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측과

검색결과 5,071건 처리시간 0.039초

뇌졸중 환자의 상지부종에 대한 정량적 감각 평가 (Quantitative sensory Testing on Edema of Upper Extremity for Stroke Patients)

  • 이영신;정대인;김경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851-859
    • /
    • 2013
  • 본 연구는 뇌졸중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비마비측과 상지부종이 있는 마비측의 정량적 감각 평가(QST)를 비교함으로서 부종 관리 및 치료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맞는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I군(n=15)과 만성기 뇌졸중 환자II군(n=17)을 대상으로 비마비측과 마비측에 대한 상지용적의 차이, 기계적 동통 역치(MPT), 냉감역치(CST), 온감역치(WST), 냉통증역치(CPT), 온통증역치(WPT), 진동감각 역치(VST)에 대한 정량적 감각 평가(Q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각 군내 비교 시 모든 측정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1), I군과 II군의 군간 마비측 감각 평가 비교에서는 기계적 동통 역치(MPT)를 제외한 모든 측정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아급성기에는 만성기에 비해 상지부종으로 감각역치 증가로 인한 감각저하가 초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뇌졸중 환자의 부종에 따른 감각적 특성 차이를 정량적 평가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CO2 흡수용 20Nm3/hr급 Vortex tube의 에너지 분리 현상에 관한 해석적 연구 (Computational Study on the Energy Separation of the Vortex Tube for CO2 Reduction)

  • 김창수;정영철;한근희;박성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695-701
    • /
    • 2009
  • 고압의 가스를 이용하여 고온 가스와 저온 가스를 분리하거나 입자상 물질의 분리에 사용 할 수 있는 장치인 볼텍스 튜브의 에너지 분리 특성을 적용하여 $CO_2$ 흡수를 위한 장치설계의 기본 설계 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전산유체 해석을 수행하였다.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볼텍스 튜브의 길이, 볼텍스 발생기의 오리피스 직경 및 고온 측과 저온 측의 유량비등이 볼텍스 튜브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튜브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고온 출구측의 온도는 감소하지만, 저온 출구측의 온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볼텍스 발생기의 오리피스 직경이 축소됨에 따라 저온측 온도는 강하하나 고온측 온도의 변화는 미미하였다. 고온 유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고온 출구 쪽의 온도가 강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CO_2$ 흡수 장치의 기본 설계 자료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금강하구언 조성으로 인한 환경변화: 호수측과 하구측 비교 (Changed Aquatic Environment Due to An Estuary Dam: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 양재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2-62
    • /
    • 2014
  • 금강 하구언 건설 이후 20년 동안 나타난 수서환경의 각종 변화에 관한 연구결과를 호수측과 하구측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정리하였다. 유사한 점은 양측 모두에서 물의 체류시간 증가, 수질악화, 퇴적물내 유기물농도 증가, 하천유입 퇴적물의 이동경로 차단현상이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호수측이 하구측보다 악영향이 강하게 나타났지만, 호수측에서는 영양염농도의 증가와 남조류 대량발생 등 수질악화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반면, 하구측에서는 퇴적물의 이동경로차단으로 인하여 군산하구내 퇴적현상이 심화되어 정상적인 하구의 기능을 저해하고 있다.

관측소 밀집정도에 따른 강수량 자료복원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of Synthetic Precipitation Data According to Observation Density)

  • 김홍중;오재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138-138
    • /
    • 2016
  • 강수량은 농업과 수자원관리, 그 외 사회 기반 사업들에게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기상요소이므로 강수량 관측자료는 사회전반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강수량은 공간적인 불연속성이 크기 때문에 조밀한 관측자료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때문에 관측이 이루어지지 않은 미관측 지점의 강수량 자료를 복원하려는 연구도 계속 진행되고 있다.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미관측 지점의 강수량을 복원하는 방법으로 지상 강수량 관측자료와 연직 상층기상자료 및 고해상도 지형자료를 이용하여 복원하는 정량적 강수량 진단 모형이 이미 개발되어 대한민국을 대상으로 강수량 복원이 이루어진 바 있다. 대한민국은 전국이 대략 10 km 정도로 비교적 조밀하고 일정한 지상 관측망을 가지고 있어 관측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복원에 유리하다. 하지만 전 세계 많은 지역에서 강수량 관측자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가깝게는 북한과 중국에서부터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 등 일부 강수량 관측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지역도 존재한다. 이러한 지역에 대한 강수량 복원 정확도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연구된 바 없으며 관측자료 수에 따른 복원 민감도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대한민국에 비해 관측자료가 부족한 지역에 대해 복원 정확도를 파악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관측소 밀집정도에 따른 미관측 지역의 강수량 복원 민감도 분석을 하였다. 대한민국은 572개 지점의 지상기상관측망(자동기상관측장비 AWS 477개, 종관기상관측장비 ASOS 95개 지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10개 지점의 기상레이더가 전국을 감시하고 있어 미관측 지점에 대해 검증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강수량 복원 민감도 분석 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강수량 복원 정확도 검증을 위해 강수량 복원자료의 격자점과 가장 근접한 관측지점을 검증지점으로 선정하고, 강수량 복원에는 검증지점을 제외한 관측자료만을 이용하였다. 관측자료 밀집정도에 따른 민감도 분석을 위해 관측자료를 100% 사용하였을 때와 일부만 사용하였을 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관측소 밀집도에 따른 강수량 복원 정확도 민감성 분석을 통해 관측소가 부족한 북한, 중국, 아프리카 등지의 미관측 지점 복원 정확도를 추정할 수 있으며 관측소가 부족하거나 전무한 지역에서 강수량 복원 정확도를 늘리기 위해 필요한 관측소 수를 파악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발목관절에 플로스밴드 적용이 기능적 관절가동범위와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oss Band on Ankle Joint functional Range of Motion and gait ability)

  • 문병현;김지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19-42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발목에 플로스밴드를 적용했을 때 발목의 기능적 관절가동범위와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총 20명이 실험에 참여했으며 무작위배정을 통해 발의 한쪽은 실험 측으로, 반대쪽은 대조 측으로 설정하였다. (중재 전, 후/ 실험 측과 대조 측) 두 가지 요인에 대해 분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이요인 분산분석 방법(two way-repated ANOVA)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대조 측에 비하여 실험 측에서 WBLT와 발꿈치 딛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중재 전, 후 검정에서 실험 측은 WBLT, 발꿈치 딛기, 발가락 떼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대조 측은 발가락 떼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플로스밴드의 적용은 스포츠 및 재활 현장에서 기능적 관절가동범위를 증진시키고 보행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인 반안면 왜소증 환자의 유치와 영구치 크기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primary and the permanent teeth dimension In korean hemifacial microsomia patients)

  • 장영일;양원식;남동석;김태우;백승학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3-52
    • /
    • 2000
  • 반안면 왜소증 (Hemifacial microsomia) 은 선천성 악안면기형 중 발생빈도가 두 번째로 높은 질환으로서, 상, 하악골 뿐만이 아니라 외이나 중이, 두개의 일부, 협부 연조직, 안면신경, 근육 등의 복합적인 부위를 침범하는 광범위한 선천성 기형으로서, 환자에 따라 그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성장에 따라 교합면 경사와 함께 이환 측으로 안면 비대칭의 정도가 점점 심화되는 특징을 가진다. 반안면 왜소증에서 치아와 관련된 증상으로는 치아 성숙도의 차이, 치아 수의 감소, 맹출지 연, 법랑질 저형성증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치아는 악골의 크기나 형태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발육하기 때문에, 반안면 왜소증 환자의 경우 치아 발육에서 변화가 발생되기 쉬울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인 편측성 반안면 왜소증 환자의 이환 측과 비이환 측에서 상, 하악 유치와 영구치의 크기와 형태 차이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였던 편측성 반안면 왜소증 환자 34명 (남자 18명, 여자 15명, 초진시 평균연령 5세 11개월)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각 치아별 근원심과 협설측 폭경 을 계측한 후,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paired t-test로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 하악 유치와 영구치의 이환 측과 비이환 측의 근원심 폭경 비교에서 이환 측의 하악 제 2 유구치와 하악 제1 영구 대구치가 비이환 측에 비하여 작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 이것은 하악 전치부와 제 1유구치의 근원심 폭경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과 연관지어볼 때, 이환측 하악의 최후방 구치에서 근원심 폭경 감소의 경향 (gradient of severity)이 크다고 할 수 있다. 2. 상, 하악 유치와 영구치의 이환 측과 비이환 측의 협설측 폭경 비교에서 모든 치아에서 통계학적 유의차를 볼 수 없었지만, 이환 측의 하악 유치와 영구치의 협설측 폭경이 비이환 측에 비하여 보상적으로 다소 큰 값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반안면 왜소증에 의하여 영향을 받은 하악골의 이한측 치아, 특히 최후방 구치, 의 크기와 형태 이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APTT에서 경계치에 속한 정상 성인의 혈액응고인자 활성도 분석 (Analysis of Coagulation Factor Activity of Normal Adults with APTT Limit Range)

  • 권의훈;구본경;방성환;김희진;조영국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37-242
    • /
    • 2015
  • aPTT 참고치의 정상범위 내에서 하한 측 10% (29.1~30.9 sec)와 상한 측 10% (38.0~41.9 sec)에 포함된 정상성인의 혈액응고인자 활성도를 분석하여 하한 측과 상한 측간에 혈액응고인자의 종류와 각각의 활성도가 성별, 연령 및 ABO 혈액형 등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별에 따른 혈액응고인자들의 활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하한 측에서 IX (p=0.0088)만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으며, 상한 측에서 IX (p<0.0001)와 X (p=0.0013)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 연령군간 혈액응고인자들의 활성도 차이 검정은 하한 측에서 VIII (p<0.0001), IX (p=0.0050)는 60세 이상이 60세 미만보다 높았으며, XII (p=0.0285)는 60세 이상보다 60세 미만이 높았다. 상한 측에서 V (p=0.0219), VIII (p=0.0005), IX (p=0.0014)는 60세 이상이 60세 미만보다 높았다. O형과 non-O형의 혈액형 구분에 의한 혈액응고인자들의 활성도 차이는 VIII (p<0.001)은 양쪽 그룹에서 non-O형이 O형보다 높았으며, XII (p=0.016)는 상한 측에서 non-O형이 O형보다 낮았다.

공급 측과 투과 측 조건에 따른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BSCF) 관형 분리막의 산소투과 특성 (Oxygen Permeation Properties of Tubular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BSCF) Membranes under Different Condition of Feed Side and Permeate Side)

  • 김종표;박정훈;이용택;최영종
    • 멤브레인
    • /
    • 제21권2호
    • /
    • pp.155-162
    • /
    • 2011
  •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BSCF) 조성을 갖는 치밀한 관형 분리막은 압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관형 분리막의 구조적 특성은 x-선 회절분석기 (XRD)와 전자 주사 현미경 (S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상대밀도는 94.10%를 보였다. 산소투과량 분석은 700~$950^{\circ}C$ 범위에서 공급 측과 투과 측의 운전조건에 따라 측정되었다. 공급 측과 투과 측에서 대기 중 공기와 진공펌프를 사용할 경우,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관형 분리막의 산소투과량은 $900^{\circ}C$에서 1.37 mL/$min{\cdot}cm^2$로 높게 나타났다.

자동차 배기가스 유량 및 온도 변화에 따른 열전발전용 열교환기 발열량 특성에 관한 연구 (Thermal Caracteristics of the Automobile Exhaust gas based Heat exchanger with various Exhaust gas Temperature and Mass flow rate)

  • 김대완;기한 에카나야케;이무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5-20
    • /
    • 2018
  • 본 논문은 자동차 열전발전용 열교환기에서 배기가스의 유량과 온도 변화에 따른 발열량 특성을 수치적으로 연구하였다. 자동차 열전발전용 열교환기는 내부에 핀을 설치하여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나오는 열에너지를 열전소자로 최대 값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용 프로그램인 CAD를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그리고 배기가스의 유량과 온도 변화에 따른 열교환기 발열량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용 프로그램인 ANSYS CFX v17.0을 이용하여 배기가스 유량은 0.01, 0.02, 0.03 kg/s로 변화시키고, 배기가스 온도는 400, 450, 500, 550, $600^{\circ}C$로 변화시켜 수치해석 하였다. 결론적으로 열교환기의 입구 측과 출구 측 배기가스 압력 차는 배기가스의 유량에 따라 결정된다. 배기가스 유량이 증가하면 열교환기 입구 측과 출구 측 압력차는 증가하지만, 열교환기 입구 측과 출구 측 배기가스 압력차는 배기가스 온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열교환기 표면 온도를 최대 값으로 얻기 위해서는 배기가스 유량은 낮추고, 배기가스 온도는 높여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교정적 치아 이동 중 치은열구액의 Interleukin-$1\beta$의 발현 (Interleukin-$1\beta$ levels in human gingiva1 crevicular fluid during orthodontic tooth movement)

  • 김인숙;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23-431
    • /
    • 2000
  • 교정적 치아이동 중 골개조는 수종의 매개물질에 의하여 조절된다. 특히 IL-$1\beta$는 실험동물의 교정적 치아이동 중 압박측과 긴장측 모두의 치근막과 치조골에서 골흡수를 촉진하고 골형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 연구는 인체에서의 교정적 치아이동 중 압박측과 긴장측 치은열구액에서 IL-$1\beta$의 발현을 찾고 발현양의 시간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전신질환인 없고 임상적으로 건강한 치주조직을 가진 평균 19.2$\pm$4.2세, 12명의 남녀환자에서 편측 견치를 원심으로 견인하였다. 실험군(원심 견인측)의 근심과 원심, 대조군(동일환자의 반대편 견치)의 근심 치은열구액을 견치 후방 이동 직전, 1시간 후, 24시간 후, 168시간 후의 4개의 시간대 별로 수집하여 총단백질 농도(BCA법)와 IL-$1\beta$(ELISA법) 의 농도를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실험군에서의 IL-$1\beta$ 농도는 교정력을 가한 후 증가하여 24시간 전후에 최대값에 도달하였다. 2. 대조군에서의 IL-$1\beta$ 농도는 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교정력을 가한 24시간 후에서 IL-$1\beta$의 농도는 압박측에서 가장 높고, 이어 긴장측과 대조군의 순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