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선수

Search Result 25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Monitoring of grout material injected under a reservoir using electrical and electromagnetic surveys (전기비저항 및 전자탐사를 이용한 저수지 하부에 주입된 그라우트 재료의 모니터링)

  • Suzuki, Koichi;Oyama, Takahiro;Kawashima, Fumiharu;Tsukada, Tomoyuki;Jyomori, Akira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3 no.1
    • /
    • pp.69-79
    • /
    • 2010
  • In order to reduce leakage from a reservoir, a large amount of cement milk (grout) was injected from boreholes drilled around the shores of the reservoir, and monitored to establish the infiltration of cement milk into the bedrock under the reservoir. From laboratory tests using rock core samples, it was revealed that the resistivity of cement milk i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groundwater at this location.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the resistivity of the zones filled with cement milk would be significantly reduced. Geophysical surveys are expected to be suitable methods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grouting in improving the water-retaining performance of a reservoir. DC electrical surveys (seven in total) and two Controlled Source Audio-frequency Magneto-Telluric (CSAMT) surveys were conducted along survey lines in the reservoir to monitor the infiltration of cement milk during the grouting. Extremely low resistivity zones ($10\;{\Omega}m$ or less) were observed in resistivity sections obtained by 2D inversion. The zones are inferred to be fractured zones filled with cement milk. In sections showing the rate of change of resistivity, three zones that showed significant change showed gradual expansion to deeper parts as the grouting progressed. These zones correspond to highly permeable zones detected by Lugeon tests at grout boreholes. We have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resistivity change by DC electrical and CSAMT surveys from the surface of the reservoir. It seems that such monitoring results could be reflected in future grouting plans.

Improvement to the Methods of Discharge Computation from Float Measurements (부자측정에 의한 유량산정방법 개선)

  • Hwang, Seok-Hwan;Kim, Chi-Young;Jung, Sung-Won;Ki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852-857
    • /
    • 2006
  • 하천유량자료는 이수, 치수, 수질관리 등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수문관측 자료 중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유량자료는 여러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어서 수문자료로서 제대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홍수기 부자측정 방법에 의해 산정된 유량자료는 측정 여건, 방법, 기기 등의 한계로 인해 그 정확도가 더욱 낮다. 홍수기 부자측정 방법에 의한 유량자료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는 현장 유량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일차적으로 필요하지만, 측정된 자료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계산과정을 통하여 유량으로 환산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국내의 경우 일반적으로 여름에 집중호우가 빈발하고 경사가 급한 산지하천이 많다. 그래서 홍수시 하천의 유속이 매우 빠르고 하천수내에 부유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의해 대부분 홍수시 유속계를 이용한 유량측정이 불가하여 대안으로 부자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있다. 그 결과 평저수시 유속계 이용시에 비해 측정 및 산정과정에서 매우 큰 오차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국내의 경우 홍수시 유량측정을 위해 부자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현실임에 불구하고 부자를 이용한 유속측정 및 유량산정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였다. 외국의 경우도 부자 측정에 대한 방법론이 ISO 748과 일본수문관측에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고 USGS와 WMO에서는 거의 내용을 다루고 있지 않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는 ISO 748을 일부 참조하고 대부분 일본수문관측 기준에 준해 측정을 하고 있다. 자연하천임을 감안하면, 부자에 의한 유속 측정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오차들의 경우 적절한 구간의 선택, 충분한 측선수의 확보 등과 같은 측정기준의 개선을 통하여 상당부분 제거가 가능하다. 그러나 부자를 이용해 측정된 성과를 신뢰도 높은 유량으로 산정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측정과 더불어 과학적이고 표준화된 유량산정 기준과 절차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부자유선 모임, 홍수터 유속 미측정, 기준 흘수 미적용 등과 같은 측정 자체의 문제점을 제외하면, 부자측정 방법에 의한 유량산정시 가장 큰 오차원인은 홍수시 측정된 유속측선의 위치와 홍수 전후로 측정된 횡단면상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점과, 대부분 두 측정 구간의 평균값을 대푯값으로 사용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다년간의 유량 측정 및 검증 경험과 자료를 토대로 현장에서 부자를 이용하여 측정된 측정성과를 정확도 높은 유량자료로 산정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추정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더불어 보다 정확한 유량 산정을 위한 기준과 범주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ree dimensional GPR survey for the exploration of old remains at Buyeo area (부여지역 유적지 발굴을 위한 3차원 GPR 탐사)

  • Kim Jung-Bo;Son Jeong-Sul;Yi Myeong-Jong;Lim Seong-Keun;Cho Seong-Jun;Jeong Ji-Min;Park Sam-Gyu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49-69
    • /
    • 2004
  • One of the important roles of geophysical exploration in archeological survey may be to provide the subsurface information for effective and systematic excavations of historical remains. Ground Penetrating Radar (GPA) can give us images of shallow subsurface structure with high resolution and is regarded as a useful and important technology in archeological exploration. Since the buried cultural relics are the three-dimensional (3-D) objects in nature, the 3-D or areal survey is more desirable in archeological exploration. 3-D GPR survey based on the very dense data in principle, however, might need much higher cost and longer time of exploration than the other geophysical methods, thus it could have not been applied to the wide area exploration as one of routine procedur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 effective way of 3-D GPR survey. In this study, we applied 3-D GPR method to investigate the possible historical remains of Baekje Kingdom at Gatap-Ri, Buyeo city, prior to the excavation. The principal purpose of the investigation was to provide the subsurface images of high resolution for the excavation of the surveyed area. Besides this, another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continuous data acquisition system which was newly devised for the archeological investigation. The system consists of two sets of GPR antennas and the precise measurement device tracking the path of GPR antenna movement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Besides this hardware system, we adopted a concept of data acquisition that the data were acquired arbitrary not along the pre-established profile lines, because establishing the many profile lines itself would make the field work much longer, which results in the higher cost of field work. Owing to the newly devised system, we could acquire 3-D GPR data of an wide area over about $17,000 m^2$ as a result of the just two-days field work. Although the 3-D GPR data were gathered randomly not along the pre-established profile lines, we could have the 3-D images with high resolution showing many distinctive anomalies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old agricultural lands, waterways, and artificial structures or remains. This case history led us to the conclusion that 3-D GPR method can be used easily not only to examine a small anomalous area but also to investigate the wider region of archeological interests. We expect that the 3-D GPR method will be applied as a one of standard exploration procedures to the exploration of historical remains in Korea in the near future.

  • PDF

A Taxonomic Review of Four Sillaginid Fishes (Perciformes) from the Adjacent Waters of Korea (한국 주변해역 보리멸과(농어목) 어류 4종의 분류학적 재검토)

  • Kwun, Hyuck-Joon;Kim, Jin-Koo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2 no.2
    • /
    • pp.105-114
    • /
    • 2010
  • A taxonomic review of the family Sillaginidae was carried out based on two species (Sillago japonica and S. parvisquamis)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from 2008 to 2009 and three species (S. parvisquamis, S. aeolus and S. sihama) kept in the museum. Sillago japonica was easily distinguished from S. parvisquamis and S. sihama by lateral line scales (70~73 in S. japonica vs. 77~81 in S. parvisquamis vs. 67~70 in S. sihama) and scales above lateral line (3~4 vs. 7 vs. 5~6, respectively). Sillago aeolus differed from the other three species in having dark brown blotches on the side of body. We newly found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some measurements (snout length, pectoral fin length and $2^{nd}$ anal spine length) and the number of vertebra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 parvisquamis, suggesting the two may be different populations. Although four sillaginid species are known from Korea, only two species (S. japonica and S. parvisquamis) were found in this study; accordingly, the distribution of the remaining two species (S. sihama and S. aeolus) may be restricted to subtropical waters.

A Study on Hydrographic Survey based on Acoustic Echo-Sounder and GNSS (음향측심기와 GNSS 기반의 수로측량에 관한 연구)

  • PARK, Eung-Hyun;KIM, Dae-Hyun;JEON, Hae-Yeon;KANG, Ho-Yun;YOO, Kyung-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3
    • /
    • pp.119-126
    • /
    • 2018
  • In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Datum Level-based hydrography surveying system and the ellipsoid-based system were analyzed to acquire more consistent depth data. For the study, the ellipsoid-based surveying for hydrography was conducted twice for the same track line. And the depth was calculated by correcting rise and fall of water level (water level change by tidal energy and other marine environmental energies) respectively by the traditional water level correction method and ellipsoidally referenced water level correction method. there is able to check that Ellipsoid-based hydrographic surveying data is more improved than Datum Level-based hydrographic surveying data in aspect of level difference phenomenon in the same area (surveying line). This result shows that if the Ellipsoid-based hydrographic surveying is performed, the sea level change (tidal energy and other marine environmental energy) of the survey area in real time could be reflected to more consistent generating bathymetric data.

Geostatistical Integration of Borehole and Geophysical Data for Design of Offshore-foundation (해상기초 설계를 위한 시추조사와 물리탐사 자료의 지구통계학적 통합분석)

  • Kim, Han-Saem;Kim, Min-Gi;Kim, Joon-Young;Kim, Kwang-Lae;Chung, Choong-Ki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8 no.5
    • /
    • pp.109-120
    • /
    • 2012
  • In marine site surveys, drilling boreholes are restrictively conducted, while geophysical surveys are used with eas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arine site survey, various site survey data should be collected and analysed by adopting complementary pros and cons. In this study, the integration assessment was established to digitize 2D geo-layer based on the overlapping of a few borehole data to seismic refraction tomography and to determine 3D geo-information based on the kriging for the design of offshore-foundation. And the overlapping method was proposed considering spatial variability of the tomography and separation distance from borehole position to determine the 2D geo-layer. Finally, the integration assessment was applied to offshore wind-turbine site in Jeju-do, and its applicability was verified based on the cross-validation.

Seafloor Features around the Hupo Bank on the East Sea (동해 후포퇴(Hupo Bank) 주변의 정밀 해저지형 연구)

  • Choi, Sung-Ho;Ahn, Young-Kil;Han, Hyuk-Soo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0a
    • /
    • pp.93-96
    • /
    • 2008
  • We analyze a precise seabed feature around the Hupo Bank by using Multi-beam echosounder. Multi-beam echosounder system can observe the topography undulation according to the navigation of the survey ship by shooting wide beam. It is possible to embody a precision seabed feature because it can be make high density of incompletion depth sounding between survey lines. Through this survey, there is the Hupo Bank which is 84 km long, 1-15 km wide, 5.3-160 m deep in the center, at the west is moat, at the east is scarp and submarine canyon. The top of the Hupo Bank is the Wangdol reef that has 5.3 m in depth of water at least. Moat in survey area is 30 m long, and 30-40 m wide and has a depressed channel. The gap of depth of water in scarp is approximately 60 m and shows a characteristic of cuttig plane. Submarine canyon is 3.5 - 13.5 km wide.

  • PDF

Characteristic Analysis and Rating Development of Suspended Sediment Discharge in 2014 (2014년도 부유사량 특성분석 및 레이팅 개발)

  • Park, Yonghee;Lee, Jung Hoon;Kwon, Dongseok;Lee, YeonKil;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11-316
    • /
    • 2015
  • 하천 유사량 자료는 하천의 이 치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본 자료중 하나로서 하상변동 예측, 저수지 퇴사량 추정, 하도 계획과 설계, 유사조절 계획 수립 및 기타 구조물 등의 영향 평가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정도 높은 유사량 자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현장측정부터 분석까지 정확한 과정과 세밀한 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도 높은 유사량 자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국가 유사량 관측망 중 19개 지점(율극, 점촌, 일선교, 구미, 왜관, 선산, 죽고, 진동, 개진2, 정암, 회덕, 마륵, 나주, 학교, 남평, 영수, 선암, 구례2, 죽곡, 용서, 곡성)에 대하여 부유사량 특성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반영하여 유량-부유사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였다. 유사량 측정과정은 사전조사, 현장측정, 실험실분석, 모형적용 단계를 거친다. 사전조사 단계에서는 현장에 대한 현장안전, 지점특성 등의 현장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현장측정 계획을 수립한다. 현장측정 단계에서는 사전에 유량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측선을 나누는 등유량법과 등간격법을 사용하였으며, ISO 기준 이상의 5~8개 측선을 나누어 측정하였다. 측정장비는 D-74 부유사 채취기를 이용하여 왕복수심적분법으로 부유사량 샘플을 채취 하였다. 실험실분석은 유량조사사업단 유사분석센터에서 채취 시료에 대한 농도, 레이저 회절법을 이용한 부유사입도분석, 하상토분석(체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량-부유사량 농도 변화양상과 부유사량 특성분석을 이용한 부유사량 측정결과를 평가하였고 각 지점의 부유사량특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지수식($Q_{ss}=aQ^b$)을 이용하여 유량-부유사량관 계곡선식을 개발하였다.

  • PDF

Analysis of near-field mixing by tracing EC concentration in natural rivers (자연하천에서 EC 농도 추적을 통한 초기 혼합 구간 해석)

  • Seo, Il Won;Jung, Su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23-123
    • /
    • 2016
  • 만곡부, 합류부 등의 복잡한 지형을 갖는 자연하천에서의 오염물의 혼합 거동에 대한 이해는 수자원의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하폐수처리장과 같은 처리시설의 방류수와 같이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의 경우 하천 생태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치며, 이러한 방류수는 대부분 지류를 통해 본류로 유입되게 된다. 이러한 오염물질이 지류로부터 본류로 합류되는 초기구간(near-field)의 경우, 횡방향 및 연직방향의 혼합 거동에 대한 상세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금호강과 진천천이 좌안으로부터 합류되는 낙동강 중류 구간에서의 초기 혼합 구간의 연구를 위하여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를 이용한 농도 추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온, 전기전도도, 이온화 물질 등과 같은 자연 추적자(natural tracers)를 이용하는 농도 추적 실험은 인공추적자 물질을 이용한 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기존 추적자 실험과 비교하여 경제적, 환경적인 효과와 하폭이 넓은 중규모 이상의 하천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실험 구간에서 합류되는 2개의 지류 모두 인근 하폐수처리장으로부터 방류수가 연속적으로 유입된다. 본류에서 정해진 측선을 따라 센서가 설치된 보트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농도, 수리량 데이터를 GPS 위치 데이터와 함께 취득하였다. 실험 수행 결과, 지류인 금호강과 진천천의 EC 농도가 합류 전 낙동강 본류의 EC 기저농도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후 지류가 합류된 직후의 측선에서 측정한 EC 농도분포를 분석한 결과, 연직방향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유량이 낮을수록 연직 방향 편차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수심이 깊은 구간의 저층부로 갈수록 전기전도도의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났으며 흐름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연직 편차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횡방향 혼합의 경우 지류의 유입으로 인하여 본류 좌안 쪽에서 전기전도도의 값의 상승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하류로 이동할수록 불균등했던 전기전도도의 분포가 횡방향 혼합을 통하여 균등한 분포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River Zone Automatic Determination Technique by Grid-based Design Flood Level Influence Area (계획홍수위 영향범위 자동결정을 통한 정밀 하천구역 설정기법 개발)

  • Lim, Dong Hwa;Lee, Choon Ho;Shin, Hee Jae;Sim, Gyoo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12-312
    • /
    • 2022
  • 우리나라는 하천법 및 소하천정비법에 의거하여 하천기본계획 수립 또는 하천의 지정 및 변경고시 시 하천구역을 지정하고 있다. 하천구역은 일반적으로 제방부지 및 제방하심측 토지경계를 기준으로 지정하나, 제방이 존재하지 않는 무제부 구간의 경우 명확한 제방경계가 없는관계로 하천법 제 10조 3항에서 5항까지 별도의 기준을 통해 하천구역 지정을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천구역 설정 시 기준으로 삼는 횡단측점 자료의 경우 그 특성상 하천의 종단방향으로 불연속적인 특징을 갖고 있어 평면상 정확한 경계의 파악이 어려우며, 도로·철도 등 선형시설경계를 하천구역으로 설정 시 편입용지의 보상기준이 모호하여 다량의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정비 시 기본계획이 수립되어 각 횡단측점별 결정된 계획홍수위를 기반으로 인접 지형의 홍수위 영향범위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하천구역을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첫째로, 하천중심선의 각 측점의 위치정보와 하천의 지형을 위상정보체계로 구성하여 DB를 구축하였다. 둘째로, 측선과 측선사이 절점에 계획홍수위를 선형보간하여 부여하고 이를 지형도의 최단거리에 위치한 지형의 격자표고와 비교해 침수여부를 판단한다. 셋째, 최단거리 지형격자가 침수로 판단될 시 인접한 8개 지형격자의 지형표고와 홍수위를 비교하여 반복적으로 위 과정 수행을 통해 계획홍수위 기반 침수범위를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수치지형도에 중첩시켜 최종 정밀 하천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산정된 정밀한 하천구역 경계설정을 통해 하천 내사유지 편입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명확한 하천구역 구획기준을 정립하여 토지소유주와 담당부처 간 논의 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하천구역의 신속하고 정확한 구역설정을 통해 하천인근의 토지이용 고도화 및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