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측량

검색결과 4,186건 처리시간 0.03초

수치정사사진을 이용한 연속지적도 접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in of SCM(Serial Cadastral Map) Using Digital Orthophoto)

  • 김감래;라용화;안병구;임건혁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59-464
    • /
    • 2004
  •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원점을 가진 구소삼각원점지역과 통일원점지역간의 연속지적도 접합에 있어서 수치지적도를 이용하여 제작한 두 원점지역의 연속지적도 접합도와 최신 항공측량기법으로 생성한 수치정사사진을 중첩ㆍ조정함으로써 상이한 원점으로 제작된 연속지적도 접합에 관한 효율적인 성과 유지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국민들에게 측량성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도해지적측량의 대안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수치적 해석기법의 측량방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 PDF

수치표고자료 구축을 위한 항공측량 기준국의 영향 분석 (Influence Analysis of GPS Base Station to Construct the Digital Elevation Data)

  • 박준규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23-427
    • /
    • 2010
  • 현재 GPS/INS 운영 방법은 일정한 범위 내에 GPS 지상기준국을 설치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촬영지역이 넓을 경우나 작업의 우선순위 등에 따라 지상기준국의 운영이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실수, 수신기의 오류 등으로 지상기준국을 항상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토지리정보원의 GPS 상시관측소를 활용하여 항공레이저측량 원시자료를 구축하고, 지상 기준국을 사용한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기준국이 항공레이저측량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하였다.

  • PDF

해저지형의 모델링 개선을 위한 회전변환기법 연구 (Rotation Transformation Technic for Enhancement of Seabed Modeling)

  • 김동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412-415
    • /
    • 2011
  • 최근 빈번히 발생하는 자연재해는 육상과 해상에 걸쳐 광범위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자연재해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형에 대한 측량과 모델링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에는 해상에서 돌발적인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해저지형에 대한 정밀 측량과 지형모델링이 필요하다. 그러나 해저지형을 측량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측량 시스템으로 MBES 시스템이 있으나 MBES 자료는 해저지형의 특성에 의해 오류를 포함하고 있어 측량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MBES를 이용한 해저지형 측량 자료를 모델링 시 회전변환기법을 적용하는 연구를 시도하여 회전변환기법의 활용성을 분석하였다.

  • PDF

우리나라 지자기측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omagnetic Survey in Korea)

  • 최재화;조규전;김세걸;최윤수;윤홍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5
    • /
    • 1991
  • 이 연구에서는 지자기측량에 관한 기초이론을 고찰하고 국립지리원에서 관측한(1980-1989) 지자기측량 데이타를 처리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자기원를 작성하였으며, 향후 지자기측량 기술발전을 위한 기본방향도 제시하였다.

  • PDF

GPS와 Echo Sounder 조합에 의한 수심측량에 관한 연구 (Measuring Water Depth Combined by GPS and Echo Sounder)

  • Park, Woon-Yong;Lee, Jae-One;Youn, Kyung-Chul;Song, Youn-Kyung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1-235
    • /
    • 2003
  • 실시간 동적 GPS 측위를 이용한 해저수심측량은 GPS 수신기가 이동중인 상태에서 신호단절 없이 연속적인 수심측정이 가능하며 등수심도와 등고선 제작에 정확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음향측심기는 발사파와 수신파의 도달시간을 측정하여 수심을 관측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정확한 3차원 측량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해안지역에 대한 지형 분석을 하기 위하여 기준점에 대한 정지관측을 실시하여 좌표변환계수를 산출하고, 이로부터 실시간 동적 GPS 측량과 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해운대 해수욕장과 해안을 관측하였다. 1:1,200 축척의 수치지도에서 추출한 수치표고모델에서의 체적은 97953.9 ㎥이며, 실시간 동적 GPS와 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추출한 수치표고모델에서의 체적은 95994.9 ㎥로 나타났다. 이는 수치지도에서의 체적과 측량결과의 체적이 단지 2.0%정도로 나타나 실시간 동적 GPS와 음향측심기의 결합에 의한 해저수심측량이 매우 성공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최근 디지털 측량기법을 이용한 3차원 동굴측량 (3D Cave Survey Using a New Digital Survey Technique)

  • 이강원
    • 동굴
    • /
    • 제93호
    • /
    • pp.33-41
    • /
    • 2009
  • 국내 동굴의 경우, 학술연구 및 관광사업을 목적으로 동굴에 대한 학술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동굴조사의 기초작업이라 할 수 있는 동굴내부의 정밀한 측량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동굴내부에 대해 정밀한 측량을 실시하고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구축하는 것은 동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동굴의 변화과정을 추정하는데 효율적인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최신의 디지털 측량기법들을 복합적으로 실시하는 3차원 동굴측량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측량성과 품질관리 및 전자납품을 위한 관련규정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the Rules for Quality Management and Electronic Delivery of Surveying Results)

  • 최병길;이하준;이원국;김성수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5-400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측량성과의 체계적 품질관리, 측량성과 관리업무의 효율성 향상 및 비용절감을 위하여 측량성과의 전자납품 및 품질검사의 자동화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측량성과의 품질관리 현황 및 작업규정을 분석하고, 측량성과의 전자납품 및 품질검사 자동화를 위한 기본방안을 제시하였다. 측량 성과품의 유형을 품질검사의 자동화 측면에 구분을 해보면, 첫째, 품질검사의 자동화가 불가능한 유형, 둘째, 포맷분석과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하여 자동화된 품질 검사가 가능한 유형, 셋째, 제도적인 보완을 통하여 자동화가 가능한 성과품 유형 등 세 가지 종류로 분류가 가능하다. 이러한 측량성과품의 품질검사업무의 자동화는 크게 단기간에 미시적으로 해야 할 사안들과 중 장기에 걸쳐 거시적으로 추진해야할 사안 등 두 가지 측면의 시각으로 접근해야 하며, 업무적인 측면, 제도적인 측면 및 정보기술적인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지적재조사사업 측량장비 성능 규정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Cadastral Re-Surveying Equipment)

  • 홍성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261-26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현행 지적측량 관련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지적측량에 대한 성과인정 범위와 적용 장비 규정, 관련 규정에서의 정확도와 적용 규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에서의 규정하고 있는 지적측량의 성과인정 범위에 적합한 지적측량 장비의 성능 기준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적용 장비의 성능과 성과인정 범위에 대해 현행 법률과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 규정의 비교를 통해 지적재조사사업시 장비의 성능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기초측량과 세부측량으로 구분하여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지적재조사사업을 위한 기본계획수립시 측량 장비 수급 계획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 PDF

항공측량을 위한 GPS/INS 결합에 의한 표정요소의 직접결정 (Direct Georeferencing with Integrated GPS/INS for Aerial Surveys)

  • 이재원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1999년도 학술회의 논문집 2권2호
    • /
    • pp.217-228
    • /
    • 1999
  • 최근 범국가적인 GIS구축사업을 위한 효율적인 지형공간정보취득기법에 대한 요구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HW, SW 및 데이터로 구성되는 GIS구축에서 지형자료가 차지하는 비중과 이의 취득에 필요한 노력이 매우 중요함을 반증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국내에서도 재래식측량기법의 자동화/현대화에서부터 GPS측량기술의 도입, Airborne-항공사진측량기법의 개발 및 고해상도위성영상의 활용방안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측량기술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기술축적을 서두르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위의 어떠한 측량기법도 단독으로는 정확도, 신속성, 경제성, 현재성 등 GIS 자료취득의 모든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Total Solution이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핑과 GIS-자료취득에 활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항공측량기술의 현황과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위성에 의한 위치결정시스템인 GPS와 관성항행장치인 INS를 결합하여 항공측량 분야에 필요한 센서의 위치와 회전각을 결정하므로서 시너지(Synergy)효과를 높이는 기법을 소개한다.

  • PDF

Mobile GCS를 이용한 경계 복원 측량 드론 개발 (Development of the Cadastral Boundary Points Surveying Drone Using Mobile GCS)

  • 정은지;백승현;장민석;이연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7-9
    • /
    • 2020
  • 현재 드론을 이용한 측량 기술은 '드론 사진측량' 방식이 일반적이다. '드론 사진측량' 방식은 드론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배터리 문제와 모델링 시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새로운 방식의 드론 측량 기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드론을 활용하여 수치지적의 경계점 좌표 기반의 새로운 측량 방식을 제안하여 경계 복원 측량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