 악궁의 횡폭경, 구개깊이, 수직피개량 및 수평피개량과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수면무호흡군에서 상기도 폭경은 좁고, 하기도 폭경은 넓은 경향이 있었다. 수면무호흡지수와 상기도 폭경은 미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나 하기도 폭경은 미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고, 수면무호흡지수가 클수록 하악 하연으로터 설골까지의 거리도 멀었다.

부정교합자의 하악과두 위치에 관한 방사선적 연구 (A RADIOGRAPHIC STUDY ON THE MANDIBULAR CONDYLE POSITION IN KOREAN MALOCCLUSION)

  • 강정희;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9-121
    • /
    • 1992
  • Temporomandibular joint is a major structur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unction & stability of the occlusion as well as the stomatognathic system. Therefore, the TMJ is the structure that requires the complete analysis for diagnosing and planning treatment of pathologic changes by TMJ dysfunction and malocclusion. So, in this study, to evaluate TMJ situation in Korean malocclusion, based on the previous accomplishments, students of the dental college of Won-Kwang Univ. are surveyed and selected in terms of Angle's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whose TMJ radiographs were taken in the centric occlusion and centric relation. In each maiocclusion group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anterior, posterior and superior joint space of the right, left and both side in CO & CR are evaluated and also those of the fossa height and the articular eminence angle of the right, left and both sides are evaluat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alocclusion groups, no other items except the posterior joint space of the right side in CR between in class I and class III are significant. 2.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 the each joint space in class I malocclusion group and class II malocclusion group are significant. 3. In the change of each joint space during the transmit from CO to CR, there is a tendency of increasing anterior joint space and decreasing posterior, superior joint spaces in class I, II malocclusion and increasing superior joint space and decreasing anterior, posterior joint space in class III malocclusion, which is significant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ut not significant in the T-test. 4. In each malocclusion group,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posterior joint space and the superior joint space in C.R is highly significant. 5. The fossa height of class II malocclusion group is lesser than that of class I or class III, which is not significant in T-test. 6.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Rt. and Lt. side in the fossa height, it is not significant in class I and class III group, but significant in class II malocclusion group. 7. The articular eminence angle of class II malocclusion group is larger then that of class I or class III groups, which is fairly significant. 8.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Rt. and Lt. side in the articular eminence angle, it is significant in each malocclusion group.

  • PDF

골격성 III급 부정 교합을 동반한 악교정수술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하악기능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CHANGES OF MANDIBULAR MOVEMENT AND MUSCLE ACTIVITY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IN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 이형식;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7-88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mandibular movement and muscle activity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in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Lateral cephalogram, M.K.G., E.M.G. recordings were obtained immediately before surgery, and 2 months and 8 months after surgery. Among the patients who received orthognathic surgery, 19(13 men, 6 wome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for each time interval differences were performed with the SPSS pack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group (opening 349.7mm/sec, closing 313.1mm/sec), the mean values of the maximum opening and closing velocity in the skeletal Class III surgery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2 months post-operative (opening 232.9mm/sec, closing 206.9mm/sec), but the values tended to increase in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 (opening 280.9 mm/sec, closing 319.1mm/sec). 2.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group (61.7 mm/sec), the maximum velocity of the terminal tooth contact increased in the 2 months (72mm/sec) and 8 months (105.7mm/sec) postoperative groups. 3. In the mean value of vertical freeway spac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pre-operative group, but not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 4. In the mean values of the maximum opening, the maximum anterio-posterior movement from centric-occlusion, and the lateral deviation from centric oc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surgery group (the pre-operative and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s). 5. The mature swallowing pattern was 58% in the pre-operative group, but 90% in the 2 months post-operative group, and 63% in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 6. In the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surgery group during the rest position. However, during cotton roll clench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pre-operative group, but not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

  • PDF

다양한 길이의 two-component 미니 임플란트의 응력분산에 대한 3차원적 유한요소분석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or determining the stress distribution after loading the bone surface with two-component mini-implants of varying length)

  • 최봄;이동옥;모성서;김성훈;박기호;정규림;;한성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23-430
    • /
    • 2011
  • Objective: To evaluate the extent and aspect of stress to the cortical bone after application of a lateral force to a two-component orthodontic mini-implant (OMI, mini-implant) by using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EA). Methods: The 3D-finite element models consisted of the maxilla, maxillary first molars, second premolars, and OMIs. The screw part of the OMI had a diameter of 1.8 mm and length of 8.5 mm and was placed between the roots of the upper second premolar and the first molar. The cortical bone thickness was set to 1 mm. The head part of the OMI was available in 3 sizes: 1 mm, 2 mm, and 3 mm. After a 2 N lateral force was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head part, the stress distribution and magnitude were analyzed using FEA. Results: When the head part of the OMI was friction fitted (tapped into place) into the inserted screw part, the stress was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e surface where the head part was inserted. The extent of the minimum principal stress suggested that the length of the head part was proportionate with the amount of stress to the cortical bone; the stress varied between 10.84 and 15.33 MPa.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ress level at the cortical bone around the OMI does not have a detrimental influence on physiologic bone remodeling.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3차원 디지털 모형을 이용한 순,협측 치면 곡률 (Labial and buccal surface contours of Korean normal occlusion in a three-dimensional digital model)

  • 채지현;송진욱;차정열;최정수;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95-103
    • /
    • 2008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치아형태에 적합한 브라켓 베이스를 만들기 위해 임상 치관의 순,협측 곡률을 3차원적으로 계측하여 치관의 곡률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정상적인 해부학적 형태를 가지는 구강모형 30쌍을 3차원 디지털 모델로 제작한 후, FA점을 기준으로 수평 기준면과 수직 기준면을 설정하였다. 이 기준면에 대한 치면의 곡선을 형성한 후, 곡률을 이차방정식의 계수로 표현하였다. 수평면과 수직면의 곡률과 FA점을 기준으로 근심과 원심, 치은측과 교합면측의 곡률을 측정한 결과, 상악견치와 상악 제2소구치 외에는 남녀간 치면 곡률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악 측절치, 상악 견치, 상하악 제1, 2소구치와 제1대구치에서 근원심 또는 치은교합면측 치면 곡률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p < 0.05). 본 연구에서 얻어진 순,협측 치면의 곡률 자료는 한국인의 치아 형태에 적합한 Straight Wire Appliance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3차원 콘빔CT 영상에서 형성한 2차원 정모두부방사선사진영상의 정확도 증진을 위한 두부자세재현기의 효과 (Use of Head Posture Aligner to improve accuracy of frontal cephalograms generated from cone-beam CT scans)

  • 선민규;엄기수;조진형;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289-299
    • /
    • 2009
  • 본 연구는 3차원 콘빔CT 영상을 이용하여 2차원 정모두부방사선사진영상 형성 시 두부자세재현기(Head Posture Aligner, HPA)를 이용한 경우와 이용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HPA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먼저 일반적인 방법으로 콘빔CT 영상을 채득한 후 HPA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부자세를 재현한 상태에서 또 하나의 콘빔CT 영상 및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다. 3차원 영상프로그램을 이용하여 HPA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와 HPA를 이용한 경우 각각에서 2차원 정모두부방사선사진영상을 형성한 다음 각각의 투사도를 작성하고 실제로 HPA를 이용하여 촬영된 정모두부방사선사진 투사도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거리 및 각도를 나타내는 여러 계측치를 비교분석한 결과 HPA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수의 계측항목에서 실제 정모두부방사선사진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HPA를 이용한 경우에는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아울러 실제 정모두부방사선사진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HPA를 이용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모든 항목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3차원 콘빔CT 영상을 이용하여 2차원 정모두부방사선사진영상 형성 시 정확한 영상 획득을 위해서는 콘빔CT 촬영 시 HPA의 사용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백서 전상악골 봉합부 확장시 비타민 E에 의한 골형성 촉진 (Stimulation of bone formation in the expanding inter-premaxillary suture by vitamin E, in rat)

  • Uysal, Tancan;Amasyali, Mihri;Olmez, Huseyin;Karslioglu, Yildirim;Gunhan, Omer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37-347
    • /
    • 2009
  • 본 연구는 백서에서 전상악골 봉합부의 확장시 비타민 E($\alpha$-토코페롤) 복용의 골형성 효과를 조직계측학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30마리의 50 - 60일된 백서를 6마리씩 5개 집단(대조군과 실험군 4개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실험 집단에서 50 gm의 힘으로 전상악부를 확장하였다. 장치 장착 1일 후, 대조군(Group I)에는 생리식염수를, 실험군(Group II, Group III, Group IV)에는 $\alpha$-토코페롤을 각각 2 mg/kg, 10 mg/kg, 50 mg/kg씩 전상악골 봉합부에 주사하였다. 다른 실험군(Group V)에는 장치 장착 3, 6, 9일 후 각각 10 mg/kg씩의 $\alpha$-토코페롤을 주사하였다. 10일간 유지한 뒤 봉합부에서의 골형성을 조직계측학적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Kruskal-Wallis rank 및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여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분석하였다. 신생골 면적, 둘레, 직경의 계측치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p < 0.001). $\alpha$-토코페롤을 주사한 집단에서 골 내부구조가 향상되었고, 확장으로 인한 골형성은 주사한 $\alpha$-토코페롤 용량에 비례하여 유의성있게 증가되었다. 백서에서 전상악골 봉합부의 확장시 초기 단계에서의 $\alpha$-토코페롤 주입은 골형성을 촉진하고 유지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치아전돌자와 치아밀집자의 측모두부방사선학적 비교 (What determines dental protrusion or crowding while both malocclusions are caused by large tooth size?)

  • 선민규;김재형;조진형;김정문;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30-336
    • /
    • 2009
  • 치아크기가 전반적으로 클 때 어떤 환자에서는 전돌이 나타나는 반면, 어떤 환자에서는 치아밀집 현상이 나타난다. 본 연구는 치아전돌자와 치아밀집자 간의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상의 특징을 비교함으로써 치아전돌 또는 치아밀집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치아크기가 정상에 비하여 크면서 제1급 구치관계를 가지는 치아전돌자 29명, 치아밀집자 22명을 선정한 후 중절치부터 제1대구치까지 치아크기를 비교하는 한편,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에서 투사도를 작성하고 골격형태, 설골 및 절치 위치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계측치를 설정하고 치아전돌자와 치아밀집자 양 군 간의 비교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선정된 치아전돌자와 치아밀집자의 치아크기는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골격형태를 나타내는 계측항목 중 S-N, A'-Ptm', SNA, ANB, 그리고 facial convexity에서 치아전돌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큰 값을 보였다. 또한 설골의 수직위치를 나타내는 hy-PP와 hy-MP는 치아전돌자에서 통계적으로 더 작게, 설골의 전후방 위치를 나타내는 hy'-Go는 치아전돌자에서 통계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치아전돌자가 치아밀집자에 비해 골격적으로는 상악전돌 경향을 보이고 설골의 위치는 전방 또는 전상방에 위치하고 있어 이러한 차이가 치아전돌 또는 치아밀집 결정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