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정 점데이터

Search Result 699,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Geometric Model Decimation Method for Salient Features (돌출된 특징을 위한 기하 모델 단순화 방법)

  • Kim, Soo-Kyun;An, Sung-O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1 no.4
    • /
    • pp.85-93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generating low-level geometric models with retaining salient features during decimation. Our method employs feature extraction technique for extracting feature lines defined via curvature derivatives on the model (we divide features into ridges and valleys). We add the extraction method to simplification technique (Feature Quadric Error Metric) for making coarse model with features. This paper clearly shows that experimental results have better quality and smaller geometric error than previous methods.

  • PDF

A Implementation of Virtual Reference Station System based on Gyro Sensor for High-Accuracy Location Measurement (고정밀 위치 측정을 위한 Gyro Sensor기반의 전자기준점 시스템 구현)

  • Kwon, Young-Wook;Jung, Se-Hoon;Sim, Chun-B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860-86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지각의 실시간 측량과 데이터 수집을 위해 Gyro Sensor기반의 전자기준점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GPS 모듈, 환경 센서 및 Gyro Sensor를 이용하여 측량값을 데이터화하고 데이터값을 CDMA 모듈 방식을 이용해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측정값을 사용자 기반의 시스템 GUI를 구현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Comparing the Performances of Intent Classifications by Encoder Layer (Encoder Layer를 이용한 의도 분류 성능 비교)

  • Ahn, Hyeok-Ju;Kim, Hye-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410-413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분류 모델의 주류로 사용되고 있는 Encoder 기반 사전학습 모델(BERT, ALBERT, ELECTRA)의 내부 Encoder Layer가 하부 Layer에서는 Syntactic한 분석을 진행하고 상부 Layer로 갈수록 Semantic 한 분석을 진행하는 점, Layer가 구성됨에 따라 Semantic 정보가 Syntactic 정보를 개선해 나간다 점에 기반한 기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Encoder Layer를 구성함에 따라 어떻게 성능이 변화하는지 측정한다. 그리고 의도 분류를 위한 학습 데이터 셋도 분류하고자 하는 성격에 따라 Syntactic한 구성과 Semantic한 구성을 보인다는 점에 착안하여 ALBERT 및 ELECTRA를 이용한 의도 분류 모델을 구축하고 각 데이터 셋에 맞는 최적의 Encoder Layer 구성을 가지는 모델을 비교한 결과, 두 데이터 셋 간에 다른 Layer 구성을 보이는 점과 기존 모델보다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 PDF

Data Analysis for Plasma Equipment Sensor data (플라즈마 공정 장비의 센서데이터 분석 연구)

  • Ryu, Jinseung;Jeong, Minjoong;Jung, He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05a
    • /
    • pp.25-26
    • /
    • 2022
  • 플라즈마 공정장비 지능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플라즈마 공정장비에서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다양한 조건 값에 따라 변화되는 플라즈마의 상태 값이 필요하며 이러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측정 센서를 사용한다. 측정 센서에서 생산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플라즈마 생성 조건 및 센서 데이터의 주요한 특징점 간의 관계성을 파악함으로써 플라즈마 공정장비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라즈마 공정장비에서 생산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데이터 분석 연구를 통한 데이터간의 연관성을 보여주도록 한다.

  • PDF

Utilization of sensor-based on-site measurement data to improve the accuracy of reservoir turbid water simulation (저수지 탁수모의 정확도 개선을 위한 센서기반 현장 계측자료 활용)

  • Jong Min Kim;Gwang Soo Kim;Se Woong Chung;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36-136
    • /
    • 2023
  • 우리나라의 강우 특성은 하절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최근 이상강우와 기상이변에 따른 집중호우 발생으로 여를철 탁수 문제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과거 '02년 태풍 루사', '03년 태풍 매미', '06년 에위니아'부터 20년 마이삭, 하이선과 같은 태풍 및 장마에 의해 탁수 유입이 급증되어 수중 탁도가 높아지며 저수지 탁수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경우 하천 및 저수지에서 물 사용량의 대부분을 이용하고 있기에 탁수 문제가 장기화 될 시 댐 하류 지역의 농업, 공업, 수생태 등 사회적, 비용적, 환경적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파악, 대응을 위한 탁수 모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탁수를 모의하기 위해서는 유량, 수온, SS, 탁도 데이터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국가측정망에서 하천 및 댐 저수지 내 SS를 측정하여 탁수를 측정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측정의 경우 채수를 통한 점단위의 측정으로 데이터 해상도가 낮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데이터 취득의 한계로 기존 조사를 통한 탁도-SS 관계식을 통해 탁수를 예측하고 있으나 과거 2003년 이후 자료를 바탕으로 산정된 식으로 불확도가 존재한다. 탁수 모의 정확도 개선을 위한 데이터 해상도 및 탁도-SS 관계식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기존 데이터 분석을 통한 미계측 기간에 대한 보간을 필요로 하며 현장 계측을 통한 탁도, SS 자료를 취득하여 탁도-SS 관계식을 최신화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탁도를 측정 센서 YSI와 SS 측정센서 레이저부유사측정기(LISST: Laser In-Situ Scattering and Transmissometry)를 활용하여 자료를 취득하고 탁도-SS 산정식을 최신화 하였다. 또한 기존 국가 수질 측정망 데이터 및 기상 자료 데이터를 취득하여 데이터 분석을 통해 미계측 기간에 대한 데이터를 보간하여 탁수 모의 입력자료를 개선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탁수 모의 정확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Data Context-Based Risk Measurement Method for Pseudonymized Information Processing

  • Kim, Dong-Hy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6
    • /
    • pp.53-63
    • /
    • 2022
  • Recently, as digital transformat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ccelerates, data to improve individual quality of life is being used in large quantities, and more reinforced non-identification processing procedures are required to utilize the most valuable personal information among data. In Korea, procedures for de-identification measures are presented through amendments to laws and guidelines, but there is no methodology to measure the level of de-identification in the field due to ambiguous processing standards and subjective risk measurement methods.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policy and guidelines related to de-identification measures proposed at home and abroad to derive complementary points, suggests a data context-based risk measurement method centered on pseudonymized information processing, and verifies its validity. As a result of verification through Delphi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FGI), it was confirmed that the need for the proposed methodology and the validity of the indicators were high.

Design of 2D face recognition security planning to vulnerability (2차원 안면인식의 취약성 보안 방안 설계)

  • Lee, Jaeung;Jang,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243-245
    • /
    • 2017
  • In the face recognition technology, which has been studied a lot, the security of the face recognition technology is improved by receiving the depth data as a weak point for the 2D. In this paper, we expect the effect of cost reduction by enhancing the security of 2D by taking new features of eye flicker that each person possesses as new data information.

  • PDF

The segmentation of Korean word for the lip-synch application (Lip-synch application을 위한 한국어 단어의 음소분할)

  • 강용성;고한석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509-512
    • /
    • 2001
  • 본 논문은 한국어 음성에 대한 한국어 단어의 음소단위 분할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 단어는 원광대학교 phonetic balanced 452단어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였고 분할 단위는 음성 전문가에 의해 구성된 44개의 음소셋을 사용하였다. 음소를 분할하기 위해 음성을 각각 프레임으로 나눈 후 각 프레임간의 스펙트럼 성분의 유사도를 측정한 후 측정한 유사도를 기준으로 음소의 분할점을 찾았다. 두 프레임 간의 유사도를 결정하기 위해 두 벡터 상호간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방법중의 하나인 Lukasiewicz implication을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기존의 프레임간 스펙트럼 성분의 유사도 측정을 이용한 하나의 어절의 유/무성음 분할 방법을 본 실험의 목적인 한국어 단어의 음소 분할 실험에 맞도록 수정하였다. 성능평가를 위해 음성 전문가에 의해 손으로 분할된 데이터와 본 실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와의 비교를 하여 평가를 하였다. 실험결과 전문가가 직접 손으로 분할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32ms이내로 분할된 비율이 최고 84.76%를 나타내었다.

  • PDF

Design of auto voice warning system using bluetooth and ultrasonic sensor (블루투스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자동음성 경보 시스템 설계)

  • Park, Joon-Hoon;Kim, Jin-Min;Park, Min-Ky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377-378
    • /
    • 2008
  • 본 논문은 시각 장애인들의 보행 시 앞을 볼 수 없는 점을 바탕으로 시각을 음성으로 대체하여 장애 물체가 발생하였을 경우 안전을 위하여 위험 요소를 사전에 경보하여 알려주도록 구현하였다. 시각 장애인들이 보행 시 장애 물체가 나타났을 경우 이를 입체 변위 센서인 초음파 센서로 장애물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인 블루투스를 동하여 송 수신하여 사용자인 시각 장애인에게 소형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으로 알려주고 경고함으로써 위험 요소를 사전에 대처할 수 있도록 설계를 하였다. 초음파 입체 변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거리를 실시간 자동 거리 측정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현하고 이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송 수신하며 수신 모듈이 데이터를 음성으로 전환하여 실시간 자동 경보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보행 장애 위험물 감지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디지털화되게 시스템을 개선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Device Measuring Real-time Air Flow in Greenhouse (온실 공기유동 계측 시스템 개발)

  • Noh, Jae Seung;Kwon, Jinkyoung;Kim, Yu Yong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7 no.1
    • /
    • pp.20-26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device for measuring the air flow by space variation through monitoring program, which acquires data by each point from each environmental sensor located in the greenhouse. The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factors(air temperature, humidity, wind speed, etc.) in the greenhouse is arranged at 12 points according to the spatial variation and a large number of measurement points (36 points in total) on the X, Y and Z axes were selected. Considering data loss and various greenhouse conditions, a bit rate was at 125kbit/s at low speed, so that the number of sensors can be expanded to 90 within greenhouse with dimensions of 100m by 100m. Those system programmed using MATLAB and LabVIEW was conducted to measure distributions of the air flow along the greenhouse in real time. It was also visualized interpol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in the greenhouse. In order to verify the accuracy of CFD modeling and to improve the accuracy, it will compare the environmental variation such as air temperature, humidity, wind speed and $CO_2$ concentration in the green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