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측량

검색결과 4,186건 처리시간 0.034초

GPS에 의한 지적측량기준점의 위치해석 (Positioning of Cadastral Control Points Using GPS)

  • 강준묵;김홍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09-218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지적측량기준점의 위치결정에 GPS측량을 실용화하기 위한 방법 도출에 목적을 두고 국내의 일부지역 내 지적삼각점 및 도근점을 대상으로 GPS측량을 수행하고 좌표변환기법과 GPS기선벡터에 의한 2차원 위치해석, 그리고 GPS와 지상측량데이타의 조합에 의한 위치해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존 지적측량기준망의 점검 에 GPS측량방법이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GPS기선벡터를 이용한 2차원 위치해석방법은 좌표계 변환을 하지 않고도 국내의 좌표체계에서 적용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지적도근점 위치결정과 같은 소규모 지역에서 행하는 측량에는 신속정지측량 또는 이동측량으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지적도 건물등록을 위한 타켓 TS 측량과 무타켓 TS 측량의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Target TS Surveying and Non-target TS Surveying for Building Registration of Cadastral Map)

  • 홍성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5권2호
    • /
    • pp.123-134
    • /
    • 2007
  • 지적공부 등록요소의 확대와 3차원 지적정보체계 구축을 통한 국민의 안정적인 소유권 보호 등을 위해서는 지적도에 건물경계선의 등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타켓 TS 측량방법과 무타켓 TS 측량 방법의 정확도 및 효율성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무타켓 TS 측량에 의한 건물경계선 등록의 효율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타켓 TS 측량과 무타켓 TS 측량성과의 RMS오차가 X좌표는 ${\pm}0.056m$, Y좌표는 ${\pm}0.043m$로 산출되어 무타켓 TS 측량성과의 높은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무타켓 TS 측량이 타켓 TS 측량에 비해 인원 및 관측시간 소요 면에서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비측량용 사진에 의한 위치해석의 정확도 연구 (A Study on Accuracy of Position Analysis by Non-metric photo)

  • 이종출;이병걸;심봉섭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5-106
    • /
    • 1995
  • 본연구의 목적은 근거리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하여 비측량용사진의 정확도 해석이다. 비측량용사진을 이용한 근거리사진측량은 경제성이 높고, 취급하기가 용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사진의 정확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사진의 정확도를 연구하기 위하여 우선 지형모델을 설정하고, 측량용카메라와 비측량용카메라를 이용하여 설정된 모델을 촬영하여 비교·연구였다 해석방법은 Bundle조정법과 직접선형변환법으로 해석하여 Bundle조정법이 비측량용 사진의 해석에도 양호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러므로 비측량용사진의 정확도 분석에는 Bundle조정법을 사용하여 해석하였으며, 비측량용사진도 정확도가 양호하여 실용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측량 분야의 리스크 식별을 위한 리스크 체크리스트 개발 -도로 공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isk Check List and Identification of Risk Factors for Survey in Road Construction)

  • 곽준환;박형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01-904
    • /
    • 2008
  • 측량은 건설 공사 전반에 수행되고 있기 때문에 측량이 건설 공사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측량의 리스크 식별 및 관리에 관한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공사의 시공 시 수행되는 측량에 관한 효율적인 리스크 관리를 목적으로 건설 공사 중 도로 공사에 수행되는 측량을 대상으로 리스크 관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리스크 관리는 리스크 식별, 분석, 대응의 3단계로 수행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리스크 식별 및 분석 단계에 초점을 맞추어 도로 공사의 측량 리스크 체크리스트 작성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리스크 인자의 식별에는 도로 공사 시방서, 측량법, 도로 공사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으며, 식별된 리스크를 바탕으로 도로 공사의 측량 관련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작성될 체크리스트는 측량 관련 전문가 집단의 면담 조사를 통하여 중요도를 분석하여 측량 리스크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 PDF

동굴측량

  • 입원홍
    • 동굴
    • /
    • 제3권3호
    • /
    • pp.26-28
    • /
    • 1978
  • 동굴측량은 지하에 존재하는 암흑의 동굴을 측정하는 것이어서 그 위치 규모를 표현하는 새로운 분야의 측량이다. 측량은 대별하여 평면, 횡단면, 종단면의 삼도를 나눌 수가 있는데, 여기서 서술하고자 하는 것은 하나의 기선을 중심으로 하여 앞에서 말한 삼도를 동시에 측량할 수 있는 방법이다.(중략)

  • PDF

항공디지털카메라 UltraCamX의 사진기준점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Aerial Triangulation using UltraCamX which is Airborne Digital Camera)

  • 이재원;나종기;정창식;배경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7-186
    • /
    • 2009
  • 최근 지식기반정보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정보의 수집, 처리, 서비스가 디지털 기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측량분야 역시 전통적인 아날로그 기반에서 디지털 기반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항공사진측량분야에서도 아날로그항공사진측량에서 디지털항공사진측량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아날로그항공사진측량과 UltraCamX를 이용한 디지털항공사진측량의 사진기준점측량 및 블록조정 후 잔차 특성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진기준점측량에서는 GPS/INS를 탑재한 디지털항공사진측량의 번들조정법이 아날로그항공사진측량의 전통적인 독립모델법보다 우수하였으며 최소의 기준점만을 사용하여도 우수한 결과값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블록조정 후 잔차 특성 분석에서도 디지털항공사진측량이 우수하였다.

SPOT 영상에 의한 DEM 생성 정확도 평가방법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for DEM Generation Accuracy by SPOT Image)

  • 임영빈;이용욱;권용대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2년도 창립 20주년기념 국제학술대회
    • /
    • pp.167-172
    • /
    • 2002
  • 본 연구는 GPS를 이용하여 위성 영상의 입체 해석으로 산출된 SPOT영상의 기준점 및 수치 표고 모형의 평가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삼각점 및 상시관측소를 고정으로 한 GPS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정지측량과 이동측량의 정확도를 비교함으로써 위성 영상의 기준점과 수치 표고 모형의 평가를 위한 측량 방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SPOT영상의 해상력을 고려할 때, 이동 GPS측량기법으로도 수치 표고 모형의 정확도 평가가 가능하였으며, 기준점 좌표 산출에 있어서 고정점에 삼각점 대신 상시관측점들을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인 GPS 측량을 꾀할 수 있었다.

  • PDF

지적측량 자료조사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Data Survey of Cadastral Surveying)

  • 최정주;홍성언;박수홍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7-8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지적측량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 조사하기 위해 지적측량 자료조사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축된 지적측량 자료조사 통합관리시스템의 효율성을 평가하고자 기존 지적측량 자료조사와 비교 분석한 결과 측량데이터 누락에 따른 측량의 오류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고, 대략 2배 정도의 자료조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1 가스전 해저배관 설치공사에 적용된 최신 해양 측량기술 (State of The Art of Offshore Survey Technology for Monitoring Underwater Gas Export Pipeline Installation at DongHae-1 Gas Field)

  • 박요섭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5년도 전기학술대회논문집
    • /
    • pp.722-740
    • /
    • 2005
  • 본 논문은 최근의 석유탐사 및 개발사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최신의 측량기술 및 해양공사의 측량 기술 표준화 동향을 소개하고, 이에 기반하여 동해1 가스전 해저배관 공사에 적용한 사례를 기술하였다. 해저배관 시설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사전측량 및 시공지원 측량은 다양한 탐사장비가 동원되며, 각 장비들의 운영, 자료처리, 해석, 도면화를 위하여 실시간지원이 가능한 시스템을 운영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해저배관 시공단계별(Pre-Installation Survey, Touch-down Monitoring, As-laid As-Built Survey, Post-installation Survey) 요구되는 측량성과 및 이를 획득하기 위한 소해측량 시스템의 성능평가 및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해저지형 탐사를 위해 동원된 소해측량시스템(Swath Sonar System)에서 취득되는 수심(Bathymetry) 및 후방산란 음압(Backscattered Amplitude) 자료를 맵핑하여 해저배관의 설치 경로를 측량하는 기법에 대하여 소개하고, 추후 해저배관 보호 및 관리시의 효율적인 모니터링 기법을 제시한다.

  • PDF

PBLIS 데이터를 이용한 토탈측량시스템의 정확도 분석 (A Study on Accuracy of the Total Surveying System with PBLIS Data)

  • 김감래;라용화;박준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09-214
    • /
    • 2003
  • 지적 분야는 지적도면전산화사업의 일환으로 수치화된 도형정보와 대장정보를 PBLIS에 탑재하여 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이 데이터를 이용해서 현행 측판측량체계를 전자측판측량체계로 전환함으로서 도해지적에서 발생되는 제도오차, 축척오차 및 지적도면의 신축오차 등의 기술적인 오차와 측량을 할 때마다 측량사에 따른 개인오차가 제거됨은 물론 실측도에 대한 정확도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측량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