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정 단위

Search Result 2,12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vels of quantitative reasoning of units: Using open number line tasks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단위 추론 수준: 개방형 수직선 과제를 중심으로)

  • Park, Jukyung;Yeo, Sheunghyun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62 no.4
    • /
    • pp.457-471
    • /
    • 2023
  • Measurement is an imperative content area of early elementary mathematics, but it is reported that students' understanding of units in measurement situations is insufficient despite its importanc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lower-grade elementary students' quantitative reasoning of units in length measurement by identifying the levels of reasoning of units.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ponses of secon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engaged in a set of length measurement tasks using an open number line in terms of unitizing, iterating, and partitioning. As a result of the study, we categorized students' quantitative reasoning of unit levels into four levels: Iterating unit one, Iterating a given unit, Relating units, and Transforming units. The most prevalent level was Relating units, which is the level of recognizing relationships between units to measure length. Each level was illustrated with distinct features and examples of unit reaso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personalized plan to the level of unit reasoning of students is required, and the need for additional guidance or the use of customized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incomplete unit reasoning skills is necessary.

수익률 측정기간단위 변화에 따른 주식간 상관관계의 영향 연구

  • Eom, Cheol-J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10 no.1
    • /
    • pp.231-248
    • /
    • 2004
  • 본 연구는 주식간 상관관계 속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주식시장에서 1980년 1월부터 2003년 5월까지 기간동안에 수익률 측정기간단위 변화에 따라 주식수익률간 상관관계에 어떤 영향이 관찰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즉, 주식수익률간 상관관계가 시간의 함수(시간종속성)인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수익률의 측정기간단위에 따라 영향을 받는 주식수익률간 상관관계가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어떤 변화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시장모형을 이용하여 개별주식수익률 변동성의 구성요소로 분해 및 분석함으로써 그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검증결과에 의하면, 수익률의 측정기간단위가 증가함에 따라 주식수익률간 상관관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에 따라 시간의 함수임을 부정할 수 없었고, 또한 측정기간단위가 단기에서 장기로 변화함에 따라 개별주식수익률의 변동성 구성요소에서 개별기업요인에 기인하는 부분은 감소되고 시장요인에 기인하는 부분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수익률 측정기간단위는 주식수익률간 상관관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영향은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시장요인의 변화를 야기하는 것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 PDF

Dissemination Effectiveness Analysis of BMP for Paddy field spreading over wide area (논 지역 광역단위 BMP 보급 효과 분석)

  • Shin, Jae Young;Lee, Su In;Jang, Jung Ryeol;Ju, So Hee;Choi, Joo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65-565
    • /
    • 2016
  • 농림부는 농업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최적관리기법(BMP)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여 효과를 검증하였으나 이를 광역 단위로 보급하여 실제 영농지역에서 BMP의 효과를 측정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논 지역을 대상으로 물관리기술(물꼬)과 시비관리기술(완효성 비료) BMP를 보급하고 광역 단위로 BMP의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구는 새만금 지역에 위치한 전라북도 부안군 용계리 일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벼농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였다. 논에 보급된 BMP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BMP 참여 농가를 선정하여 물꼬와 완효성 비료를 보급하였으며, 용수로와 배출구 3지점을 선정하여 관개량을 측정하고 유출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관개수와 대조구, 처리구별(대조구, 물꼬, 완효성, 물꼬+완효성) 수질을 분석하여 배출구 별로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을 산정하고 이를 통해 대조구 대비 처리구의 저감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조구 대비 처리구의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의 저감율은 SS 63.6%, BOD 45.5%, $COD_{Mn}$ 26.5%, $COD_{Cr}$ 40.1%, T-N 16.0%, T-P 12.9%, TOC 11.4%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대상지구를 SO#1(완효성 비료 95%, 비참여 농가 5%), SO#2(완효성 비료 2%, 물꼬 8%, 완효성 비료+물꼬 40%, 비참여 농가 40%), SO#M(완효성 비료 96%, 비참여 농가 4%) 3개의 배출구로 구분하여 BMP 보급 효과를 측정한 결과, 대조구 대비 SO#1에서는 수질항목별로 10.6 ~ 85.5%, SO#2는 8.1 ~ 45.9%, SO#M은 10.7 ~ 86.2%의 범위로 저감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SS의 단위면적당 오염부하 저감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는 7월부터 10월까지 측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정하였기 때문에 써레질, 이앙기간에 발생한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은 포함되지 않은 결과이며, 각 배수구역별 유입량의 경우 정확한 측정에 어려움이 있어 전체 관개량 대비 관개 면적을 이용하여 단위면적당 유입량을 산정하였기 때문에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Cycle-Accurate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System for Digital Systems (디지털 시스템의 사이클 단위 전력소모 측정시스템)

  • 김관호;장래혁;신현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48-50
    • /
    • 2000
  • 저전력 시스템 설계를 위해서는 시스템의 전력 소모가 얼마나 되는지 알아내는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디바이스 수준의 전력 소모를 매 사이클 단위로 정확하게 측정하는 측정회로를 이용하여 전력 소모를 측정하는 측정 시스템 구조를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하는 사이클 단위 전력 소모 시스템은 각각의 구성요소를 기능별로 모듈화시키고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전력 소모 측정 시스템을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설계홍수의 추정

  • Kim, Seung;Kim, Nam-Won;Kim, Hyun-Jun;Kim, Hyeo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6.01a
    • /
    • pp.1-95
    • /
    • 1996
  • 전국에 산재한 수위관측지점의 관측개시 이후의 모든 홍수위 자료를 구성하고 주요 지점의 개별 홍수사상에 대한 단위도를 유도하여 지점별 대표단위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유도된 대표단위도를 이용하여 미계측 지점에 대한 단위도와 첨두홍수량을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91년과 1992년에 이어서 1993년에도 홍수위자료의 수집과 정리에 역점을 두어 관업을 수행하였으며 조선하천조사서, 조선하천조사연보, 한국수문조사연보 등의 각종 문헌에 수록되어 있는 주요 홍수사상의 수문곡선을 판독하여 전국 220개의 수위관측지점에 대하여 총 5,735개 사상의 홍수위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자료집으로 구성하였다. 홍수사상에 대한 단위도를 유도하기 위하여 시우량자료는 기상청 자료를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능형회귀방법을 이용한 단위도 유도 방법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서 홍수사상과 유도된 1mm-1hr 단위도를 보고 적합한 단위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단위도 유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대부분의 홍수사상이 지정홍수위 이상인 범위만이 정리되었는데 지정홍수위 이하의 부분은 일수위로부터 읽은 값을 참고로 하고 대수보간을 하여 자료를 구성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단위도 유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지점별 홍수사상별로 단위도를 유도하여 유역별로 총 65개 지점에 대하여 952개의 단위도를 유도하였는데 한강 유역은 16개 지점에서 263개의 단위도를 유도하였고 낙동강 유역은 28개 지점에 460개 단위도를, 금강 유역은 7개 지점 82개 단위도를, 영산강 유역은 7개 지점에서 88개 단위도를, 섬진강 유역은 7개 지점에서 59개의 단위도를 유도하였다. 유도된 단위도들을 지점별로 평균하고, 이를 참고로 하여 Nash 모형을 이용한 지점별 대표단위도를 유도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유도된 대표단위도를 유역에 따라서 지점별로 비교하여 상하류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신뢰할만한 결과로 판단되었다. 유도된 대표단위도의 첨두유량 및 첨두시간을 유역면적 등과 비교하여 그 관계를 검토하였다. 유역면적과 첨두유량 및 유역면적과 첨두시간의 관계는 비교적 일정한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미계측 유역의 1mm-1hr 단위도를 추정하였다. 2년 빈도의 설계강우량에 대해서 유역면적이 50, 100, 1,000, 10,000, 20,000$\textrm{km}^2$인 경우 첨두홍수를 추정하였으며 유출률을 0.9로 할 때 4장에서 분석, 제시된 지점별 평균연최대홍수와 비슷한 값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미계측 유역에서는 설계강우량만 주어진다면 본 연구에서 추정된 미계측 유역의 단위도 추정 방법을 이용하여 첨두홍수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단위도 유도 대상 지점은 전국의 수위관측지점이었으나 5대강을 제외한 기타 수계에 있어서는 수위자료뿐만 아니라 유량측정성과도 미비하여 단위도 유도를 하지 못하였다. 또한 유역면적 500$\textrm{km}^2$ 이하에서는 홍수위 자료는 있어도 유량측정성과가 없는 지점이 많았고 육량측정성과가 수 회에 불과한 지점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단위도를 유도할 수 없었다. 따라서 분석된 결과를 소유역으로 연장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따르며 대략 어느 정도가 될 것이라는 참고자료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현재의 여건에서는 소유역의 유량측정성과를 확충하는 일이 급선무일 것이다. 유역면적이 작은 수위 관측 지점에 대한 지속적인 유량측정이 절실히 요구된다.

  • PDF

자기 표준

  • Park, Po-Gyu;Kim, Yeong-Gyun;Kim, Gyu-Tae
    • 전기의세계
    • /
    • v.58 no.11
    • /
    • pp.51-56
    • /
    • 2009
  • 산업이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자기장의 정밀 측정 및 발생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정밀 자기장 측정기를 이용하여 생체.의료공학, 지하광물 및 매설물 탐사, 지진 및 전파방해 예측, 지구물리탐사 및 우주 자기장 분포 측정, 항법장치, 국방 및 우주항공분야, 송유관 부식 연구 등에 활용되고 있다. KRISS에서는 첨단 자기분야의 표준/정밀측정 보급 지원을 위해 자기장 범위 $20\;{\mu}T$ ~ 1.2 mT에서 비자성 실험실, 지구자기장 상쇄장치 등을 이용하여 불확도 (4 ~ 21) ${\mu}T$/T, 자기장 범위 1 mT ~ 2.5 T에서는 헬름홀스 코일, 전자석, NMR 자기장 측정기 등을 사용하여 불확도 (10 ~ 80) ${\mu}T$/T의 표준을 유지하고 있다. 자기장는 자속(magnetic flux) 및 자속밀도(magnetic flux density)로 나눌수 있으며, 그 SI 단위는 웨버(Wb, weber)와 테슬러(T, tesla)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자성재료 등의 특성을 측정하는 전문가들은 SI 단위보다는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어온 cgs 단위인 맥스웰(Mx, maxwell), 가우스(G, gauss), 외르스테드(Oe, oersted) 등에 익숙해져 있다. 앞으로 자기분야 전문가들도 기본 SI 단위로부터 소급이 유지되는 SI 자기단위의 사용을 기대해 본다.

  • PDF

Component Specification of Physical Measurement Units in Web3D (웹3D에서의 물리적 측정 단위 컴포넌트 명세)

  • Kim, Su-Hyun;Lee, Myeong-Won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5 no.6
    • /
    • pp.454-458
    • /
    • 2009
  • The technology of virtual environments has been developed with better-quality appearance on a computer display in mind, but without consideration for objects' precise measurements in physical units. With the increased application of computer graphics in a variety of areas, there is a need for precise measurement functionality in addition to visualiza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definition of physical properties using measurement units for X3D based virtual objects, to provide their precise physical information in virtual environments. To this end, we have included the physical property node in the X3D specification. The physical measurement units, such as length, mass, time, temperature, etc., are based on SI units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A New Measurement Unit for Quality control in Venture Business (벤처기업을 위한 새로운 품질관리 측정단위의 개발)

  • Ree, Sang-Bok;Park, Roh-Goo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6 no.2
    • /
    • pp.13-24
    • /
    • 2011
  • In this Paper, We study on establish for unit of measure. Quality control is means control for customer needs. We surveyed unit of measurement of quality feature of Juran and Taguchi teaching. We suggest new measure of quality feature. New quality measure which is combined with several quality control measures. Which measurement can be used management control of managerial level of company. We expect this new measurements can be applied and well used.

  • PDF

Investigation on the Students' Abilities of Reading Scales and Conceptions Related with Measuring Instruments and Units (초.중학생의 눈금 읽기 능력 및 측정 도구와 단위에 관련된 개념 조사)

  • Soh, Jong-Ah;Jong, Hee-Kyong;Jung, Yong-J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0 no.1
    • /
    • pp.1-11
    • /
    • 2000
  • This study investigated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bilities of reading scales and students' conceptions of measuring instruments and units. Seventy two students with 5th grade, sixty nine students with 7th grade, and eighty students with 9th grade were participated. Performance tests and written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ssess their scale reading abilities, individual performance test was used. Every student should measure length of an envelope, temperature of water, volume of water, etc. And to find out students' conceptions related with measuring instruments and units, written questionnaires with pictures and photographs were used. Some of the students' abilities of reading scales were considerably poor. The results of a two-plate-balance and measuring-cylinder were worse than those of a ruler, a spring-balance, and a thermometer. Many of the students had misconceptions related with measuring instruments. Some of them did not know exactly the meaning of volume, or mass, or force. So they did not know what to measure with the measuring instruments. Also students were confused with several units of volume, force, weight and mass.

  • PDF

Glucose Monitoring Device in Textile Processing (섬유공정 응용의 연속식 당 모니터링 장치 개발)

  • 이명희;최은경;정진갑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79-381
    • /
    • 2001
  • 굴절율 측정에 의하여 당 성분을 정량하는 방법을 이용한 장치로, 글루코오스의 환원성에 기초하여 산화ㆍ환원 반응을 이용한 적정법이나 흡광도 측정법과 비교하여 시약이 필요없고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보통의 굴절율 측정기(예로 Abbe refractometer)가 당 농도 0.5%일 때의 굴절율 값 단위로 측정되는 한계를 극복하여 본 당 모니터링 장치는 바탕 물질과의 굴절율 차이를 증폭한 값으로 data(differential refractive index)를 얻을수 있으므로 글루코오스 농도 0.01% 단위까지 정량할 수 있어서 0.1% 이하의 저농도도 측정 가능하며 그 이상의 농도 범위에서도 측정 오차를 줄일수 있는 장점이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