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정프레임워크

Search Result 25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스마트워크 수준 측정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Lee, Jeong-U;Lee, Hye-Je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12
    • /
    • pp.31-38
    • /
    • 2012
  • ICT의 발달과 더불어 근로의 본질이 지식근로로 바뀌어 가고 있고, 따라서 시간과 장소에 구속되지 않고 좀더 자유롭게 ICT를 활용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스마트워크가 확산되고 있다. 미래형 근로의 형태를 수용하고자 하는 스마트워크는 근무패러다임의 변화라서 정책적으로도 많은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들의 근간 자료이자 현황과 변화의 추세를 파악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워크의 추진 정도, 또는 수준을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지표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정 지표의 개발을 위해서는 복합적인 개념인 스마트워크를 좀더 정교하게 정의하고 이와 관련된 지표들을 총괄하는 프레임워크 도출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스마트워크 관련 조사들의 내용들과, 선행 학술 연구문헌들을 취합 분석하여 스마트워크의 개념을 정의하고 스마트워크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기본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있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rameworks for Outcomes Measurement of Reading Programs for Children in a Public Library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의 성과 측정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Sung Jae;Han, Sang 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5 no.3
    • /
    • pp.311-32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rameworks for evaluating reading programs for children provided by a public library. Logic Model based on outcome evaluations was applied for the framework development. While the logic model is generally composed of six factors, the frameworks developed in this study has four factors including input, activity, output, and outcome. Additionally, this study suggests outcome indicators which were driven from library data. Even though the evaluation frameworks were developed from specific programs operated by a public library, those might be able to be used to evaluate other libraries' programs for children since the target programs are commonly provided by public librari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rvice Quality Measurement Model for Local Government Website (지방자치단체 웹 사이트 품질평가모델의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Dong-Jin;Lee, Myeong-Mo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6a
    • /
    • pp.43-50
    • /
    • 2005
  • 본 연구는 기존의 평가방법 및 평가시스템의 문제점을 지적한 후, 영리조직의 성과측정 방법론인 균형성과표(BSC: Balanced Scorecard) 접근을 채택하여 지자제 웹 사이트 성과측정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 프레임워크를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을 설계하고, 프로토타입을 개발한 후, 군단위 지방자치단체의 사례를 보여줌으로써 본 프레임워크 및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보인다.

  • PDF

A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Plug-in Framework based on XML (XML 기반 플러그인 프레임워크의 성능 향상 방안)

  • Kim, Jong-Seo;Jin, Jung-Hoon;Kim, S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269-272
    • /
    • 2015
  • 소프트웨어 재사용성과 유연성에 초점을 둔 XML기반 플러그인 프레임워크는 메시지 복잡도가 증가할 경우 성능적인 약점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XML 기반 플러그인 프레임워크의 주요 구성 요소인 XML기반 객체 모델의 성능향상 방안을 제안하고, 성능측정 결과를 보인다. XML기반 객체모델은 트리구조의 객체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객체모델을 실제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Encoding시에 트리 내부의 모든 객체에 대한 전수순회를 수행하여야 하지만, 제안된 방안은 볼록단위로 복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데이터블록을 적용하여 데이터객체를 전수순회하지 않고 메시지 Encoding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성능측정 결과 메시지 복잡도 상승으로 인한 성능저하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대용량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 프레임워크로 한 단계 발전하게 되었다.

The Framework of Realistic Fabric Rendering Based on Measurement (실측 기반의 사실적 옷감 렌더링 프레임워크)

  • Nam, Hyeongil;Sim, Kyudong;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192-195
    • /
    • 2020
  • 실제 원단의 소재를 반영한 렌더링은 의류 디자인 단계에서 완성된 옷을 미리 파악하는 좋은 수단 증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기반의 원단 렌더링 방법과 실제 원단 재질을 측정하는 장치를 이용하는 실측으로부터 렌더링까지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옷감의 재질을 측정하고 렌더링 하는 방법은 두 과정에서 공통된 특정을 파라미터화하여 측정하고 렌더링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렌더링 방법으로 Ray-Tracing이 가능하고 적절한 컴퓨팅 성능을 사용하면서 최적의 렌더링 결과를 얻을 수 있는 nvidia의 오픈소스인 visRTX를 사용하였다. 또한 원단 재질 측정 장치로 렌더링에 반영되는 파라미터인 고해상도 diffuse map과 normal map을 측정하여 렌더링에 반영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원단 재질을 측정하고 렌더링하는 프레임워크를 통해서 옷을 디자인하연서 확인할 수 있는 실사 렌더링 결과물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의상 디자인 업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GQM 방법을 이용한 EA 평가모형 개발 프레임워크

  • Mun, Seong-Uk;Hong, Sa-Neu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111-116
    • /
    • 2007
  • 체계적인 정보화 투자 및 관리를 위한 전사적 아키텍처(EA)를 도입한 기관과 기업이 늘어남에 따라, EA 도입의 성과를 명확하게 평가해야 할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EA를 도입한 나라의 약 36%에서 EA의 도입 현황과 성과를 측정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범정부 정보기술아키텍처 성숙도 평가모형을 개발하는 등,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 EA 평가를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EA를 통해 추구하는 목적이 매우 다양하고, EA의 활용과 관리에 대한 표준체계가 없어 EA 평가모형의 적용 범위와 효용성은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조직의 EA 평가목적에 적합한 평가 대상 및 척도를 체계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EA 평가모형 개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프레임워크는 IEEE Std 1471의 아키텍처 표현 개념 프레임워크를 EA에 적용하여 EA 평가모형 체계를 구성하고, EA 내부와 외부 이해당사자의 관심사항을 토대로 GQM 기법을 적용하여 EA 평가의 대상인 관점(viewpoint)과 평가 척도(metric)를 도출한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를 적용하면 기업 및 조직의 EA 이해당사자가 의도하는 목적이 반영된 EA 평가모형을 개발할 수 있다. 모형의 상세화와 더불어 프레임워크를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객관적인 평가기준과 모형 개발과 적용을 지원하는 도구에 대한 연구가 향후 과제이다.

  • PDF

A Study on Reusability Metric of Framework for Embedded Software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위한 프레임워크의 재사용성 메트릭에 관한 연구)

  • Cho, Eun-Sook;Kim, Chul-Jin;Lee, Sook-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11
    • /
    • pp.5252-5259
    • /
    • 2011
  • Both Optimization and Reuse Technology are considered as core technologies handling the values of products in embedded software. Framework technology is a typical type of optimization and reuse technology. When we develop software based on framework, The effect of reusability as well as development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However, currently the form of framework-based development is very poor in embedded software development. Furthermore, because framework development is also beginning stage in embedded software development, there are questions whether developing framework can bring reusability effect. In this paper, we propose metrics measuring reusability of framework which is designed for improving reusability of embedded software. As as result of applying proposed metrics into real design cases, we can obtain more effective results in framework-based design than existing design.

An Effectiveness Measurement Framework of Comparison Shopping and the Role of Comparison Challenge (비교구매의 효과성 측정을 위한 프레임워크와 비교도전의 역할)

  • Lee, J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316-323
    • /
    • 2005
  • 본 연구는 비교구매의 효과성 측정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비교구매의 역할과 효과성을 설명한다. 또한 판매자 주도형 비교도전이 보다 효율적인 비교구매 정보의 제공 방법임을 증명한다. 구매자의 구매만족도(S)는 판매자의 제품경쟁력 벡터(P)와 구매자의 제품정보 인지수준 벡터(B)간의 상호작용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구매자의 제품정보 인지수준은 제품 정보분석을 통한 제품간의 비교행렬(C)에 의해 변화된다. 비교구매 효과성은 비교 전과 후의 구매만족도의 변화량으로 측정되며, 비교구매의 역할은 비교행렬을 제공해 구매자의 제품정보 인지수준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보다 효율적인 방법은 판매자가 비교행렬의 구성요소 중에서 비교 효과성이 큰 경쟁 제품들에 능동적으로 비교하도록 하는 비교도전방법이다. 예제실험을 통해 비교구매가 9.32%, 비교도전이 19.11%의 효과성 결과를 보였으며, 도출된 비교도전 전략으로 효과성은 더욱 향상되었다.

  • PDF

DAQUM Component Design and Implementation in Chamois Component System (샤모아 컴포넌트 시스템에서의 DAQUM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

  • Kim, Eun-Hee;Choi, Byou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c
    • /
    • pp.1761-1764
    • /
    • 2003
  • 샤모아 프레임워크(Chamois Framework)는 독특한 컴포넌트를 지니고 있는 새로운 지식공학 프레임 워크이다. 이러한 대용량의 데이터 소스로부터 의미 있는 지식을 추출하는 지식공학 시스템에서 소스 데이터의 품질을 보장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의 품질 측정 도구인 DAQUM(DAta OUality Measurement) 컴포넌트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주요 내용을 기술하고, 컴포넌트 기반의 구조를 가지는 샤모아 프레임워크에서 DAQUM의 역할 및 동작에 대해 기술한다.

  • PDF

A Framework for Quality Dimensions Measurement of Context Information (상황정보의 품질요소 측정 프레임워크)

  • Kim, Young-Hee;Lee, Keum-Su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1 no.6 s.44
    • /
    • pp.201-210
    • /
    • 2006
  • This study proposed a framework to clarify a viewpoint of quality problems, and to consider reliance, of context information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The framework is structured as a sequence of steps in measuring the quality of context information. The first step in measuring the qualify of context information is to determine users of the context information. This is important because the type of users or applications determines the type of context information and thus the methods of measuring the qualify dimensions and the thresholds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context information. The other steps include methods for measuring each quality dimensions to allow quantitative evaluation of quality, establishing acceptable quality targets. We selected accuracy, completeness, up-to-dateness, access security, and representation as quality dimensions and proposed their measurement methods and concrete procedures. We enabled objective evaluation of quality level through proposal of methods suitable to quality measurement of context inform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