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과교정학회

검색결과 2,942건 처리시간 0.024초

유성견 소구치 정출시 치아 및 치주 조직의 초기 조직학적 변화 및 재생에 관한 연구 (A HISTOLOGIC STUDY OF INITIAL CHANCE AND REPAIR OF TOOTH AND PERIODONTAL TISSUE IN EXTRUSION OF YOUNG ADULT DOGS)

  • 윤병선;차경석;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19-429
    • /
    • 1998
  • 본 실험은 유성견에서 인위적인 정출 시 조직학적, 임상학적인 반응과 시간경과에 따른 치아 및 치아 주위조직의 회복을 연구하기 위해 생후 평균 10 개월 웅성 잡종 유성견 하악 소구치를 대상으로 Energy chain을 이용한 정출 실험으로, 실험 1 군은 힘을 작용 시킨 후 일 주일만에 희생시키고 실험 2 군은 정출력을 가한 후 일 주일 후, 정출력이 제거되고 3 주간의 회복 기간 경과 후에 희생시켰다. HE 및 Masson's Trichrome 염색법을 이용하여 치아와 주위 조직의 반응을 치경부, 치근 중앙부, 치근단부, 치수부로 분류하여 광학 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힘을 가한 후 일 주일 후, 모든 부위에서 치주인대의 주행방향이 치아를 향하여 사선 방향을 나타내 주었으며 치주인대의 간격이 전반적으로 증가되었다. 또 부분적인 치주 인대의 파열이 치근단부에서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MT 소견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치조능 부위에서 미성숙 골의 형성을 보여주었다. 주위 치조골에서는 편측으로 활발한 골조직의 형성이 관찰되었다. 치수에서는 치근단 부위에서 많은 혈관의 파열을 보여 주었고 공포의 형성과 충혈을 나타냈다. 2. 힘을 제거 된 후3주간의 보정을 한 군의 모든 치주인대의 주행 방향과 간격이 대조군과 같이 회복되었으며 밀도는 치밀하게 나타났다. MT소견에서 1군에서 형성된 치조능의 미성숙 골이 석회화가 이루어짐을 보여주었고 치수의 공포와 충혈의 감소를 보여주었다. 수복과정에서의 치수의 섬유화가 더욱 진행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3주간의 회복 기간 중에도 치주 인대 부위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조직 소견을 보여 상당한 회복능력을 보였지만 치수에서는 섬유화가 진행됨을 보여 더욱 긴 회복 기간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 PDF

하악(下顎) 전돌증(前突症)에 관(關)한 방사선(放射線) 두부계측학적(頭部計測學的) 연구(硏究)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N MANDIBULAR PROGNATHISM)

  • 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5-98
    • /
    • 1979
  • This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compare the craniofacial and dental morphology of class III malocclusion with that of normal occlusin in children, and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various class III craniofacial skeletal patterns. The material selected for this study consisted in standard lateral cephalograms of eighty two Korean children, forty one boys and forty one girls, aged 10 through 12 years, having class III malocclusion, and forty two Korean children, twenty boys and twenty two girls, with normal occlusion in the same age. Using the tracings of the standard lateral cephalograms, various angular and linear measurements were recorded, tabula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and then the class III craniofacial skeletal morphology was divided into various patterns by the degree of SNA and SNB, which respectively were below, within or beyond the normal range of those of normal occlusion.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craniofacial and dental morphology of class III malocclusion were observed. 1. The cranial base length of class III malocclusion was smaller than that of normal occlusion, and the small saddle angle was a characteristic figure of class III malocclucion. 2. Maxillary length of class III malocclusion was smaller than that of normal occlusion, and point A was retropositioned relative to cranial base but not PNS in class III malocclusion. Maxillary base inclin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but occlusal plane to palatal plane was small in class III malocciusion. 3. The mandibular body length shown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but the mandibular body positioned anteriorly relative to cranial base in class III malocclusion. Ramus height, gonial angle, and mandibular effective length were large in class III malocclusion. Mandibular plane angle and joint angle ha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and occlusal plane to mandibular plane angle was large in class III malocclusion. 4. Maxillary incisor inclin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lass III malocclusion and normal occlusion, but mandibular incisors positioned and inclined lingually and consequently interincisal angle was large in class III malocclusion. 5. Class III malocclusion was divided into six categories of craniofacial skeletal pattern. The most common class III pattern was found to be one in which the maxilla was within the normal range of prognathism while the mandible extended beyond this range. The pattern in which the maxilla was below the normal range of prognathism while the mandible was within this range was approximately one fifth of the class III sample.

  • PDF

부정교합유형에 따른 하악와의 위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ITION OF GLENOID FOSSA ACCORDING TO SKELETAL DISCREPANCIES)

  • 김희곤;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25-432
    • /
    • 1995
  • 본 연구는 안면골의 수평적 및 수직관계가 위치한 하악와의 위치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기위해 18세 이상 성인 남녀 각 96명, 108명을 대상으로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촬영하였다. 이를 ANB각도에 따라 3개의 군($0.5^{\circ}$이하, $0.5^{\circ}-4.0^{\circ}$, $4.0^{\circ}$ 이상), SM-MP각도에 따라 3개의 군($30^{\circ}$이하, $30^{\circ}-38^{\circ}$, $38^{\circ}$ 이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안면골의 수평직 부조화관계(ANB)에서 하악와의 수평적위치(X)는 Class II, Class I, Class III 순으로 전방위치 하였다. 2. 하악와의 수평적 위치(X)는 ANB, SNB와 유익성있는 상관관계를 보이고, SNA와는 유의성이 없었다. 3. 안면골의 수직적 부조화(SN-MP)에서 하악와의 수직적 위치(X)는 low angle에서 가장 크며 medium, high angle 순이었다. 4. 하악와의 수직적 위치(X)는 SN-MP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SN-MP, SN-OP순으로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전두개저의 길이는 III급 부정교합에서 가장 작았다.

  • PDF

토끼모델을 이용한 미니스크류 형상에 따른 토오크의 평가 - 원통형과 원추형 간의 비교 (The comparison of torque values in two types of miniscrews placed in rabbits: tapered and cylindrical shapes - Preliminary study)

  • 김경호;정주령;유현미;박동성;장인성;경승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80-287
    • /
    • 2011
  • Objective: This study compared the stability of cylindrical miniscrews (Cy, 7 mm in length) with that of tapered miniscrews (Ta, 5 mm in length), using torque values to determine if the healing time before loading affects the stability of the miniscrew and if the insertion torque is associated with the removal torque measured after a few weeks of healing. Methods: Ta and Cy with different thread lengths were placed in the tibias of 12 female New Zealand white rabbits (body weight: 3.0 - 3.5 kg), and the maximum insertion torque values (ITV) were measured. No orthodontic forces were applied so as to allow us to determine the pure effects of the different shapes. After 3 different healing periods (2, 4, and 6 weeks), maximum removal torque values (RTV) were measured immediately before the rabbits were sacrificed. Results: No miniscrews were loosen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TV or RTV between the Ta and Cy nor we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TV and RTV between the 3 groups, which had different healing period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ITV and RTV. Conclusions: Shorter Ta showed similar stability as Cy, as determined by torque values. This result strongly suggests that the tapered shape is more advantageous than the cylindrical shape. The RTV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over time. It is recommended that a miniscrew be loaded immediately; waiting a few weeks before loading should be avoid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TV and RTV suggests that the ITV can be used to estimate a screw's future stability.

CBCT-재구성 파노라마영상의 근원심 치축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mesiodistal tooth axis using a CBCT-generated panoramic view)

  • 송인태;조진형;채종문;장나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55-26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한 삼차원 영상을 기준으로 CBCT-재구성 파노라마영상 형성 시의 신뢰성을 입증하고 CBCT 삼차원 영상과 비교하여 실제 근원심 치축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이차원 파노라마영상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모형은 두부계측방사선사진의 평균치에 따라 제작되었고 CBCT와 파노라마방사선영상 촬영을 위해 촬영 시마다 연구 모형이 반복적으로 재위치되었다. 파노라마방사선영상은 $-5^{\circ}$, $0^{\circ}$, $+5^{\circ}$로 연구 모형의 교합평면을 변화시키면서 촬영되었다. 이후 CBCT 삼차원 영상과 CBCT-재구성 파노라마영상 및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측정된 계측값을 평가하였다. CBCT 삼차원 영상과 CBCT-재구성 파노라마영상의 전치 및 견치부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대부분의 소구치부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CBCT-재구성 파노라마영상과 파노라마방사선영상은 대부분의 치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CBCT-재구성 파노라마영상이 근원심 치축 평가 시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정상교합자에서 치열궁과 기저궁 관계의 삼차원적 평가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and basal arch forms in normal occlusion)

  • 김광유;모하메드 바요미;김건태;한성호;김윤지;백승학;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88-296
    • /
    • 2011
  • Objecti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ntal and basal arch forms; to analyze their differences in the tapered, ovoid, and square arch forms in normal occlusion by using three-dimensional (3D) virtual models; an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overjet and maxillomandibular basal arch width difference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Methods: Seventy-seven normal occlusion plaster casts were examined by 3D scanning. Facial axis (FA) and WALA points were digitized using the Rapidform 2006 software. The dimensions of the dental and basal arches and the overjet were measured. The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arch forms: tapered (n = 20), ovoid (n = 20), and square (n = 37).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dental and basal arch dimensions.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intercanine as well as the intermolar widths at the FA and WALA points were calculated. Results: With regard to the basal arch dimensions, the tapered arch form showed a larger mandibular intermolar depth than the ovoid. Strong correlations were noted between the basal and dental intermolar widths in both the upper and lower arches (r = 0.83 and 0.85, respectively). Moderat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intercanine widths (r = 0.65 and 0.48,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3 dental arch form groups differed only in some dimensions of the skeletal arch. Moderat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basal and dental intercanine width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basal arch may not be a principle factor in determining the dental arch form.

Treatment modalities for Korean patients with unilateral hemifacial microsomia according to Pruzansky-Kaban types and growth stages

  • Yang, Il-Hyung;Chung, Jee Hyeok;Yim, Sunjin;Cho, Il-Sik;Kim, Sukwha;Choi, Jin-Young;Lee, Jong-Ho;Kim, Myung-Jin;Baek, Seung-Ha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36-345
    • /
    • 2020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modalities (Tx-Mods) for patients with unilateral hemifacial microsomia (UHFM) according to Pruzansky-Kaban types and growth stages. Methods: The samples consisted of 82 Korean UHFM patients. Tx-Mods were defined as follows: Tx-Mod-1, growth observation due to mild facial asymmetry; Tx-Mod-2, unilateral functional appliance; Tx-Mod-3, fixed orthodontic treatment; Tx-Mod-4, growth observation due to a definite need for surgical intervention; Tx-Mod-5, unilateral mandibular or bimaxillary distraction osteogenesis (DO); Tx-Mod-6, maxillary fixation using LeFort I osteotomy and mandibular DO/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Tx-Mod-7, orthognathic surgery; and Tx-Mod-8, costochondral grafting. The type and frequency of Tx-Mod, the number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procedures, and the number of surgeries that each patient underwent,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degree of invasiveness and complexity of Tx-Mod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reatment stage and Pruzansky-Kaban type (initial < final; [I, IIa] < [IIb, III], all p < 0.001). The percentage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procedures increased up to 4.2 times, with an increase in the Pruzansky-Kaban type (I, 24.1%; IIa, 47.1%; IIb, 84.4%; III, 100%; p < 0.001). However, the mean number of surgical procedures that each patient underwent showed a tendency of increase according to the Pruzansky-Kaban types (I, n = 1.1; IIa, n = 1.5; IIb, n = 1.6; III, n = 2.3; p > 0.05). Conclusions: These findings might be used as basic guidelines for successful treatment planning and prognosis prediction in UHFM patients.

치과 교정 환자 부모의 인성(SCL-90-R)과 환자 협조도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s' Character of Orthodontic Patients and Patients Cooperation)

  • 김종오;정동화;이진우;차경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4호
    • /
    • pp.415-422
    • /
    • 2011
  • 교정 치료에서 치과의사가 아무리 좋은 진료 술식을 가지고 있더라도, 환자의 협조도가 따르지 않는다면 좋은 치료 결과가 나오기를 기대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부모의 인성을 연구하여 자녀의 협조도와의 상관관계를 규명고자 하였다. 환자부모의 인성검사는 scl-90-r로 간이 인성검사를 하였고, 환자의 협조도는 약속시간, 장치의장착률, 장치의 파손, 진료비 납부율를 통해 협조도를 구했다. 환자 부모 인성검사 내용은 신체화척도, 강박증, 대인예민성, 우울척도, 불안척도, 적대감, 공포불안척도, 편집증 척도, 정신증 척도, 부가적 문항이었다. 여기서 상호상관관계를 알기위해 원도우 통계처리용 SPSS12.0 프로그램을 사용한 결과는 협조도와 부모인성관계는 상관관계가 없었고, 아버지와 협조도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정신 증에서 약간의 상관관계는 있었으나, 무시할 만한 수준이었다. 어머니와 협조도의 상관관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협조도간의 상관관계에서 약속과 장착, 파손, 납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결과가 나왔다. 장착과 납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악 정중 과잉치에서 발생한 함치성 낭종을 가진 환아의 치험례 (DENTIGEROUS CYST OF A MAXILLARY MESIODENS: CASE REPORTS)

  • 이인영;김태완;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48-555
    • /
    • 2008
  • 함치성 낭종은 치근단 낭 다음으로 가장 흔한 치원성 낭종으로 치관완성 후, 미맹출된 치아의 법랑질과 퇴축 법랑 상피 사이에 액체가 축적되어 발생한다. 함치성 낭종의 약 95%는 영구 치열에서 발생하지만, 과잉치와 연관된 함치성 낭종은 그 발생이 드물어, 전체 함치성 낭종 중 5-6%를 차지한다. 이러한 함치성 낭종은 호발 연령이나 성별의 관점에서 보면, 일반적인 함치성 낭종과 비슷한 특징을 가진다. 과잉치와 연관된 함치성 낭종의 대부분이 상악 정중 과잉치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악 정중 과잉치에서 발생한 함치성 낭종의 합병증은 상악 정중 과잉치의 합병증과 유사한데, 인접 영구치의 맹출 장애, 치근 흡수, 전위, 회전과 정중이개, 인접 치아에 의한 낭종의 이차적 감염 등이 있다. 상악 정중 과잉치에서 발생한 함치성 낭종의 치료법으로는 과잉치와 과잉치를 둘러싼 낭종을 함께 적출하는 방법과 낭종이 정상 치아와 근접한 경우, 과잉치를 제거한 뒤, 조대술을 통해 낭종의 크기를 감소시킨 후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과잉치와 낭종 적출 후, 변위된 인접 치아의 자발적 맹출 및 맹출 경로 변화가 관찰되기도 하나, 만약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변위된 치아의 교정적 견인 및 부가적인 교정적 처치가 필요하다. 함치성 낭종과 과잉치 각각에 관한 연구는 많이 행해졌으나, 이 두 발육 장애가 연관된 증례에 대한 보고는 상대적으로 드물다. 본 증례에서는 유치열기와 초기 혼합 치열기 아동에서 상악 정중 과잉치에 함치성 낭종이 관찰되어 과잉치와 낭종의 제거 후, 정기적 검진시 비교적 양호한 결과가 관찰되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비정상 맹출로와 치근 만곡을 지닌 매복 상악영구전치의 자가치아이식 치험례 (SURGICAL REPOSITIONING OF THE DISPLACED IMPAC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WITH DILACERATED ROOT : CASE REPORT)

  • 이예리;최성철;박재홍;김광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16-522
    • /
    • 2008
  • 매복치의 치료는 그 발생원인, 치아의 발육단계, 매복된 위치 및 맹출 경로, 환자의 협조도 등을 고려하여 치료방법을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맹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전적, 전신적 유발인자가 있다면 이의 치료와 더불어 맹출 유도를 위한 조기치료의 필요성이 있으며, 맹출에 장애를 주는 물리적 요소가 존재한다면 이를 우선적으로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맹출과 관련된 어떠한 요인이나 맹출공간 부족 등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유치 발거 이외에 치아를 외과적으로 노출시킨 후 교정장치를 부착하고 교정력을 이용하는 치아맹출 유도법, 그리고 매복치를 외과적 재위치 또는 이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자가치아이식술을 시행할 경우 치아발육 상태를 고려한 적절한 시기의 선택, 적절한 치조와 형성 및 이식치아의 발거와 식립에 있어 외상의 최소화 등이 성공에 중요한 요소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우측중절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7세 여자 환자에서 CT검사결과 상악우측중절치의 치관부가 전비극에 근접하여 협측으로 위치되어 있으며 치관부에서 만곡이 관찰되었다. 치근은 Nolla's stage 7정도의 발육을 보였으며 이에 자가치아이식을 시행하였다. 주기적인 관찰결과 치근흡수 등의 합병증 없이 양호한 치유양상이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