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정표준

Search Result 3,901,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Uncertainty Assesment for Moving-boat ADCP Discharge Measurements by GUM Framework (GUM 표준안 기반 이동식 ADCP 유량 측정 불확도 평가)

  • Kim, Dongsu;Kim, Jo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1-71
    • /
    • 2017
  • 하천에서 평수기 유량측정은 도섭법을 이용하기 위한 지점식 측정보다는 초음파 도플러 유속계(ADCP,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를 보트에 탑재하여 운용하는 측정 방식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 ADCP는 초음파의 도플러효과를 이용하여 수심이나 횡방향의 유속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장비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down-looking ADCP는 수심방향의 유속분포와 수심을 측정하여 보트의 이동속도와의 벡터 내적을 이용하여 유량을 산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동식 ADCP 유량 측정 성과의 불확도는 제공되지 않고 있는 상황인데, 이는 불확도 산정 표준안 미비, 유속 및 수심 등 측정 요소의 관측 환경 별 불확도 정보 부족, 불확도를 산정할 수 있는 툴의 부재 등에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식 ADCP 불확도 산정 표준안을 개발하고 현장 실험을 통해 불확도 요인에 대한 규명, 불확도를 편리하게 산정할 수 있는 툴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불확도 산정 표준안으로 최근 WMO를 위시한 국제적으로 하천 유량 측정 불확도 표준안으로 채택되고 있는 GUM(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Measurement)을 기반으로 이동식 ADCP 유량 산정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불확도 적용 기법을 개발하였다. GUM 표준안을 기반으로 유량 측정불확도를 산정하기 위한 불확도 요인분석은 실규모 하천의 특성을 대부분 모의할 수 있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안동하천실험센터에서 수행된 실험자료를 기반으로 다양한 인자들에 대한 요소 별 불확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GUM 표준안에 의하면 불확도 요인들은 오차전파의 법칙에 기반하여 전체 불확도에 전파되며, 이렇게 합성된 불확도는 t-분포의 신뢰수준 95%일 경우의 보정계수 2를 곱하여 최종적으로 확장불확도를 산정하게 된다. 이동측정방식의 ADCP의 경우 GUM 표준안에 적용하여 불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수식이 방대하고,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이를 실무자가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ADCP의 유량 측정불확도를 보다 편리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ADCP 유량 측정불확도 평가 소프트웨어인 AQUA(ADCP Discharge Uncertainty Assesment)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실무자나 연구자들이 ADCP의 불확도 평가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Safety Estimation System for Prevention of Destruction based on USN (USN 기반 붕괴 안전 평가 시스템 개발)

  • Lee, Seok-Cheol;Ryu, Kwon-Sang;Na, Ho-Jun;Nahm, Se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1055-1057
    • /
    • 2010
  • 본 논문은 붕괴 안전을 위한 USN 기반의 안전 계측 시스템에 관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붕괴 안전 측정 시스템은 인적 재난의 유형 중 시공 단계에서의 붕괴 안전과 재난 발생을 억제화 하는 목적으로 실시간 계측 장치와 USN의 결합, 실시간 계측 데이터의 정보화, 전송 및 취합된 데이터로부터 붕괴 표준 안전 지수를 도출하는 방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단계별 시스템의 구성요소의 설계와 구현 방법 및 결과의 내용을 중심으로 붕괴 안전 측정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계측 데이터에 대한 실제 안전지수에 대한 결과 도출로 방재 의사 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구현을 목표로 설계하였다.

측정관리가 산업체에 기여하는 기술 및 경제적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 Ahn Byung-Duk;Ahn Ung-Hwan;Park Byoung-Sun;Cho Yo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13-231
    • /
    • 2004
  • 측정표준이 산업체에 기여하는 정도를 정성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산업 현장에서 측정표준 및 측정표준과 관련된 표준화의 적용 즉, 측정관리에 따른 기여 효과를 설명하는 기여도 사례를 살펴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몇몇 대교 기업들의 측정관리 활동을 통한 기여 사례를 통하여 측정관리가 산업체에 기여하는 기술적 및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The Standard Technical Trends of ITU-T Audience Measurement (ITU-T 이용행태 측정 표준기술 동향)

  • Oh, C.I.;Lee, H.K.;Jeong, Y.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6
    • /
    • pp.11-20
    • /
    • 2012
  • 본 동향은 ITU-T의 IPTV-GSI(Global Standardization Initiatives)에서 표준 문서로 개발되고 있는 이용행태 측정 표준기술 동향에 대하여 소개한다. 이용행태 측정 시 단말 제조사 및 IPTV 사업자들마다 개별적인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로 측정 데이터 또한 개인의 선호도나 취향을 파악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고 상호 규격 또한 맞지 않아서 사용자의 이용행태 정보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들이 제한적으로 밖에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의 이용행태 정보 수집을 위한 표준기술이 요구되었으며 유럽 표준기구인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등에서 일부 진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 초보적인 단계이고, 현재 ITU-T IPTV-GSI에서 AM(Audience Measurement)이라는 이슈로 활발하게 표준을 개발 중에 있다. 또한, 스마트TV와 스마트폰과 같은 미디어 환경의 발전에 따라 AM의 서비스 대상은 확장되어야 할 시점에 놓여있다. 본고에서는 ITU-T IPTV-GSI의 AM 표준과 이에 관련된 표준들이 다루고 있는 내용들, 그리고 현재까지의 표준화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표준화 방향 및 흐름을 파악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Algorithm for Gear Profile Measurement Using a Standard Gear (표준기어를 이용한 기어 프로파일 정밀측정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Lee, Min-Ki;Lee, Eung-Suk;Kim, Kuang-Jung;Park, Hyun-Yo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6 no.5
    • /
    • pp.555-561
    • /
    • 2012
  • In this paper, a method to control the noise and vibration of a standard gear transmitting mechanical power in the transmission insides, to things regarding a way to inspect the gear which was processed minutely. In an algorithm used to accurately measure a work gear, the measurements of the master gear are considered as the basis. The existing method considers one rotation of the standard gear and monitor gear, and that carried out mastering work in frequency ways. In this study, an algorithm to measure standard gear and monitor gear is proposed along with methods to calculate an error of the monitor gear an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precision of gear measurement. Further, the algorithm is fast and is expected to be capable of accurately measuring for mastering processing.

Uncertainty Assessment of Stationary ADCP Discharge Measurement using Standardized GUM Framework (GUM 표준안을 이용한 고정 측정 방식 ADCP의 유량 측정 불확도 평가)

  • Kim, Dongsu;Kim, Jongmin;Kim, Seo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02-102
    • /
    • 2016
  • 일반적으로 수자원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초 자료 중 하나인 유량측정 성과는 설계홍수량 산정, 지점의 수위-유량 관계곡선식 산정 등 유역의 이 치수를 위한 설계나 장 단기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2차원 및 3차원 수치해석을 위한 입력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유량측정의 성과는 이렇듯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되어지고 있는 반면 현재 국내에서는 측정의 성과에 대한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가 제시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및 BIPM, IFCC 등 6개 기구는 공동으로 측정 불확도 산정 지침서(GUM,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 1993)을 제시하였고, 최근 WMO에서는 GUM 표준안을 하천 유량 측정 불확도 산정방법으로 공인하고 있다(JCGM 100, 2008).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최근 유량 측정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ADCP의 유량 측정 성과에 대한 불확도를 GUM 표준안 기반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ADCP의 측정 방법은 고정측정 방식이고, 유속-면적법으로 계산된 유량에 대한 측정 불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은 실규모에서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에서 수행되었고, 사용된 유속 측정 장비는 SonTek사의 micro-ADV와 ADCP M9을 사용하였으며, ADV로 측정된 결과를 참값으로 가정한 후 실험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GUM 표준안 기반의 불확도 평가를 위해 사용된 관계식 및 불확도 요인들은 선행 연구들을 기반으로 하되, 본 실험을 통해 분석된 수치로 변경하여 최종적인 ADCP 유량 산정 불확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정측정 방식 ADCP의 유량 측정 결과를 GUM 표준안에 적용하여 불확도를 평가하였으며,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이동측정 방식 ADCP의 유량 측정 결과에 대한 불확도를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결과는 설계 홍수량 산정이나 수위-유량 관계 곡선식 산정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XRR 두께 표준물질용 $HfO_2 $ 박막 제작 및 특성평가

  • Yu, Byeong-Yun;Bin, Seok-Min;Jeon, Hyeon-Gu;O, Byeong-Seong;Kim, Ch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303-303
    • /
    • 2012
  • X-선 반사율 측정법(XRR)은 비파괴적인 측정방법으로 수 nm의 두께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으로 반도체 산업현장에서 많은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XRR의 두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부정확한 결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측정기기를 검증하고 보정할 수 있는 두께 표준물질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BSD (ion beam sputtering deposition)와 ALD (atomic layer deposition)를 이용하여 5 nm, 10 nm의 $HfO_2$ 박막을 제작하고, XRR용 두께 표준물질로 응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두께표준물질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박막과 기판이 안정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에 박막은 공기 중 노출에 의한 산화로 박막의 두께가 변할 수 있는 금속박막 대신에 공기 중에서도 안정한 산화물 박막인 $HfO_2$ 박막을 사용하고 기판은 Si wafer를 thermal공기 중에서도 안정한 산화물 박막인 $HfO_2$ 박막을 사용하고 기판은 Si wafer를 therma oxidation법을 이용하여 $1{\mu}m$ 두께로 제작한 비정질 $SiO_2$ 기판을 사용했다. 제작된 시료의 특성평가를 위해 XRR (X-ray reflectometer) 측정을 통해 두께, 거칠기 및 밀도를 확인하였고,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으로 두께 측정을 하여 XRR로 얻은 두께결과와 비교하였다. 측정결과를 확인하였을 때 두 증착 방법 중 ALD를 이용하여 제작한 시편에서는 박막과 기판사이의 interface가 sharp하여 반사율 곡선의 진폭이 크게 잘 나타났고 fitting 결과도 우수하여 IBSD로 증착한 시편보다 두께 표준물질로 응용하기에 더 적합하였다.

  • PDF

Quantifying Uncertainty in Cadmium Analytical Measurements (카드뮴 분석에서의 측정불확도 추정)

  • Kang, Kil-Jin;Sun, Nam-Kyu
    • Food Science and Industry
    • /
    • v.40 no.1
    • /
    • pp.27-35
    • /
    • 2007
  • 측정불확도란 시험결과에 대하여 측정량을 합리적으로 추정한 값들의 분산 특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parameter)로써 ILAC(국제시험소인정협력체) 등의 국제기구와의 측정결과에 대한상호인정 및 신뢰성 확보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국제표준(ISO/IEC 17025)에 맞는 시험분석 결과의 도출을 위해서는 먼저 소급성을 유지하고 그에 따른 불확도를 산출하여야 한다. 소급성은 실험의 모든 과정에 불확도를 가지고 끊기지 않는 비교연결을 통한 국제(국가)표준과 연관시키는 시스템으로, sampling에서 측정결과의 도출까지 소급성을 유지하는 것만이 측정결과의 신뢰성(정확 및 정밀)을 유지하는 최상의 시스템이다.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s(GUM)에 의한 불확도 계산 절차는 측정량(measurand)의 함수 표현, 입력량의 표준불확도(standard uncertainty)의 계산(표준편차, 평균의 표준편차), 합성표준불확도(combined uncertainty)의 계산, 확장불확도(expanded uncertainty)의 계산을 통한 통계적 추정을 하는 것이다. 오렌지 쥬스 중 카드뮴을 분석함에 있어서, 실험실에 대해서는 국제표준화(ISO17025) 시스템을 도입하고 분석시약 및 기기에 대하여 소급성을 유지하여,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측정불확도를 산출하였다.

A study on the Economic Impact of Measurement Standards on the Advancement of Korean Industry - with case study on measuring equipment industry - (측정표준의 국내 산업성장에 대한 기여도 분석 - 측정기기산업의 분석을 중심으로 -)

  • Ahn, Ung-Hwan;Park, Byoung-Sun;Cho, Youn-Sa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0 no.2
    • /
    • pp.361-382
    • /
    • 2007
  • As the Korea's economy grows bigger and its industrial structure advances, demands of high quality product become increasing. And the technology becomes to be more important factor than labor power and capital.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plays the key role in promoting the competitiveness of a nation. Measurement means 'Measuring with instrument', dissemination of measurement standards related with dissemination and distribution of measuring instrument. Measurement technology has been known to be the main factor of economic growth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National measurement standards is one of these factors of measurement technology.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dissemination of measurement standards to industry, we have to define its economic impact. We analysed the economic impact of measurement standards in terms of its contribution to the product induction of industry and management results using I-O Table with the quantitative data.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that the increasement of measurement standards dissemination is in complementary relation with the productivity of various industries, assembly manufacturing, in particularly.

  • PDF

Study on the evaluation of sound level testing results of power transformer in IEC standard (변압기 소음측정 결과 산출에 대한 국제표준 동향 고찰)

  • Kim, Sun-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437-438
    • /
    • 2015
  • 전력용 변압기 시험의 여러항목 중 소음은 변압기 자체의 설계 및 함께 사용되는 냉각장치들 관련 고려되는 항목들 중 하나로서 특히 그 설치장소와 관련이 되는 값이다. 전력용 변압기의 소음측정에 관한 표준으로서는 IEC 60076-10 및 IEC 60076-10-1이 있다. IEC TC14 기술위원회는 최근 IEC의 전력용변압기 표준들 중 IEC 60076-10 소음측정 및 IEC 60076-10-1 소음측정지침의 개정안을 완료하였으며 곧 발효할 예정이다. 본 글에서는 IEC 표준의 개정안의 내용에 대하여 고찰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