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측정-상관-예측

검색결과 942건 처리시간 0.031초

단백질 서열정렬 정확도 예측을 위한 새로운 방법 (A new method to predict the protein sequence alignment quality)

  • 이민호;정찬석;김동섭
    • Bioinformatics and Biosystems
    • /
    • 제1권1호
    • /
    • pp.82-87
    • /
    • 2006
  •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백질 구조 예측 방법은 비교 모델링 (comparative modeling) 방법이다. 비교 모델링 방법에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alignment의 정확도 역시 매우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비교 모델링 과정 중의 fold-recognition 단계에서 alignment의 정확도에 의해 template을 고르는 방법은 단지 가장 비슷한 template을 선택하는 방법에 비해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두 가지의 alignment에 사이의 shift 정보를 바탕으로 한 shift score라는 수치가 alignment의 성능을 표현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우리는 더 정확한 구조 예측의 첫걸음이 될 수 있는 shift score를 예측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Shift score를 예측하기 위해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이 사용되었다. 사전에 구축된 라이브러리 안의 길이가 n 인 template과 구조를 알고 싶은 query 단백질 사이의 alignment는 n+2 차원의 input 벡터로 변환된다. Structural alignment가 가장 좋은 alignment로 가정되었고 SVR은 query 단백질과 template 단백질의 structural alignment과 profile-profile alignment 사이의 shift score를 예측하도록 training 되었다. 예측 정확도는 Pearson 상관계수로 측정되었다. Training 된 SVR은 실제의 shift score와 예측된 shift score 사이에 0.80의 Pearson 상관계수를 갖는 정도로 예측하였다.

  • PDF

781MHz 대역에서 안테나 상관도를 고려한 개선된 MIMO 채널 특성 분석 방법 (Enhanced Analysis Method of MIMO Channel Characteristics with Antenna Correlation at 781MHz)

  • 정명원;정영준;백정기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7-24
    • /
    • 2013
  • 본 논문은 781MHz 대역에서 안테나 상관도를 고려한 MIMO 채널 측정을 통해,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고 채널 특성을 도출하였다. 상기 주파수 대역은 DTV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주파수로 할당이 예정된 대역이다. 781MHz 주파수 대역은 900MHz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특성이 일정부분 유사하지만, 상당히 다른 부분이 있음을 기존 연구를 통해 증명하였다. 또한, 안테나의 상관도를 고려할 경우 신호전달 과정에 대한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채널 특성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 DTV 방송과 혼신을 피하기 위하여 측정은 제주도 인근 도심지역에서 채널사운더와 $4{\times}4$ 안테나로 채널특성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도심지역에서 안테나 상관도를 고려한 채널특성을 도출하였다.

생체 외 조건의 소 대퇴골 해면질골에서 음향특성과 골밀도 사이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between Acoustic Propertie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Bovine Femoral Trabecular Bone In Vitro)

  • 황교승;서동완;이강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44-25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골절 위험도가 높은 대퇴골에서 음속 및 광대역 초음파 감쇠와 같은 음향특성과 골밀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0.5 및 1.0 MHz의 중심주파수를 갖는 두 쌍의 초음파 트랜스듀서와 함께 투과법을 이용하여 생체 외 조건에서 15개의 소 대퇴골 해면질골 샘플의 음속 및 광대역 초음파 감쇠를 측정하였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 단층촬영법을 이용하여 해면질골 샘플의 단위체적당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골밀도는 0.5 및 1.0 MHz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음속 및 광대역 초음파 감쇠와 모두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골밀도와 0.5 MHz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광대역 초음파 감쇠 사이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생체 외 조건의 대퇴골에서 측정된 음향특성이 대퇴골의 골밀도를 예측하기에 충분한 지표라는 것을 의미한다.

돼지 생체에서 부분육 형질의 추정 (Estimation of Carcass Cut Traits in Live Pigs)

  • 도창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203-212
    • /
    • 2007
  • 돼지의 부분육의 중량과 수율의 개량을 위하여 생체에서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4개의 교잡 계통돈 돼지 432두에 대하여 시기별 생체 측정치와 도축자료를 조사하였다. 생체중 및 도체중 그리고 부분육의 중량은 도축일령에 의해 영향을 거의 모두 받고 있지만 수율에 있어서는 삼겹살과 목심에만 유의성있게 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육의 형질과 시기별 생체 측정치간의 상관 조사에서 대부분의 체측정치에서 검정 종료시의 측정치가 다른 시기의 측정치보다 상관이 높게 나타났고, 부분육 형질의 예측을 위한 회귀식에서도 검정 개시와 출하시의 체측정치 보다 검정 종료시 체측정치를 이용하였을 때 결정계수가 모든 부분육의 형질에서 높아 가장 정확하게 추정하였다. 부분육 형질을 평균 출하일령으로 보정한 뒤, 검정 종료시 체측정치의 3차 다항회귀 식에 의한 부분육 형질의 예측에서 중량과 수율의 결정계수가 각각 0.59~0.68과 0.33~0.43의 범위를 보여주어 이를 돼지의 부분육 형질의 개량을 위해 활용하면 국내 선호부위가 우수한 한국형 종돈의 생산이 기대된다.

뮤지컬 전공 남학생에서 후두 높이에 따른 음향학적 측정치에 대한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acoustic measures in male musical theater students by laryngeal height)

  • 이광용;이승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4권2호
    • /
    • pp.55-6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남성 뮤지컬 전공 학생의 발성 시 고, 중, 저의 후두 높이 조건에 따른 음향학적 측정치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휴식 시 후두 융기의 높이를 기준으로 후두의 상대적 높이와 음향학적 측정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후두의 상대적 높이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남성 뮤지컬 가창 전공 남학생 5명이었으며, 고, 중, 저의 후두 위치에서 발성한 /아/ 모음을 각각 10회씩 발성하도록 하여 음향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발성 시, 휴식 시를 기준으로 고, 중, 저 위치에서의 후두 융기의 상대적 수직 위치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후두의 상대적 위치는 휴식 시를 기준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후두가 하강함에 따라 포먼트 주파수는 감소한 반면, 해당 주파수에서의 스펙트럼 에너지는 증가하였다. 포먼트 주파수는 후두의 상대적 높이와 약함-중간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를, 스펙트럼 에너지는 중간 수준의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후두의 상대적 높이는 8개의 음향학적 측정치에 의해 예측되었다(수정된 R2=.829). 이를 통하여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후두의 상대적 높이를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일부 확인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한 토양 내 Pyr 농도로부터 BaP와 총 PAH의 예측기법 (Prediction of BaP and Total PAH in Soil from Pyr Concentration using Regression Analysis)

  • 이우범;김종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18-12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발표된 PAH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BaP와 총 PAH의 예측을 위하여 통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선형회귀 및 다중회귀 분석 결과, Pyr과 BaP ($R^2=0.94$), Pyr과 ${\Sigma}PAH$ ($R^2=0.99$) 사이에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개발된 회귀식을 이용하여 다른 PAH 측정값과 비교하기 위하여 검증과 적용 연구를 시도한 경우, 예측한 PAH 농도는 서로 유사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통해서 Pyr과 BaP가 서로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이들 화합물 모두 연소기원 형태로 분류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비록 BaP나 ${\Sigma}PAH$ 예측에 어느 정도가 한계가 있을 수 있으나 개발된 회귀식을 이용할 경우 추가적인 측정 없이 PAH를 빠르게 대략적인 값을 계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공간적 상관구조를 포함하는 선형회귀모형을 이용한 강수량 자료 분석 (Precipitation Analysis Based on Spatial Linear Regression Model)

  • 정지용;진서훈;박만식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6호
    • /
    • pp.1093-1107
    • /
    • 2008
  • 매년 전 세계는 여러 자연재해로 인하여 많은 피해를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강수와 관련한 집중호우와 가뭄, 홍수, 상수원 부족 등으로 많은 손실을 입고 있다. 이러한 재해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상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따라서 강수량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실시하여 수자원을 적절하게 이용하고 재해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을 측정하는 지상기상관측지점자료에 대해 공간적 상관구조를 포함하는 선형회귀모형(크리깅)을 고려하여 세미베리오그램을 기반으로한 최소제곱법과 코베리오그램을 기반으로한 최대우도추정방법으로 남한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적절하게 파악할 수 있는 모형들을 찾고 이 모형들을 비교하였다. 공간적 선형회귀모형들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동기상관측지점과 항공기상관측지점에서 측정된 실제값과 예측값을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강수량 예측에 관한 발전 및 개선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GTEM 셀과 전자파 반-무반사실 사이의 상관관계 알고리즘 비교.분석 (Comparison of Correlation Algorithms between GTEM Cell and Semi-Anechoic Chamber)

  • 권종화;이애경;최형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88-195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GTEM 셀을 이용하여 복사장을 예측하는 알고리즘 중 대표적인 두 가지 기법인 3 방위와 15방위 기법에 대해 전자파 반-무반사실에서 측정한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론적인 다이폴 모델에 대해 이 두 가지 기법을 적용하여 접지면상의 복사장을 구하고 그 값을 이론치와 비교하였다. 두 알고리즘을 이용한 견과와 전자파 반-무반사실 측정 결과는 상관계수가 모두 0.8 이상으로 높은 상관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고, 기존 3 방위 기법에 의해 계산된 값은 전자파 반-무반사실 혹은 15 방위 기법보다 높게 계산됨을 이들 결과로부터 알 수 있었다.

동계 마우스 종양의 방사선 감수성 예측인자로서의 생물학적 표지자 (Biological Markers as Predictors of Radiosensitivity in Syngeneic Murine Tumors)

  • 장세경;김성희;신현수;성진실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28-137
    • /
    • 2006
  • 목적: 방사선 감수성이 다양한 동계(syngeneic) 마우스 종양들을 대상으로 50% 종양억제선량과 종양성장지연 등 방사선 감수성을 대변하는 지표와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아포토시스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아포토시스와 관련된 여러 유전물질의 기본(constitutive) 발현수준을 측정한 후 이들 상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방사선 감수성을 예측할 수 있는 생물학적 표지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동계 마우스 종양으로는 난소암 OCa-1, 유방암 MCa-K, 편평상피세포암 SCC-VII, 섬유육종 FSa-II, 간암 HCa-1을 사용하였고 이들은 PCR-SSCP 검사상 p53이 모두 자연형인 종양들이었고 주령 $8{\sim}10$ 주인 C3H/HeJ 웅성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50% 종양억제선량과 종양성장지연 및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아포토시스를 측정하여 이들과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아포토시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아포토시스로 방사선 감수성을 예측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 또한 아포토시스와 관련된 유전물질 $053,\;p21^{WAF1/CIP1},\;BAX,\;Bcl-2,\;Bcl-x_L,\;Bcl-X_s,\;p34$ 등의 기본 발현양상 및 발현수준을 Western blot과 농도계측기로 측정한 후 이들 상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방사선에 의해 유도된 아포토시스의 정도와 종양성장지연과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R=0.922, p=0.026). 50% 종양억제선량과의 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은 변연수준이었으나(p=0.070) 상관관계의 경향을 보였다(R=-0.848). $p21^{WAF1/CIP1}$과 p34의 기본 발현수준과 50% 종양억제선량(R=0.893, p=0.041와 R=0.904, p=0.035) 및 종양성장지연(R=-0.922, p=0.026와 R=-0.890, p=0.043)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즉, $p21^{WAF1/CIP1}$과 p34의 기본 발현수준이 낮은 경우에 방사선 감수성이 높고, 기본 발현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방사선 감수성이 낮은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방사선에 의해 유도된 아포토시스의 정도로 종양의 방사선 감수성을 예측하여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종양의 방사선 감수성을 예측할 수 있는 생물학적 표지자로 $p21^{WAF1/CIP1}$와 p34의 기본 발현수준이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초음파로 측정된 내장지방두께의 복부 비만지표로서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Visceral Fat Thickness Measured by Ultrasonography as an Abdominal Obesity Index)

  • 김용균;한만석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3호
    • /
    • pp.249-258
    • /
    • 2008
  • 목적 : 복부비만 특히 내장지방의 과잉축적은 대사증후군 발생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내장지방의 정확한 평가는 중요하며, 초음파 측정법은 간편하고, 안전하게 내장지방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음파에 의해 측정된 복부 내장지방두께와 신체계측지표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대사증후군 예측을 위한 내장지방두께 기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8년 1월부터 4월까지 대전 D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건강검진자 중 400명(남자 200명, 여자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음파 검사로 제대 바로 위에서 내장지방 및 피하지방두께를 측정하였고, 신체계 측지표로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리둘레/키 비를 측정하였으며, 대사증후군 관련인자로 혈압, 고밀도콜레스테롤(HDL-C), 중성지방(TG), 공복혈당(FBS)을 측정하였다. 초음파 측정지표와 신체계측지표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ROC곡선을 이용하여 대사증후군 예측을 위한 내장지방두께를 산출하였다. 결과 : 내장지방두께는 허리둘레(r=0.683/남, r=0.604/여), 허리둘레/키 비(r=0.633/남, r=0.595/여) 및 체질량지수(r=0.621/남, r=0.534/여)와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수축기혈압(r=0.229/남, r=0.232/여), 이완기혈압(r=0.285/남, r=0.254/여), 고밀도콜레스테롤(r=-0.254/남, r=-0.326/여), 중성지방(r=0.475/남, r=0.411/여), 공복혈당(r=0.158/남, r=0.234/여)과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사증후군 예측을 위한 내장지방두께의 cut-off value는 남자 4.58cm (민감도 89.2%, 특이도 71.2%), 여자 3.50cm (민감도 61.2%, 특이도 80.8%)이었으며, 내장지방두께가 남자에서 6cm, 여자에서 5cm 이상부터 대사중후군 위험성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결론 : 초음파로 측정된 내장지방두께는 신체계측지표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대사증후군 예측을 위한 내장지방두께 기준은 남자 4.58cm, 여자 3.50cm 이었다. 초음파로 측정된 내장지방두께는 복부비만의 유의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임상에서 복부 비만 지표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측정방법의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