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췌장전이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5초

원격 복부 림프절의 전이(M1LYN)를 동반한 식도암의 수술 (Surgery of Esophageal Cancer with Metastasis to Distant Abdominal Lymph Nodes(M1LYN))

  • 이종목;임수빈;이현석;박종호;조재일;심영목;백희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248-1256
    • /
    • 1996
  • 원자력병원에서는 1987년 6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식도암으로 수술받은 372명중 병리학적으로 원격 복부 림파절의 전이가 확인된 병기 IV(M1LYN) 48명(12.9%)의 기록을 분석하였다. 원발 종양의 위치는 주로 하흉부 식도이었고, 전이된 림프절의 위치는 복강 동맥(n=45),총간 동맥(n=4), 대동맥 주위(n=1), 췌장하(n=1) 이었다. 대부분의 종양은 T3, T4(n=43)이고 국소 림프절 전이 (n=41)가 있었으나, T1, T2 종양(n=5)와 국소 림프절 전이없이 원격 림프절에 전이한 경우(n=7)도 일부있었다. 절제률과 완전 절제률은 각각 87.5%, 64.6%이었다. 절제 불가능과 불완전 절제의 원인의 대부분은 절제 불가능한 T4 병소(n=8), 림프절 막외 침습(n=7)이었으며, 전체 수술 사망률과 유병률은 각각 4.2%, 22.9%이었고, 절제 사망률은 4.8%이었다. 27명에서 수술후 보조 치료를 병행하였으며, 수술후 모든 생존 환자에서 추적이 가능하였다(추적 중앙값, 32개월). 수술 사망을 포함하여 식도암의 절제를 받은 환자(n=42)의 I년, 3년 생존률은 각각 54.0%, 18.1%(중앙값, 386일)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원격 복부 림프절의 전이를 동반한 식도암은 수술의 사망률과 유병률이 높지 않으며, 수술을 받지 않은 환자의 예후가 극히 나쁘므로 잘 선택된 환자에서는 원격장기로 전이된 환자에 비하여 절제술의 역할이 인정된다. 그러나 수술만으로는 장기 성적이 좋지 않으므로 항암제 치료나 방사선 치료 등의 복합 치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승양익기탕(升陽益氣湯) 전탕액이 노화쥐의 비장, 췌장, 위장 세포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tive Effect of Seungyangikki-tang Decoction in Spleen, Pancreas and Stomach Cells of SD Rats)

  • 이주용;안택원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2-92
    • /
    • 2010
  • 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ti-aging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Seungyangikki-tang decoction(SY) in spleen, pancreas and stomach cells of Sprague-Dawley(SD) rats. 2. Methods: This experiment was used by the tissue of spleen, pancreas and stomach cells of 6, 52 and 68 weeks old SD rats. We devided each group by three. One group as normal group was non-treated cells, another group as control group was saline-treated cells, and the other group as experimental group was SY treated cells. After culture for 48 hours, each groups measured the level of SOD, GSH, MDA and NO in the tissue of kidney, bladder and spleen cells. 3. Results and Conclusions: SOD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pleen cell of 6, 68w-SY group, pancreas cell of 52,68w-SY group and in stomach cell of 52w-SY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s. GSH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pleen cell of 6,68w-SY group and in pancreas cell of 6w-SY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s. MDA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pleen cell of 68w-SY group and in stomach cell of 68w-SY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s. NO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pleen cell of 68w-SY group, stomach cell of 68w-SY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s.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 전탕액이 노화주의 비장, 췌장, 위장 세포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Effect of Hyangsayangyi-tang Decoction in Stomach, Spleen and Pancreas Cell of SD Rats)

  • 최병철;안택원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2-84
    • /
    • 2008
  • 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anti-oxidant effects of Hyangsayangyi-tang(HY) in SD rats. 2. Methods This experiment was used the tissue of stomach, spleen and pancreas cells of 6, 52 and 68 weeks old SD rats. Each age group was again divided into three groups. One group, as normal group, was not-treated cells, another group, as control group, was saline-treated cells, and the last group, as experimental group, was HY-treated cells. After culture for 48 hours, each groups measured the level of SOD, GSH, MDA and NO in the tissue of stomach, spleen and pancreas cells. 3. Results and Conclusions The activity of SO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pleen cell of 52, 68 w-HY group, pancreas cell of 68 w-HY group and in stomach cell of 52, 68 w-HY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the normal and the control groups. The level of GS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pleen cell of 52, 68w-HY group and in pancreas cell of 68w-HY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the normal and the control groups. The level of MD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pancreas cell of 68 w-HY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the normal and the control groups. The level of NO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spleen cell of 68 w-HY group, pancreas cell of 52, 68w-HGD groups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s. According to results, HY showed anti-oxidant effect. Investigation into the clinical use of the HY is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 PDF

전이 췌장암 환자의 Gemcitabine과 방암탕 가감방 및 건칠단 병용투여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Patient with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Treated with modified Bangam-tang and Gunchil-dan in conjunction with Gemcitabine)

  • 김은혜;윤성수;이지영;윤성우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report a patient with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treated with modified Bangam-tang and Gunchil-dan in conjunction with gemcitabine. There were better survival-related outcomes compared to gemcitabine alone. Methods: The patient with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received gemcitabine as palliative chemotherapy since June 2016 concurrent with modified Bangam-tang and Gunchil-dan since October 2016 to October 2017. To evaluate the effect of treatment, tumor markers (carbohydrate antigen 19-9 (CA19-9) and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RECIST) version 1.1, and overall survival were checked. Adverse even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 (CTCAE) version 5.0. Results: After 12 months with the combination treatment, levels of CA19-9 were decreased from 8747 to 265.7 ng/ml and CEA from 42.2 to 6.5 U/ml. Clinical partial response state was shown until May 2, 2017 and stable disease state was maintained from August 4, 2017. In March 2018, the patient got an operation including pancreatectomy and diagnosed with no evidence of disease state in September, 2018. In conclusion, it showed the overall survival of 29 months from June, 2016 to November, 2018. Serious adverse events were not identified.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combined treatment with modified Bangam-tang and Gunchil-dan may show better outcome in patient with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than gemcitabine alone.

혈액산화용 인공폐 분리막 기술 연구동향 (Membrane Technology for Artificial Lungs and Blood Oxygenators)

  • 박동현;;;김정
    • 멤브레인
    • /
    • 제33권2호
    • /
    • pp.61-69
    • /
    • 2023
  • 최근 COVID-19로 인해 증가한 급성 폐부전 중증환자 치료를 위한 인공폐 기술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또한,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인구고령화는 인공장기(artificial organ, AO) 기술에 대한 높은 수요를 불가피하게 만들고 있다. 분리막은폐, 신장, 간 및 췌장을 포함한 많은 AO 기기의 핵심 부품이다. 특히 인공폐(artificial lung, AL) 기술은 지난 50년간 빠르게 발전해왔지만, 장기부전 환자의 생존율은 50% 내외로 여전히 낮은 편이다. 현재 대부분의 AL 관련문헌은 임상결과에 집중되어 있으며, AL 분리막의 개발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이에 대한 원인 중 하나는 AL 기술이 생명공학을 포함하여 고분자 화학 및 분리공정 기술을 아우르는 융합적 기술개발을 요구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총설에서는 헬스케어산업에서 AL 분리막 기술의 역할과 기술개발이 필요한 난제들을 정리하였다. 특히, 분리막 소재의 혈액적합성, 분리성능, 모듈 디자인 및 공정 구성 측면에서 다양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는 부분을 강조하고자 한다.

복부 림프절의 명명법 및 림프 배액 패턴 (Nomenclature and Lymphatic Drainage Patterns of Abdominal Lymph Nodes)

  • 조현석;안지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6호
    • /
    • pp.1240-1258
    • /
    • 2022
  • 림프계는 염증 및 악성 세포의 확산 경로를 제공한다. 종양이 확산되는 림프절의 위치와 림프 배액 경로를 인지하는 것은 종양의 병기 결정, 치료 방법 선택 및 환자의 예후 예측에 중요하다. 복강 내 악성 종양에서 림프절 전이는 흔하기 때문에 림프절 전이를 발견하고 질병의 확산 방식을 이해하는 것은 영상의학과 의사에게 필수적이다. 이 임상화보에서는 도식적인 그림들과 림프절을 색으로 표시한 CT 영상을 사용하여, 상부 및 하부 위장관, 간, 담낭, 담관 및 췌장의 림프절 위치와 이름, 그리고 림프 배수 경로에 관해 기술하였다. 또한 각 장기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의 국소 림프절의 종류에 대해 기술하고 몇몇 증례의 영상을 제시하였다.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 후 담도 스텐트에 의해 발생한 지연성 간동맥 출혈 (Delayed Hemorrhage of the Hepatic Artery Caused by Biliary Stenting after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 조준호;이형남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5호
    • /
    • pp.1216-1221
    • /
    • 2020
  • 국소진행성 췌장암 환자에서 이차적 근치절제 가능성을 얻기 위해 수술 전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이 점차 많이 이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환자들에게 담도의 감압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담도 스텐트와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함께 시행하는 안전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저자들은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 후 담도 스텐트에 의해 발생한 지연성 간동맥 출혈의 드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추적 관찰 CT에서 담도 스텐트와 우간동맥과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졌고, 결국 스텐트가 간동맥을 압박하여 간동맥에 심한 굴곡이 생겼다. 카테터 혈관조영술에서 우간동맥에 조영제의 혈관 외 유출이 발견되어 혈관 내 색전술을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본 증례 보고는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 후 발생하는 해부학적 변형이 심각한 합병증의 원인이 될 수도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간동맥이 담도 스텐트에 의해 압박되는 소견은 혈관손상의 경고 신호로서 주의가 필요하다.

소아의 장회전이상과 중장염전: 진단적 접근, 영상 소견 및 함정들 (Malrotation and Midgut Volvulus in Children: Diagnostic Approach, Imaging Findings, and Pitfalls)

  • 김정주;유소영;전태연;김지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124-137
    • /
    • 2024
  • 장회전이상과 이로 인한 중장염전은 생후 1개월 이내에 호발하는 외과적 응급 질환이다. 전형적인 증상은 급성 담즙성 구토이며, 유아기 이후에는 반복적인 복통과 같은 비특이적인 증상을 호소할 수 있다. 장간막 띠로 인한 십이지장 폐쇄나 고리췌장, 십이지장 전방 문맥과 같은 기형을 동반하기도 한다. 중장염전은 장의 괴사를 일으켜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빠른 진단이 중요하다. 상부 위장관 조영술, 초음파 및 CT로 진단할 수 있으며, 초음파는 소아에서 방사선 피폭 없이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어 선별검사로 대두되고 있다. 본 임상화보에서는 장회전이상과 중장염전의 핵심적인 영상 소견 및 진단적 접근법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증례에서 경험한 진단적 오류와 주의할 점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3차원 입체 조형 치료의 임상적 적용 분석 (Clinical Application Analysis of 3D-CRT Methods Using Tomotherapy)

  • 조강철;김주호;김훈겸;안승권;이상규;윤종원;조정희;이종석;유병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6권4호
    • /
    • pp.327-335
    • /
    • 2013
  •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3D-CRT의 임상적 적용 사례를 Helical mode와 Direct mode로 구분하여 치료목적에 따라 주 치료목적 및 보조적 치료 목적으로 적용된 사례에 대해 선량학적 평가를 시행하였고 기존의 라이낙을 이용한 기법과 종양의 발생 부위별 선량학적 분포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선량 분석은 육종, 뇌척수조사, 유방, 뇌, 췌장, 척추 전이, 상대정맥 증후군, 식도에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로 치료받는 환자 8명을 대상으로 Helical mode와 Direct mode, 라이낙 기반 치료 기법 사이의 치료 계획 간 비교하였으며, 선량분석은 선량 체적 히스토그램과 등선량 곡선을 이용했다. Direct mode로 치료한 육종, 뇌척수 조사 환자의 경우 체적 길이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아 Junction effect 없는 선량적 결과를 보여주었고, 유방 환자는 D 99%와 D 95%의 선량에서 $49.2{\pm}0.4$ Gy와 $49.9{\pm}0.4$ Gy, V 105%와 V 110%에서 0%로 나타났다. Helical mode로 치료한 뇌, 췌장, 척추 전이 환자에서 dosimetric block을 이용해 정상조직의 선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었고, 상대정맥 증후군 환자는 선량 제한(dose limitation)을 통해 방사선 치료를 재 실시해도 척수선량을 38 Gy이하로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었다. 식도 환자에서는 기존에 다른 기법과 함께 추가조사 목적으로 사용하여 총 척수선량을 45 Gy 이하로 하고 폐의 V 20%을 20% 이하로 제한할 수 있었다.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3차원 입체조형치료는 기존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에 비해 선량적으로 제한되는 부분을 개선해주고 임상적으로 적절한 선량분포를 구현하는데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라고 사료된다.

위암환자의 술 전 병기 결정에서 PET-CT의 유용성 (Effectiveness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the Pre-operative Staging of Gastric Cancer)

  • 박신영;배정민;김세원;김상운;송선교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9권3호
    • /
    • pp.110-116
    • /
    • 2009
  • 목적: 위암환자의 수술 전 병기 결정에 있어서 PET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2월부터 2008년 8월까지 본원에서 위암으로 진단받고 수술 전 병기 결정을 위해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CT) 및 PET-CT를 모두 시험한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복부 CT 및 PET-CT 영상 자료에 의한 림프절 전이 판정과 수술 후 병리 조직검사에 의한 림프절 전이판정으로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및 정확도를 조사하였고 위암의 형태, 조직학적 분류, 크기 등과 FDG섭취 정도와의 차이 등을 알아보았다. 결과: 조기 위암 23예의 경우 복부 CT에서 병변이 진단된 경우는 4명(17.4%), PET-CT에서는 12명(52.1%)이었으며, 진행 위암 47예의 경우 CT에서 26명(56.5%), PET-CT에서 45명(95.7%)으로 PET-CT에서 진단율이 높게 나타났다. 병변의 크기에 따른 분류에서도 복부 CT보다 PET-CT에서 진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기 위암의 경우 진행 위암에 비해 FDG 섭취 정도가 낮았지만 3 cm 이상의 조기 위암의 경우 3 cm 미만의 조기 위암에 비해 FDG가 섭취되는 경우가 더 많았다. CT에서 림프절 병기 결정의 민감도는 40.0%, 특이도는 85.7%, 양성예측도는 85.7%, 그리고 음성예측도는 40.0%였으며, PET-CT에서는 각각 55.6%, 81.0%, 86.2%, 45.9%였다. PET-CT를 통해서만 발견된 전이 병소는 1예(간전이)였으며, 중복암은 직장암 1예와 췌장암 1예가 있었다. 또한 세포조직형에 따른 분류에서도 분화영, 미분화형 모두 PET-CT에서 진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CT에 비해 PET-CT에서 원발 병소의 진단, 림프절 전이 모두 진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ET-CT는 전이 병소와 중복암의 발견 등 다른 영상 진단법에 비하여 유리한 점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