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정로봇

Search Result 69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Effect of Robot-Based STEAM Class on the Korean Learning of Multiculturul School Children -Focusing on After School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로봇 활용 STEAM 수업이 다문화 아동의 한국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방과 후 수업을 중심으로-)

  • Kim, Se-Min;You, Kang-S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8
    • /
    • pp.1-8
    • /
    • 2015
  •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Korean language learning effect through the STEAM class using a robot which is targeted on multicult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it, the degree of difficulty and interest of how students feel has been measured. By using the programing tool of Korean language entering base, they learn the programming commands like as variable, data type, branching statement, loop statement, etc in Korean, the effect of Korean learning has been measured. It has been examined two interviews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second semester to measure the effect of Korean language learning.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can be realized that multicultural children who have similar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sphere understood Korean language easily when they take the Korean language class by utilizing a robot, and the class had an effect on the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for multicultural children.

Evaluation Method for Communication Distance Measurement Method for Mobility Characteristics of Service Robot in Wi-Fi Network Based (Wi-Fi 네트워크 기반에서 서비스 로봇의 이동특성을 위한 통신거리 성능평가 방법)

  • Min, Sun-Ho;Seo, Chang-Ho;Hong, Do-W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3
    • /
    • pp.265-271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a communication distanc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mobility of service robots equipped with a Wi-Fi module. Service robots have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ssified services and utilize a (preferred)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lan(IEEE802.11 a/b/gin) communication method of ISM band(2.4GHz and 5.8GHz). For evaluating degradation performance of wireless data for the service robot's mobility. We measured and presented reference vectors obtained by utilizing a distance attenuation correlation method in the real world environment.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path loss of reference vectors was assigned to the Azimuth 301W and then transmission rate and the transmit throughput of the test sample were measured by the Chariot. The proposed measurement method is necessary for securing wireless LAN communication distance for mobility of mobile smart device and service robots. In addition, if the proposed measurement method os adopted, It would be expected that mobile smart device vendors would utilize the method as an effective wireless LAN mobility communication distanc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Vision-based relative position estimation for object tracking (목표물 추적을 위한 비전 기반 상대 위치 추정)

  • Lee, Jong-Geol;Park, Jong-Hun;Kim, Jin-Hwan;Huh, Uk-Yo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880-188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2차원 평면상을 주행하는 이동 로봇의 목표물에 대한 상대 위치 및 방향각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센서는 스테레오 카메라로, 이동 로봇은 3DOF의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두 개의 점을 이용하여 상대 위치 및 방향각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대 위치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외란에 의한 위치 오차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칼만 필터를 적용하여 더욱 강건한 상대 위치 추정을 한다. 마지막으로 MATLAB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외란이 존재하는 환경 하에서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한다.

  • PDF

중력장 가속도, 중력 가속도, 그리고 가속도계 측정값 사이의 관계

  • Lee, Hyeong-Geun
    • ICROS
    • /
    • v.16 no.3
    • /
    • pp.40-45
    • /
    • 2010
  • 물체의 운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관성 센서(inertial sensor)에 대한 배경 지식이 없는 사용자가 가속도계(accelerometer)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센서의 이름이 주는 혼동에 의하여 물체의 운동 가속도(acceleration)를 쉽게 얻어낼 수 있으리라 기대하게 된다. 반면, 가속도계가 실제 측정하여 주는 값은 비력 가속도(acceleration due to specific force)에 해당되므로 적절한 처리를 부가하지 않으면 기대한 바와 같이 물체의 운동 가속도를 얻을 수 없다. 가속도계의 측정값으로부터 운동 가속도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중력장 가속도 (gravitational acceleration), 중력 가속도 (acceleration due to gravity), 비력 가속도, 그리고 운동 가속도 사이의 관계를 명확하게 구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고에서는 앞선 고들에서 다룬(막대) 벡터, 좌표값, 좌표계, 좌표변환행렬, 그리고 코리올리 효과 등의 개념을 확장하여 다양한 개념의 가속도들을 구분 설명하였다.

Humanoid Robot Control Using Marionette-type Motion Conversion (마리오네트 타입 인간 동작 변환 기법을 이용한 휴머노이드 로봇 제어)

  • Yoo, Jung-Min;Ra, Sung-Kwon;Kim, Eun-Tae;Kim, Chang-H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801-1802
    • /
    • 2008
  • 마리오네트는 끝단에 연결된 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어 할 수 있는 인형이다. 본 연구는 마리오네트 원리를 적용하여 인간의 동작을 통해 로봇을 직접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인간 손과 로봇 손의 사이에 가상의 줄(Virtual Elastic strip)이 연결되어 있는 모델을 사용한다.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인간의 동작에 따라 가상 줄의 길이가 변하게 되고 가상 힘이 발생된다. 이 가상 힘을 고려하여 로봇 팔의 정동역학(Forward dynamics) 해를 구한 후, 제어를 위한 로봇의 각 관절값을 얻게 된다.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인간 동작을 실시간으로 가상 로봇의 동작으로 변환하고 제어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Weight Classification System using Robot Arm (로봇 팔을 이용한 무게 분류 시스템)

  • Lee, Se-Hoon;Kim, Hyun-A;Im, So-Jung;Jeon, Kyeong-S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339-340
    • /
    • 2018
  •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로봇은 자동화 시스템 도입에 따라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컨베이어 벨트에 올라온 물체의 무게를 측정하고, 로봇 팔이 무게별로 물건을 지정 위치에 분류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 로봇 팔끼리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데이터 값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클라우드에 데이터 값을 업로드하여 쉽게 모니터링 가능한 로봇 팔을 이용한 무게 분류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robot programming activity based on smart device (스마트기기 활용 로봇 프로그래밍 활동 개발)

  • Jang, Yun-Jae;Yoon, Il-Kyu;Lee, W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241-24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스마트기기 인식 변화를 위한 로봇 프로그래밍 수업 단계 및 인식에 대한 설문 도구를 제안한다.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환경에 노출된 어린 학습자에게 스마트기기의 올바른 활용을 위한 인식을 심어줌으로써, 스마트기기의 올바른 활용 방안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한 로봇을 조립하고 프로그래밍을 작성해 봄으로써, 스마트기기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한다. 학습자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인식은 스마트기기 활용 로봇 프로그래밍 수업의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인식의 변화를 측정한다. 특히 학습자가 수업 후 자신의 생각이 바뀐 이유를 기술함으로써, 로봇 프로그래밍 수업을 활용한 인식 변화의 요인을 파악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 PDF

Heading Error Compensation and Navigation Control of Mobile Robot using a Magentic Sensor (지자기 센서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Heading 오차 보정과 주행제어)

  • 정지봉;신위재;이상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0.08a
    • /
    • pp.117-120
    • /
    • 2000
  • 본 논문은 이동로봇이 주행 중 발생하는 heading 오차를 지자기센서를 이용하여 보정하고 주행을 정확히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로봇의 주행제어는 여러 원인에 의한 부정확성을 내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바퀴의 부정확한 기계적 정렬, 기어의 헐거워짐, 센서 신호의 잡음과 오차, 바퀴의 미끄러짐, 평탄하지 않는 표면에 의한 제도변동 등이다. 따라서, 이동명령어 수행 시 이동로봇의 heading이 의도된 대로 유지되는지를 측정하는 오차 검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센서 본 논문에서는 지자기센서를 이용하여 오차를 보정하였다. 실험은 무선 원격 제어되는 이동로봇에 지자기 센서를 부착하여 자계의 영향이 비교적 적은 평탄한 옥외에서 수행하였고, 실험 결과를 통해 지자기 센서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heading 오차 보정과 주행제어효과를 보여주었다.

  • PDF

Robot Control using Vision based Hand Gesture Recognition (비전기반 손 제스처 인식을 통한 로봇 컨트롤)

  • Kim, Dae-Soo;Kang, Hang-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197-20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로봇 컨트롤 시스템을 위해 입력 받은 영상부터 몇 가지의 손 제스처를 인식하는 비전기반 손 제스처 인식방법을 제안한다. 로봇으로부터 입력 받은 이미지는 로봇의 위치, 주변환경, 조명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한다. 본 논문은 다양한 환경에서 입력되는 영상으로부터 시스템이 로봇 컨트롤을 위해 미리 지정한 몇 가지 제스처를 인식하도록 한다. 먼저 이미지 조명 변화에 강한 손 제스처 인식을 위하여 레티넥스 이미지 정규화를 적용한 후, YCrCb 공간 상에서 입력된 영상에서 손 영역을 검출 후 위치를 추정한다. 인식된 손 영역에서 특징벡터를 추출함으로서 입력 영상내의 존재할 수 있는 손의 크기나 손의 회전각도 등에 상관없이 필요로 하는 제스처를 인식하도록 한다. 제안된 제스처 인식 결과는 로봇컨트롤을 위한 기존의 제스처인식과 비교하여 성능을 측정하였다.

The Prosodic Changes of Korean English Learners in Robot Assisted Learning (로봇보조언어교육을 통한 초등 영어 학습자의 운율 변화)

  • In, Jiyoung;Han, JeongHy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0 no.4
    • /
    • pp.323-332
    • /
    • 2016
  • A robot's recognition and diagnosis of pronunciation and its speech are the most important interactions in RALL(Robot Assisted Language Learning).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robot TTS(Text to Sound) technology in assisting Korean English language learners to acquire a native-like accent by correcting the prosodic errors they commonly make. The child English language learners' F0 range and speaking rate in the 4th grade, a prosodic variable, will be measured and analyzed for any changes in accent. We compare whether robot with the currently available TTS technology appeared to be effective for the 4th graders and 1st graders who were not under the formal English learning with native speaker from the acoustic phonetic viewpoint. Two groups by repeating TTS of RALL responded to the speaking rate rather than F0 r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