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취수장

Search Result 160,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n Groundwater Flow Modeling in the Fluvial Aquifer Adjacent to the Nakdong River, Book-Myeon Area, Changwon City (창원시 북면 낙동강 주변 하성퇴적층의 지하수유동 모델링 연구)

  • Hamm Se-Yeong;Cheong Jae-Yeol;Kim Hyoung-Su;Hahn Jeong-Sang;Ryu Su-Hee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7 no.5
    • /
    • pp.499-508
    • /
    • 2004
  • Changwon City first constructed riverbank filtration plants in Book-Myeon and Daesan-Myeon in Korea in the year 2001. This study evaluated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undwater flow simulation between the Nakdong River and the fluvial aquifers adjacent to the river in Book-Myeon, Changwon City. The groundwater simulation calculated the influx rate from the Nakdong River and the fluvial aquifers to pumping wells through the riverbank filtration system. The groundwater flow model utilized drilling, grain size analysis, pumping test, groundwater level measurements, river water discharge and rainfall data. Hydraulic heads calculated by the steady-state model closely matched measured heads in pumping and observation wells. According to the transient flow model, using a total pumping amount of 14,000 $m^3$/day, the flux into the pumping wells from the Nakdong River accounts for 8,390 $m^3$/day (60%), 590 $m^3$/day (4%) is from the aquifer in the rectilinea. direction to the Nakdong River, and 5,020 $m^3$/day (36%) is from the aquifer in the parallel direction to the Nakdong River. The particle tracking analysis shows that a particle from the Nakdong River moves toward the pumping wells at a rate of about 1.85 m/day and a particle from the aquifer moves toward the pumping wells at a rate of about 0.75 m/day. This study contributes to surface water/groundwater management modeling, and helps in understanding, how seasonal change affects pumping rates, water quality, and natural recharge.

A Study on Data-driven Modeling Employing Stratification-related Physical Variables for Reservoir Water Quality Prediction (취수원 수질예측을 위한 성층 물리변수 활용 데이터 기반 모델링 연구)

  • Hyeon June Jang;Ji Young Jung;Kyung Won Joo;Choong Sung Yi;Sung Ho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3-143
    • /
    • 2023
  • 최근 대청댐('17), 평림댐('19) 등 광역 취수원에서 망간의 먹는 물 수질기준(0.05mg/L 이하) 초과 사례가 발생되어, 다수의 민원이 제기되는 등 취수원의 망간 관리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동절기 전도(Turn-over)시기에 고농도 망간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은데, 현재 정수장에서는 망간을 처리하기 위해 유입구간에 필터를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단기간에 고농도 망간 다량 유입 시 처리용량의 한계 등 정수장에서의 공정관리가 어려워지므로 사전 예측에 의한 대응 체계 고도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광역취수원인 주암댐을 대상으로 망간 예측의 정확도 향상 및 예측기간 확대를 위해 다양한 머신러닝 기법들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독립변수 및 초매개변수 최적화를 진행하여 모형의 정확도를 개선하였다. 머신러닝 모형은 수심별 탁도, 저수위, pH, 수온, 전기전도도, DO, 클로로필-a, 기상, 수문 자료 등의 독립변수와 화순정수장에 유입된 망간 농도를 종속변수로 각 변수에 해당하는 실측치를 학습데이터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데이터기반 모형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성층의 수준을 판별하는 지표로서 PEA(Potential Energy Anomaly)를 도입하여 데이터 분석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망간 유입률은 계절 주기에 따라 농도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동절기 전도시점과 하절기 장마기간 난류생성 시기에 저층의 고농도 망간이 유입이 되는 것을 분석하였다. 또한, 두 시기의 망간 농도의 변화 패턴이 상이하므로 예측 모델은 각 계절별로 구축해 학습을 진행함으로써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었다. 다양한 머신러닝 모델을 구축하여 성능 비교를 진행한 결과, 동절기에는 Gradient Boosting Machine, 하절기에는 eXtreme Gradient Boosting의 기법이 우수하여 추론 모델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선정 모델을 통한 단기 수질예측 결과, 전도현상 발생 시기에 대한 추종 및 예측력이 기존의 데이터 모형만 적용했을 경우대비 약 15% 이상 예측 효율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머신러닝 모델을 활용한 망간 농도 예측으로 정수장의 신속한 대응 체계 마련을 지원하고, 수처리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후속 연구로 과거 시계열 자료 활용 및 물리모형과의 연결 등을 통해 모델의 신뢰성을 제고 할 계획이다.

  • PDF

Water Quality Modeling for Intake Station by 2-dimensional Advection-Dispersion Model (2차원 이송-확산 모형을 이용한 취수장 유입 수질 예측)

  • Kim, Jae-Dong;Kim, Ji-Hoon;Kim, Young-Do;Song, Chang-Geun;Seo, Il-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25 no.5
    • /
    • pp.667-679
    • /
    • 2011
  • In this study, the influences of pollutant from Dae-po Stream and So-gam Stream located at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on the water quality at Mul-geum water intake station were analyzed using RAMS model. Field measurements of velocity by ADCP, and water quality distribution of BOD and TP by water sampling were carried out to present the input and verification data for numerical simulations. The comparison between RAM2 and ADCP measurement, which aimed for the analysis of 2-D velocity distribution around Mul-geum water intake station showed that two results matched well along the spanwise direction. The prediction of pollutant concentration by RAM4 agreed fairly well with the measured data except for the points nearby right banks in the vicinity of tributary pollutant source. Flushing effect by the increase of mainstream discharge in Nak-dong River was analyzed to provide the damage mitigation in preparation for the accidental water pollution. With increasing mainstream discharge, high velocity and increased water quantity induced increasing dilution effect, thereby decreasing the inflow pollutant concentration rapidly.

Development of one-dimensional river storage model for mixing analysis of hazardous chemicals in rivers (하천에 유입된 유해화학물질 혼합해석을 위한 저장대모형 개발 및 적용)

  • Kim, Byunguk;Seo, Il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48-148
    • /
    • 2020
  • 산업의 고도화가 진행됨에 따라 화학원료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독성을 가진 화학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수환경으로 유입되는 유해화학물질은 주로 무색무취의 물질들로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초기 발견이 어려워 어류폐사를 유발하거나 취수시설에서 용수로 취수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필수적이다. 하천에 유입된 오염물질의 거동을 신속하게 예측하기 위해 1차원 오염물질 추적 모형이 활용되는데, Fickian 이송-분산 모형(Fickian Advection-dispersion equation model; FADE)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FADE는 오염물질이 하천 저장대에서 지체되는 현상을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농도곡선의 왜곡도를 구현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저장대모형(River Storage Model; RSM)을 개발하고 이를 국가하천인 감천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RSM은 분산계수, 본류대 면적, 저장대 면적, 저장대 교환계수의 네 가지 매개변수를 통해서 하천의 물질 저장 및 교환 특성를 구현한 non-Fickian 모형으로서, 생화학반응, 휘발, 흡·탈착항을 추가하여 유해화학물질의 혼합 거동을 정확하게 모의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저장대 모형의 매개변수를 산정하기 위해서 하천 유량과 지형자료를 기반으로 HEC-RAS를 모의하여 계산된 수리특성을 입력변수로 사용하였다. 저수기, 평수기, 풍수기 유량을 기준으로 세 경우의 시나리오 모의를 수행하였는데, 5ton의 톨루엔이 김천산업단지에서 감천으로 유입된 경우 약 20km 하류에 위치한 취수장에서 톨루엔의 농도변화를 예측했다. 보존성 물질에 대한 모의 결과, 풍수기의 경우 저수기에 비해 유속이 크기 때문에 취수장에서 20.56시간 먼저 기준농도에 도달하고, 7.21시간 더 짧게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화학물질의 반응특성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시행한 결과, 생화학적 반감기가 18.98시간보다 길고, 옥탄올-물 분배계수가 2.267 이하인 물질은 생분해 및 흡·탈착 반응에 둔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m 수심 기준 0.114m/s 이하 유속에서의 하천 수리조건에서는 화학물질의 휘발성을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A Study on Characterization of Formation and Reduction of THMs in Water Treatment Process (정수처리공정별 THMs 발생특성과 저감방안에 대한 연구)

  • Ka, Gil-Hyun;Bae, Min-Ho;Lee, Jun-Ho;Ahn, Chi-Hwa;Han, Ihn-Sup;Min, Byung-D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0 no.7
    • /
    • pp.721-728
    • /
    • 2008
  • DBPs(Disinfection By-Products) are most formed through the reactions between chlorine and NOM(Natural Organic Matter) in water treatment. In this study, occurrence of DBPs including THMs(Trihalomethanes) is evaluated. Also, influencing factors by the seasons and raw water quality were investigated for correlation among th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Ms formation by prechlorination proces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eration condition for THMs removal depending on raw water quality. Water treatment plant from intake station to gauging well flows for about 10 hours in Y Water Supply Office. It is limited to control of THMs formation because of excessive reaction time between chlorine and THMs precursors in the intake station. Therefore, as multi-points prechlorination from intake station to gauging well, THMs formation was decreased in the water treatment, and it was willing to prevent overdosage of chlorine. The concentration of THMs was 0.021 mg/L in the summer, 0.015 mg/L in the winter, respectively. Also, THMs formation showed that 0.013 mg/L in the water of gauging well after prechlorination, 0.014 mg/L in the flocculation/sedimentation/filtration, 0.016 mg/L in the water after postchlorination, respectively. THMFP(Trihalomethane Formation Potential) removed 42.7% and 50% through the flocculation/sedimentation and filtration, respectively, and it is similar TOC removal efficiency. In this study, multi-points prechlorination from intake station to gauging well decreases in contact time and concencrations of NOM and chlorine. Also, it decreases in THMs and amount of chlorine uesd. In the result of multi-points prechlorination in the summer, the concentration of THMs was 0.013mg/L in the treated water. In view of these facts, THMs formation can be decreased approximately 50%.

Modeling Mixing of Suspended Sediments in Paldang Lake (팔당호의 부유사 확산 거동 모의)

  • Seo, Il-Won;Jun, In-Ok;Choi, Nam-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64-1668
    • /
    • 2008
  • 팔당호는 수도권의 상수원수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팔당호의 수도권 상수도 공급량은 전체 공급량에 32%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4개의 취수구에서 상수원수가 취수되고 있다. 취수장의 총 취수시설 용량은 $9.02{\times}10^6\;m^3/day$ 규모이고, 실제 취수되는 양은 약 $4{\times}10^6\;m^3/day$이다. 따라서 팔당호의 지속적인 수질관리 및 수질예측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팔당호는 여러 가지 수질 문제를 안고 있다. 팔당호 상류의 인구가 증가하고 도시화되면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양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런 상황에서 상수원수로서 필요한 수질을 확보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집중호우 시 호수 및 하천에 발생하는 부유사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다. 하천에서 부유사 문제는 수자원 이용뿐만 아니라 하천 생태계까지 피해를 미치게 된다. 따라서 부유사 거동에 대해 해석하는 모형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듯 중요성과 문제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팔당호의 수질을 예측, 관리를 위해 2차원 수질모델을 이용하여 부유물질 확산거동을 예측하고자 한다. 수로연장이 길고 수심이 깊은 댐이나 호수에서는 x-z방향으로 구획을 나누고 하천, 하구나 만에서는 수심보다 수평방향 면적이 넓기 때문에 x-y방향으로 구획을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며, 팔당호의 경우 수리학적으로 큰 규모의 호수이기 때문에 이러한 2차원 모형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수질 해석모델인 SED-2D를 이용하여 부유사 확산 거동에 대한 해석모델 개발을 연구하였다.

  • PDF

A study of method to refrain from the winding temperature rising of three-phase induction motor (고압전동기 권선온도 냉각설비 개선 사례 연구)

  • Choi, In-Seok;Hong, Jeong-Jo;Lee, Eun-Chun;Hong, Young-Jae;Hong, Hyun-Py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831-832
    • /
    • 2015
  • K-water에서는 대청댐 하류의 용수를 취수하여 대청광역 계통에 1일 98만㎥을 공급할수 있는 현도취수장을 운영하고 있다. 취수장에는 고압전동기 10대가 운영되고 있으며, 장시간 연속운전 및 하절기 주위온도 상승 등으로 권선온도가 상승되어 설비의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취수펌프동 실내온도 및 고압전동기 권선온도 저감을 위해 펌프동 배기시스템 운영시간 변경 및 고압전동기 냉각 흡기덕트 설치 등의 개선 노력으로 권선온도 저감은 물론 에너지절감 및 기기의 수명연장 등 설비 운영의 안전성을 확보한 연구결과이다.

  • PDF

Research on estimation of water-intake using amount of electricity consumption by pumping (전력 사용량을 활용한 하천수 취수량 산정방법 연구)

  • Jin, Hwan Suk;Roh, Youngsin;Cha, Jun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8-372
    • /
    • 2018
  • 하천수의 실시간 자료수집 목적으로 전력량계의 전력사용량 변화를 계측하여 양수량을 산정하는 것이 경제적인 자료수집방안이 될 것으로 판단되어 전력사용량의 실시간 계측 및 전송이 가능한 '전력량 전송시스템'을 개발하여 여주시(여주대교)~여주시(이포대교) 관측소 구간 내 농업용수 취수시설인 상백리 양수장에서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전력량 전송시스템'의 정상적인 자료수집을 판단하기 위해 실내실험을 수행한 결과 전송자료 648,000개 중 수집된 자료는 647,964개로 평균 오차율 0.01%를 나타내며 현장적용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개발된 '전력량 전송시스템'을 상백리 양수장에 설치하여 6개월간 젼력량 사용자료를 취득하였으며, CCTV를 이용하여 현장자료를 모니터링하였다. 서버전송자료와 현장전력량자료를 비교한 결과 누적전력량은 일치하였으며, '전력량 전송장치'를 이용한 전력사용량의 실시간 계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능서1 양수장에서 수집된 전력량 자료와 초음파유속계로 계측된 양수량 자료를 활용하여 전력량-양수량관계식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전력량-양수량관계식으로 환산된 유량을 초음파유속계 유량과 비교한 결과, 월별 오차는 최대 8.0%, 평균 4.0%로, 하천수 사용실적 보고량의 최대 24.4%, 평균 7.4%보다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음파유속계를 이용한 양수량 산정방법은 수로내 유속과 수위변화를 직접 계측하여 정도 높은 유량산정이 가능하지만 초기설치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이 소요되므로 모든 취수시설에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전력량 전송시스템'은 기 설치된 전자식 전력량계를 활용하기 때문에 초기 설치비용이 저렴하며 실시간 자료수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전력량 전송시스템'을 이용한 전력량자료의 수집과, 전력량-양수량관계식의 개발이 실시간 하천수 사용량 수집에 적용할 수 있는 가장 경제적인 대안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