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측모 사진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1초

저신장 소아에서 성장호르몬 치료가 두개안면골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owth hormone treatment on craniofacial growth in short stature children)

  • 정성호;김진욱;박용훈;황충주;이희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27-238
    • /
    • 2010
  • 저신장이란 같은 연령 및 성별 소아들의 표준 신장 평균치에서 -2.0 SD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신장 소아의 두개안면골격의 특성을 분석하고, 성장호르몬 치료가 신장을 성장시킴과 동시에 두개안면골격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함이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저신장으로 진단받은 소아를 대상으로 성장 호르몬 치료 전 그리고 치료 후 1년, 2년 후 총 3회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의 촬영을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정과에 소장된 한국인 평균 신장의 2 표준오차 내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을 2년마다 10년간 촬영한 자료를 이용하여 저신장 소아의 연령과 성별을 기준으로 짝진 표집(paired sampling)을 하였다. 성장 호르몬 치료 전 저신장 소아는 작고 후퇴된 하악골과 편평한 두개저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 호르몬 치료 후 anterior, posterior cranial base length, upper posterior facial height,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posterior total facial height, mandibular ramus length, mandibular corpus length와 overall mandibular length 성장량이 정상군에서의 2년 성장량과 비교했을 때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도 계측에서는 saddle angle, mandibular plane angle과 ANB변화량이 정상군에서의 2년 성장량과 비교했을 때 큰 변화를 보이며 정상군의 평균치를 따라잡는 경향을 보였다. 성장 호르몬 치료는 불균형적인 성장의 징후 없이 정상화를 향한 성장(따라잡기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특히 하악과두의 성장과 후안면고경의 성장을 촉진시켜 저신장 소아의 convex한 profile을 완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ROC 분석을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수평계측방법간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HORIZOTAL MEASUREMENT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USING THE ROC ANALYSIS)

  • 최희영;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3-163
    • /
    • 1995
  • 본 연구는 III급 부정 교합을 판별하는데 있어, 수평 부조화의 진단에 이용되는 여러 진단 항목들의 진단학적 효율과 타당성을 ROC analysis로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는 연속적으로 변하는 cut-off value에서의 sensitivity와 1-specificity에 의해 그려지는 곡선으로서 진단 방법의 타당성을 결정하고, 여러 진단 방법들을 비교하는 분석법으로 알려져 있다. 부정교합자 496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X-선 계측사진과 진단모형을 이용하여, 진단모형 계측을 통해 부정교합군을 분류하였으며, 이중 III급 부정 교합자는 245명이었다. 측모 두부 X-선계측사진에서 16개의 계측항목을 선정하였으며, 이 계측항목들과 III급 부정교합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각도 계측항목에서는 $1^{\circ}$ 간격으로, 선계측항목에서는 1mm의 간격으로 sensitivity와 specificity를 구해 ROC curve를 그렸다. 그리고, 이 계측항목들의 직접적인 비교를 위해 ROC curve 아래의 면적을 계산해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III급 부정교합을 판별하는데 있어, "Wits" appraisal이 다른 계측 항목에 비해 더 나은 진단 효율을 보였다. 2. AB plane angle, ANB angle, App-Bpp distance, AF-BF distance, APDI, N perpendicular to A 와 Pog to N perpendicular의 차이, maxillomandibular differential도 높은 진단 가치를 보였다. 3. 하악골의 위치를 평가하는 계측항목은 중정도의 진단 효율을 보였다. 4. 상악골에 대한 계측항목은 III급 부정교합의 판별에 대한 진단 가치가 낮았다.

  • PDF

구호흡 어린이에서 수면호흡장애와 상기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Upper Airway and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Children with Mouth Breathing)

  • 김도영;이대우;김재곤;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38-47
    • /
    • 2019
  • 구호흡을 야기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상기도의 폐쇄이다. 구호흡은 수면호흡장애의 병인론적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어린이에서 수면호흡장애는 성장장애와 행동학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구호흡 어린이에서 수면호흡장애와 상기도와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함에 있다. 초진 설문지에서 구호흡이 있다고 응답한 7 - 9세의 20명 남자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였다. 편도평가, 구호흡 및 수면호흡장애와 관련된 설문지, 측모두부 방사선사진, 그리고 휴대용 간이수면검사를 시행하였다. 수면호흡장애에 대한 평가로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AHI), 산소불포화 지수(oxygen desaturation index, ODI)와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통해 측정한 상기도 폭경과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상기도 부위 중 후구개 거리와 후설 거리는 무호흡-저호흡 지수와 산소불포화 지수가 커질수록 좁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 = 0.002, p = 0.001). 또한, 편도의 크기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지만, 아데노이드 비대율의 경우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비정상군이 정상군에 비해 아데노이드가 비대하였다(p = 0.008). 이 연구결과를 통해 구호흡이 상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는 수면호흡장애까지 연관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Outer Canthus Indicator를 이용한 두부 자세 기록법의 재현성 (Reproducibility and reliability of head posture obtained by the outer canthus indicator)

  • 김영재;손병화;이기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77-86
    • /
    • 2010
  • 두부방사선 사진 채득 시 발생가능한 두부의 수직회전은 계측점 선정 및 계측치의 재현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진단자료의 객관화 및 중첩의 용이성을 위해 두부 회전을 최소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조직 계측점인 외안각(outer canthus)을 지표로 두부 자세를 기록하고 재현하는 방법의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정상 안모의 성인 남녀 21명에서 두부고정기에 부착한 Outer Canthus Indicator (OCI)를 이용하여 벽면응시를 통한 두부자세에서의 외안각의 위치를 계측하였다. 초진 시 두부자세에서 측모 광학 사진을 촬영하고 이틀 후 같은 계측치로 두부자세를 재현하여 얻은 두 장의 사진을 중첩하여 두부의 수직 회전과 외이도의 변위를 측정하였다. 두 명의 술자가 동일 과정을 반복했을 때 두부의 수직 회전은 각각 평균 $0.69\;{\pm}\;0.43^{\circ}$, $0.98\;{\pm}\;0.65^{\circ}$, 표준오차 0.09, 0.14로 나타났다. 외이도의 수평변위는 각각 평균 $0.90\;{\pm}\;0.72\;mm$, $0.72\;{\pm}\;0.55\;mm$, 표준오차 0.16, 0.12이고 외이도의 수직변위는 평균 $0.81\;{\pm}\;0.68\;mm$, $1.17\;{\pm}\;0.67\;mm$, 표준오차 0.15, 0.15이었다. 술자간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한 paired t-test에서 변수들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Pearson 상관분석에서 외이도의 수평 변위와 수직 변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OCI가 두부의 수직 회전에 의한 오차를 줄임으로써 규격화되고 상호 중첩 가능한 방사선 사진 및 광학 사진 자료를 채득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2차원 방사선 규격사진에서 하악골 상행지 고경의 보정분석에 관한 3차원 CT 영상 연구 (Correction of mandibular ramus height with frontal and lateral ramal inclinations in cephalograms and its effects on diagnostic accuracy of asymmetry)

  • 황현식;김형민;이기헌;임회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19-330
    • /
    • 2007
  • 안면비대칭 환자의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 시 하악골 상행지 고경의 좌우 차이를 정확히 판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2차원 방사선사진에서 정면 상행지경사도 및 측면 상행지경사도를 이용하여 하악골 상행지 고경을 보정하는 방법이 비대칭 판정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이부 편위가 있는 안면비대칭자 40명을 대상으로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촬영하고 좌우 각각의 하악골 상행지 고경을 측정하는 한편 정모 및 측모 방사선사진에서 계측된 정면 상행지 경사도 및 측면 상행지 경사도를 이용하여 상행지 고경을 3차원적 개념으로 보정한 후, 실제 3차원 영상에서의 비대칭 판정 결과와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측정결과, 정면 및 측면 상행지 경사도는 이부 편위측에 비하여 반대측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보정 후 상행지 고경의 좌우 차이는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보정 전 그리고 보정 후 각각에서 상행지 고경의 좌우비대칭 여부를 판정한 후, 3차원 영상에서의 판정을 기준으로 하여 보정에 따른 sensitivity, specificity 그리고 accuracy 변화를 살펴본 결과, specificity는 44%에서 22%로 감소하였으나 sensitivity는 74%에서 94%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accuracy가 보정 전 68%에서 보정 후 78%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면 및 측면 상행지 경사도를 이용하여 상행지 고경을 3차원적 개념으로 보정할 경우, 이는 보다 정확한 비대칭 판정에 유용함을 보여주었다.

악안면 3차원 계측시 컴퓨터 단층촬영과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의 정확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ccuracy between Computerized Tomography and Cephalogram for 3-Dimensional Measurement of Maxillofacial Structure)

  • 백종수;송재철;이희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123-137
    • /
    • 2001
  • 6개의 건조두개골상의 중요한 방사선학적 계측점에 금속구를 위치시킨 후 3-D CT와 정모 및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을 촬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만든 각각의 3차원 영상과 3차원 두부 방사선사진상의 각 계측점들이 3차원적으로 어느 정도의 정확성을 가지고 재현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두 방법에 있어서의 계측점간의 거리계측을 실계측과 비교분석 함으로써 악안면부에서의 재현성과 정확성을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3-D CT와 3차원 두부 방사선사진상의 계측점들은 반복 계측시 각각 X축 방향으로 0.23 mm와 0.30 mm, Y축 방향으로 0.27 mm와 0.25 mm, 그리고 Z축 방향으로 0.27 mm와 0.31 mm의 표준편차를 보였다. 두 방법에서 모든 계측점이 0.5 mm 이하의 표준편차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계측점이 1 mm 이하의 범위를 보인 바, 두 방법 모두 통일한 건조두개골상의 계측점의 3차원적 위치 편차가 거의 없었다. 모든 계측항목에서 실측치와 3-D CT간의 차이는 평균 0.33 mm였으며, 실측치와 3차원 두부 방사선사진간의 차이는 평균 1.13 mm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장 큰 차이를 보인 항목은 RGo과 LGo간으로 2.03 mm의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두 방법 모두 모든 항목에서 실측치와 통계적으로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gamma}=0.976{\sim}1.000$, p<0.01).

  • PDF

Frog appliance를 이용한 상악 대구치의 원심 이동: 증례 보고 (The frog appliance for upper molar distalization: a case report)

  • Bayram, Mehmet;Nor, Metin;Kilkis, Doga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0-60
    • /
    • 2010
  • 본고의 목적은 2급 1류 치열안면 구조를 가지는 한 환자에 적용된 새로이 고안된 상악 대구치 원심 이동 장치인 Frog appliance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11세의 여자 환자가 교정 치료를 위해 본 진료실로 의뢰되었다. 환자는 미약한 2급 골격관계와 2급의 대구치 및 견치 관계를 양측 모두에서 보이고 있었다. 고정성 장치 치료를 통해 양측 상악 제1대구치를 원심 이동시키는 방법을 포함하는 치료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상악 대구치를 원심 이동하기 위해 새로이 고안된 Frog appliance를 제작 및 적용하였다.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으로 치료 결과를 평가하였으며 상악 제1대구치의 원심 이동이 4개월의 치료 기간 동안 이루어 졌고 1급의 구치 관계가 얻어졌다. 총 치료 기간은 16개월이 소요되었다. 두부방사선 사진을 평가한 결과 약간의 고정원 상실과 함께 대구치의 원심 이동이 치축 이동에 가깝게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Frog appliance는 환자의 협조를 요하지 않는 장치로서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양측 대구치의 원심이동을 이룰 수 있는 구내 장치이다.

삼차원 전산화단층촬영사진과 측모두부 방사선규격사진의 계측자에 따른 계측오차에 대한 비교분석 (Comparison of the observer reliability of cranial anatomic landmarks based on cephalometric radiograph and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scans)

  • 김재영;이동근;이상한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6권4호
    • /
    • pp.262-269
    • /
    • 2010
  • Introduction: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are very important for orthognathic surgery. A small error in diagnosis can cause postoperative functional and esthetic problems. Pre-existing 2-dimensional (D) chephalogram analysis has a high likelihood of error due to its intrinsic and extrinsic problems. A cephalogram can also be inaccurate due to the limited anatomic points, superimposition of the image, and the considerable time and effort required. Recently, an improvement in technology and popularization of computed tomography (CT) provides patients with 3-D computer based cephalometric analysis, which complements traditional analysis in many ways. However, the results are affected by the experience and the subject of the investigator. Materials and Methods: The effects of the sources human error in 2-D cephalogram analysis and 3-D computerized tomography cephalometric analysis were compared using Simplant CMF program. From 2008 Jan to 2009 June, patients who had undergone CT, cephalo AP, lat were investigated. Results: 1. In the 3 D and 2 D images, 10 out of 93 variables (10.4%) and 11 out 44 variables (25%), respective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2. Landmark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2 D image were the points frequently superimposed anatomically. 3. Go Po Orb landmarks,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3 D images, were found to be the artificial points for analysis in the 2 D image, and in the current definition, these points cannot be used for reproducibility in the 3 D image. Conclusion: Generally, 3-D CT images provide more precise identification of the traditional cephalometric landmark. Greater variability of certain landmarks in the mediolateral direction is probably related to the inadequate definition of the landmarks in the third dimension.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과 컴퓨터 영상사진 (Dolphin Imaging System)의 계측치 에 관한 비교 (COMPARISONS OF MEASUREMENTS OBTAINED FROM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DIGIGRAPHS OF DOLPHIN IMAGING SYSTEM)

  • 박해준;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21-534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measurements between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digigraphs of Dolphin Imaging System. 26 Korean adult male and 24 adult female with normal occlusion were selected. For each subject lateral cephalogram was taken. Digitizing with Digigraph Work Station of Dolphin in System. was performed as well. 50 tracings and 50 digigraphs were analyzed with Yonsei, Ricketts, Burstone analyses. The comparable measurements between tracing group and digigraph group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13 of 64 comparable measurement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tracing group and digigraph group. 2. Three of the measurements with FH plane as a reference plane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insignificant difference. All measurement with SN plane as a reference plan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3. The measurements which showh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mostly short distance linear measurements while most of the angular measurem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 PDF

하악전돌증 환자의 실물 측모사진을 이용한 악교정 수술후 연조직변화 예측에 관한 연구 (THE PREDICTION OF POSTSURGICAL SOFT-TISSUE PROFILE CHANCES ASSOCIATED WITH SURGICAL CORRECTION OF THE PROGNATHIC MANDIBLE BY STANDARDIZED FACIAL PHOTOSURGERY)

  • 진근호;홍성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55-868
    • /
    • 199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possibility of using a standardized lateral facial photographs as a clinical tool which produce the prediction of postsurgical soft-tissue profile changes associated with surgical correction in skeletal CIII patients. The number of the patients involved in this study were 27 in total, including 11 male patients and 16 female patients. A practical method to the utilization of presurgical photo prediction for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has been presented. To predict postoperative facial appearance, montage photographs were superimposed on standard facial reference photos taken preoperatively. Within the limitations of its technology, postoperative predictions generated by this method were of sufficient accuracy, especially mandible and chin area, for clinical use. In addition, they provide valuable communication and diagnostic information which may be used in formulating treatment plan in cases requiring corrective orthognathic surgery. But, the lip changes were somewhat exaggerated by photo prediction. Consequently, the photo prediction seems suitable for planning profile changes in orthognathic surgery that include mobilization of one main mandibular fragment. Fu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determine whether changes of soft-tissues and hard-tissues are sufficiently reproducible so that more meaningful predictive values can be establish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