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취업관리

Search Result 29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건설분야 외국인산업연수제도와 설비건설업계의 산업연수생 활용 현황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1 s.186
    • /
    • pp.45-53
    • /
    • 2006
  • 최근 우리나라는 청년실업이 사회적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으나 3D업종은 취업을 기피하고 있어 이들 업종종사자들의 일부를 불가피하게 수입하는 국가로 전환한지 오래이다. 건설분야도 예외는 아니어서 기능인력 수요가 크게 증가 한 반면 근로여건이 열악하고 고용이 불안정한 건설현장의 취업 기피로 인력난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1997년부터 국내건설현장에도 외국인력을 도입키로하고 지난 97년 6월 2,500명이 도입된 이후 외국인력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도 건설 기능인력 수급 불균형 해소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건설분야의 외국인 산업연수추천단체로 대한건설협회가 지정되어 연수업무를 시작한 이후 7년이 지난 지금 어느 정도 틀이 잡혔고 연수생에 대한 처우가 개선되면서 효율적인 운영과 관리로“건설현장의 인력난해소 및 국가간 협력증진”이라는 당초의 목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따라서 본지는 외국인산업연수제도 및 연수취업제도를 자세히 알아보고 설비건설업계의 외국인 활용 실태도 점검해 본다. 또한 회원사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외국인산업연수제도 및 연수취업제도에 대한 질의와 응답을 게재하오니 설비건설업계의 많은 참고를 바란다.

  • PDF

The Impact of Satisfaction with Major Curriculum on Acquisition of Certification and Employment for College students with Major in Healthcare (대학생들의 전공 교육과정의 만족도가 자격증 취득 및 취업에 미치는 영향)

  • Seo, Hwa Jeong;Park, Ha Jeong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 /
    • v.22 no.1
    • /
    • pp.51-60
    • /
    • 2017
  • 목적: 보건의료 관리 분야의 진로는 급변하는 사회적 요구와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수요자 측면으로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보건의료 계열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보건의료 계열 학과 학생들의 취업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방법: 경기도 성남시 소재 보건의료 계열 학과 163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6일부터 5월 9일까지 설문조사를 거쳐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성별에 따른 교육과정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별과 학년에 따라 자격증 취득 계획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성별이 여학생이고 학년이 낮을수록 전공관련 자격증 취득 계획이 높았다. 전공관련 자격증 취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학년(학번)', '보건의료계열 분야로의 취업 여부'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계열 취업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교육과정 만족도', '전공관련 자격증 취득 계획'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보건의료관련 학과 학생들의 동일계열 취업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공관련 자격증 취득에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여성(女性) 고비문제(雇備問題)에 대한 제도적(制度的) 접근(接近)

  • Lee, Ju-Ho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1
    • /
    • pp.73-147
    • /
    • 1996
  • 본고(本稿)에서는 고용구조조사(雇傭構造調査) 1986년 및 1992년 테이프를 활용하여 여성(女性)의 학력별(學歷別) 연령별(年齡別) 경제활동(經濟活動)및 실업(失業)과 취업구조(就業構造)에 대하여 분석하였는바, 여기서 확인된 우리나라 여성 고용문제는 크게 세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여성의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이 중졸 이하 학력 여성의 경우 M자형(字型), 고졸 이상 학력 여성의 경우 단봉형(單峰型)으로 나타나 연령에 따라 큰 기복을 보이고 있다. 둘째, 여성 중에서도 고학력 고연령층(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의 악화)과 저학력 저연령층(실업률의 증가)의 고용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셋째, 저학력 여성의 제조업(혹은 생산직) 취업이 고령화(高齡化)되고 서비스업 취업이 전통적 부문(도 매소 음식 숙박업)에 집중되고 있으며, 고학력 여성의 사회 개인서비스업, 관리 전문직, 파트타임 등에서의 취업이 활성화(活性化)되지 못하는 등 여성 취업구조(就業構造) 고도화(高度化)의 한계(限界)를 보이고 있다. 본고(本稿)에서는 이렇게 실증적으로 확인된 문제점들이 결국 우리나라 여성 대부분이 '생애직업경력(生涯職業經歷)(lifetime job career)'을 가지지 못하는 제도적(制度的) 문제점(問題點)으로 귀시(歸蓍)되는 것에 주목하고 이러한 제도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제도(制度) 개선(改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여성 고용문제 해소를 위한 바람직한 '제도건설(制度建設)(institution building)'의 방향으로 본고에서는 (1)여성을 위한 고교 교육 및 직업훈련의 개편, (2)여성을 위한 전문대학 및 대학 교육의 개선, (3)여성을 위한 고용서비스의 강화, (4)출산 및 육아에 따른 여성 부담의 경감, (5)여성에 대한 고용주로서의 정부 역할 재정립 등을 강조하였다.

  • PDF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Korean Active Labour Market Polices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정책효과성 추정)

  • Chon, Joo-Yong;Jun, Jaesik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40 no.1
    • /
    • pp.99-132
    • /
    • 2017
  • This study examines the employability of participants and employment outcomes in the Korean active labor market policies(ALMPs). The data used in empirical testing is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1~15th survey data, participants database in ALMPs and Unemployment Insurance databas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Level of employability in participants with ALMPs is about 56.3 and that of participants with direct job creation(DJC) programs shows the most low level in sub-type of ALMPs. About 30.8% of all people participating in ALMPs belongs to vulnerable group and 71.5% of participants in DJC programs is in vulnerable group. In DJC programs, the participants with low level of employability are some more likely to be in vulnerable group. As the level of employability in participants with DJC programs increases, their job-search time after moved in labor market reduces and their duration of employment increases. To summarize, one can imply that the DJC programs are effective to transit vulnerable groups in labour market and improve the labor market outcomes by enhancing the employability of participants.

  • PDF

The Factors Influencing Employment Stress of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

  • Cho, Eui-Young;Kim, Jung Ae;Kim, Ji-Young;Kim, Hyun-Ji;Ra, Eun-Soo;Lee, Hye-Yeo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2 no.1
    • /
    • pp.35-4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clinical practice stress, major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ess, and check the effect on employment stress in order to provide baseline data of reduced amount of stress from nursing undergraduates. Methods: The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sed. We selected 388 nursing undergraduate students from nursing college located in Daejeon, Jinju, Naju city by convenience random sampling and analyzed the data using SPSS 22.0 program. Results and Conclusion: Factors that effects on employment stress was clinical practice stress, major satisfaction and family economic status,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3.8%. The results show the need for development of pre-clinical practice adaptation education program and applying it for nursing students to reduce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Also, development of counseling program is needed, since nursing has higher employment rate compare to other major however it is difficult to get a job at wanted hospital, moreover there are students who are pressured from license examination.

The Factors Influencing Employment Stress of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Students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

  • Kim, Duk-Won;Ju, Ho-Hye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2
    • /
    • pp.589-59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stress among Emergency Department students and reduce stress of employment.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276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among 4 emergency college students in Jeollabuk-do and Jeollanam-do at 4-year and 3-year colleges from September 10 to 15, 2017.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and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linical training stress and major satisfaction (r=-0.192, p=0.001),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areer stress and clinical training stress (r=0.222, p<0.001), a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areer stress and major satisfaction (r=-0.245, p<0.001). In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was discovered: higher clinical training stress (${\beta}=0.157$, p=0.005), lower major satisfaction (${\beta}=-0.211$, p<0.001), and higher career stress. Junior students (${\beta}=0.237$, p<0.001) and senior students (${\beta}=0.288$, p<0.001) had the highest career stress. Subjects with medium-level financial status had high career stress (${\beta}=0.173$, p=0.012).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colleges should reduce clinical training stress among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students, and more job support centers should be opened and job management programs develo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