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측면연마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2초

연마휠을 이용한 측면 연마 광섬유 제작과 그 응용 (Fabrication of side-polished fiber using a polishing wheel and its applications)

  • 문정원;이준옥;황중호;정인수;윤대성;최종운;김광택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회
    • /
    • pp.50-51
    • /
    • 2002
  • 측면 연마된 광섬유 표면 위에 새로운 물질층을 형성시킨 후 광섬유 모드의 소산장(evanescent field) 결합을 유도하여 다양한 능동 및 수동 광섬유로 응용이 가능하다. 광섬유를 연마하기 위하여 쿼츠에 형성된 홈에 광섬유를 에폭시로 고정시키고 쿼츠와 함께 광섬유 클래딩을 연마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은 측면 연마된 광섬유를 연마하는데 다소 긴 시간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광섬의 클래딩을 연마휠로 제거하는 기법을 소개하고 연마된 광섬유의 클래딩 위에 금속이나 유전체층을 결합하여 기능성 광섬유 소자를 제작할 수 있음을 보인다. (중략)

  • PDF

측면 연마된 광섬유의 소산장 결합에 의한 광 증폭 (Optical amplification by evanescent field coupling of a side-polished fiber)

  • 손경락;김광택;이소영;송재원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0년도 제11회 정기총회 및 00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8-99
    • /
    • 2000
  • 코어 가까이 측면 연마한 광섬유를 이용하여 광 여파기, 편광기, 감쇠기등의 광통신 소자로 응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1]}$ 이 소자는 광섬유를 절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코어 가까이 측면 연마하여 광학적 기능을 가진 소자를 제작함으로서 공정이 간단하고 삽입손실이 작은 특성을 가지며 기계적 신뢰성이 우수하다. 측면 연마된 광섬유를 이용한 광 증폭의 경우 광섬유의 소산장(evanescent field)과 펌핑광에 의해서 여기되는 활성 물질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광 이득을 얻는다. 소산장 결합에 의한 평면도파로에서의 광 증폭$^{[2]}$ 과 다중 모드 광섬유에서의 펄스 레이저 증폭, 단일 모드 광섬유에서 632.8nm He-Ne 레이저의 연속광원 증폭$^{[3]}$ 은 이미 보고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측면 연마된 다중 모드 광섬유의 연마된 부위에 색소가 첨가된 용액을 떨어뜨림으로서 발생하는 소산장 결합에 의해서 광섬유내를 진행하는 연속적인 He-Ne 레이저 광을 증폭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중략)

  • PDF

얇은 금속층을 포함한 측면 연마 편광 유지 광섬유 결합기를 이용한 편광 분리기 (Polarization beam splitter made of side-polished polarization maintaining fiber coupler including a thin metal layer)

  • 문정원;윤대성;김효겸;김철호;김광택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발표회
    • /
    • pp.18-19
    • /
    • 2003
  • 측면 연마 광섬유 결합기는 비록 제작 공정이 다소 복잡하지만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 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는 광센서나 초고속 광통신망에 편광 유지 광섬유를 이용한 광학소자의 필요성이 증가 하고 있다. 본 논문은 얇은 중간 금속 층을 가지는 측면 연마 편광 유지 광섬유 결합기를 이용한 편광 분리기에 관한 실험 연구 결과를 보고한다. (중략)

  • PDF

측면 연마된 광섬유를 이용한 광섬유형 마흐-젠더 간섭계 센서 제작 (The Fabrications of Fiber Optical Mach-Zehnder Interferometer Sensor Using Side Polished Fiber)

  • 김준형;신은수;김광택;이현용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7
    • /
    • pp.400-401
    • /
    • 2006
  • 광-바이오센서로 이용하기 위해 광섬유 형태의 마흐-젠더 간섭계와 측면 연마된 광섬유를 결합한 구조를 제안하였고, 이를 제작 및 특성 평가하였다. 마흐-젠더 간섭계 구성은 1310nm와 1550nm 파장에서 광 파워 분기비가 50:50인 $2{\times}2$ 광커플러 2개를 제작하여 구성하였으며, 센서부로는 측면 연마한 광섬유를 이용하였다. 제작된 광섬유 형태의 마흐-젠더 간섭계 센서의 센서부 표면에 다양한 굴절률 용액을 이용하여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측면 연마된 광섬유를 이용한 마이켈슨 간섭계 센서 제작 (The Fabrications of Michelson Interferometer Sensor Using Side Polished Fiber)

  • 이상필;김준형;윤영갑;조승용;이현용;황보승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7
    • /
    • pp.388-389
    • /
    • 2006
  • 굴절률 등을 측정하기 위한 광센서로 이용하기 위해 광섬유 형태의 마이켈슨 간섭계와 측면 연마된 광섬유를 결합한 구조를 제안하였고, 이를 제작 및 특성 평가하였다. 마이켈슨 간섭계 구성은 광 파워 분기비가 50:50인 광커플러와 센서부로 사용하기 위한 측면 연마한 광섬유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광섬유의 끝단에는 거울 역할을 하도록 은(Silver)을 증착하여 구성하였다. 광섬유 형태의 마이켈슨 간섭계 센서의 센서부 표면에 굴절률 용액을 이용하여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3차원 FD-BPM을 이용한 측면 연마된 광섬유와 완전도체면 아래의 유전체 사이에서의 결합과 전파 특성의 해석 (The Analysis of Light Coupling and Propagation for The Composite Fiber-Dielectric Slab with a Conductor Cladding Using The Three Dimensional Finite Difference-Beam Propagating Method)

  • 권광희;송재원;이동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9A호
    • /
    • pp.754-762
    • /
    • 2003
  • 3차원 FD-BPM 기법을 이용하여 완전도체면 아래의 유전체와 측면 연마된 광섬유의 소산장 결합 및 전파특성에 대한 해석 연구 결과를 나타내었다. 3차원 FD-BPM 기법을 사용하기 위한 해석 구조의 구성과 적용 방법을 설명 하였으며 완전 도체를 가지는 비대칭 무한 평면 도파로와 광섬유의 코어의 굴절률 차이에 따른 결합 특성 및 필드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일반적인 대칭 및 비대칭 무한 평면 도파로와 측면 연마된 광섬유와의 결합 및 전파 특성과 서로 비교 분석하여 그 특징을 나타내었다.

폴리머 코팅된 측면 연마 단주기 격자 기반 외부 굴절률 및 온도 동시 측정 센서 연구 (Simultaneous Measurement of External Refractive Index and Temperature by Using a Side-polished Fiber Bragg Grating with a Polymer Overlay)

  • 김현주;전나람;이상배;한영근
    • 한국광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90-19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측면연마 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를 측면 연마하고 폴리머 상부층(overlay)를 형성시켜 외부 굴절률과 온도를 동시 측정할 수 있는 광섬유 센서 소자를 제안하였다. 외부굴절률 변화에 민감하지 않는 광섬유 브래그 격자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고 격자를 측면 연마한 후 폴리머 코팅에 의해 소산장 결합을 유도하여 외부 굴절률 변화를 측정하게 된다. 측면 연마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의 온도 민감도는 0.01 nm/oC로 측정되었고 폴리머 상부층의 온도 민감도는 -0.58 nm/oC로 측정되었고 선형구간 별(1.33-1.39, 1.39-1.42, 1.42-1.44) 굴절률 민감도는 498.8 nm/RIU, 694.9 nm/RIU, 1312 nm/RIU로 측정되었다.

얇은 중간 금속층을 포함한 측면 연마 광섬유 결합기를 이용한 편광 분리기 (Polarization Splitter Made of the Side-Polished Fiber Coupler Including a thin Metal Intermediate Layer)

  • 김광택;이준옥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0권9호
    • /
    • pp.651-657
    • /
    • 2003
  • 얇은 중간 금속층을 가지는 측면 연마 광섬유 결합기를 이용한 편광분리기를 구현하였다. 실험 결과는 적절한 두께론 가지는 중간 금속층은 두 측면 연마된 광섬유 사이에서 TE 편광 성분의 광결합은 차단시키는 반면 TM 편광성분의 광결합은 허용함을 보여주었다. 측면 연마 광섬유를 이용한 편광분리기 설계 및 제작 기법을 기술하였다. 제작된 편광분리기는 TE와 TM 편광에 대하여 18dB와 23dB의 분리비를 보였다. 삽입손실은 TE 편광의 경우 0.7dB, TM 편광의 경우 1.3dB로 측정되었다.

초정밀 연마기의 고성능 설계기술

  • 김태형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41.4-41
    • /
    • 2004
  • 본 발표에서는, 초정밀 연마기의 고성능화와 자동화를 위한 개념설계, 적절한 요소부품의 선택, 그리고 연마공정제어 및 형상오차보정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초정밀 Polishing 공정이 기존의 개념과는 달리 표면품질의 개선 외에 형상정밀도의 유지 또는 향상 측면에서 기술적 접근이 요구되는 사실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이제 초정밀 연마기는 Nano-meter 수준의 표면 품질과 동시에 형상정밀도 달성의 가능성을 열고 있다.

  • PDF

연마작업을 위한 로봇형 연마기의 힘제어 적용 (Appling of Force Control of the Robotic Sweeping Machine for Grinding)

  • 진태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76-281
    • /
    • 2014
  • 본 논문은 산업용 로봇을 위한 힘 피드백 제어는 사람의 감각을 기반으로 한 작업을 대체하여 구현하기에 적합한 연마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기존 연마작업의 표면 연마, 비드처리, 기계 가공 디버링 등의 공정은 그 복잡성에서 자동화가 가장 곤란하다고 인식되어 주로 인력에 의존 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연마 공구를 파지시킨 힘 제어 로봇에 의한 자동 연마 시스템의 구축과 힘 센서로부터 신호 피드백 제어 방식의 특성 파악과 연마 공정에 적응성을 검증했다. 또한 실용화를 목적을 위한 선박의 바닥 및 측면 연마에의 응용을 진행했다. 따라서 자체 제작한 연마로봇을 활용 한 표면 연마작업을 통하여 실험결과를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