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충적토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Changes of Geomorphic Environment at East and West Coastal Plain in North Korea (북한 지역 동해안과 서해안 평야의 지형 환경 변화 - 안주평야와 함흥평야를 중심으로 -)

  • Lee, Min-Boo;Lee, Gwang-Ryul;Kim, Nam-Sh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5 no.2
    • /
    • pp.179-191
    • /
    • 2009
  •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geomorphic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coastal plains such as the Anju and Hamheung Plains located in the west and east coasts of North Korea, respectively, based on topographic maps of the 1910s and satellite images of the 2000s. The Anju Plain, so called by as Yeoldusamcheonribeol, can be divided into alluvial plains, coastal plains and erosional plains. The Hamheung Plain can be regarded as alluvial plains formed by Seongcheon-river. Approximately 84.98$km^2$ tidal flats have been reclaimed to farmlands and saltpans, and the most channels of medium and small rivers have been straightened at the Anju Plain during the last one hundred years. At the Hamheung Plain, on the other hands, approximately 3.40$km^2$ land has been increased by the advances of coastal line of the Seongcheon-river delta with a maximum of 800m, and channels of Seoseongcheon-river which showed anastomosing channels have been disappeared by reclamation. Gwang-po has been decreased by artificial reclamations and river sedimentary processes.

  • PDF

일본 농업에서 유황의 역활

  • Matsumoto S.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10a
    • /
    • pp.53-60
    • /
    • 1996
  • 일본 토양의 유황 함량은 변이 폭이 매우 크다. 화산회에서 발달된 갈색삼림토양은 유황이 풍부한데 특히 북해도, 동북 및 기타 화산지역에서 그러하다. 일본에서 주요 쌀 생산지인 저평탄지대 역시 유황 함량이 높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의 유황부족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에서도 집약재배가 이루어지면서 토양에서 유황의 적정 수준을 지키기 위하여 유황 시용을 권장하고 있다. 반대로 남서부의 적황색토 지대의 해안선의 모래땅 및 일부 충적토양에서는 유황 함량이 매우 낮아 이 지역에서의 작물생산은 함유황비료를 시용 하지 않는 한 유황부족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대기로부터 $SO_2$가스의 공급에도 불구하고 지난 20년간 유황공급은 꾸준히 감소되어 왔으며 함유황비료 사용이 극도로 감소함에 따라 작물생산에서 유황의 중요한 역할을 농업관리 실행계획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 PDF

Environmental Change of Vegetation in the Gamcheon River (감천의 식생 환경 변화)

  • Jeong, Seokil;Choi, Hyun Gu;Kwon, E Jae;Kim, Ji Won;Kim, Ji Hoon;Lee, Jun 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95-495
    • /
    • 2022
  • 충적하천에 댐이 건설되면 하류 하천의 식생환경에 변화를 주게 된다. 이입, 활착 및 성장과정을 거치는 제외지 식생은 하천의 유량이 증가하면 소류력과 세굴로 인해 쓸려 내려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홍수기를 거치면 식생 활착 및 성장 이전의 사주 모습으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댐의 홍수조절 기능은 홍수기에도 하류 하천에 식생을 정착시킬 만큼 큰 소류력을 발생시키지 않아 결국 식생의 성장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댐은 상류로부터 공급되었던 세립토를 차단시켜 하류 하천의 하상 표면을 조립화 시키게 되는데, 이는 하상의 고정력을 증대시켜 식생의 안정적인 성장을 돕게 된다. 하천에 식생이 자리잡게 되면 홍수 시 흐름에 대한 저항력의 증가로 수위가 높아질 수 있고 제방에 자리 잡은 식생의 이탈은 제방의 붕괴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고, 식생 사주의 발달이 지속되면 이동사주에서 정지사주로 변화되어 기존의 충적하천 자체가 사라지게 될 수도 있고, 하류 하천의 수리 및 유사 거동 특성도 변화시켜, 기존과 다른 하천 경관 및 수생태계 출현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부터 이러한 하천 제외지 사주의 식생 활착이 가속화되어 왔으며, 특히 내성천, 황강 등 댐이 건설된 낙동강 지류 하천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관련된 많은 조사·연구들이 수행되었으며, 변화 원인으로 홍수조절, 유사공급 변화 및 기후변화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댐이 건설되지 않은 하천(비조절 하천)에 대한 조사와 같은 비교군 지역의 정량적 분석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정확한 제외지 식생 증가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지 못하였다고 판단된다. 이에 비조절 하천이라 판단되는 감천을 대상으로 식생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유사 및 기후변화 등과의 관계를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감천은 상류에 김천부항댐이 건설되었으나, 댐의 영향범위가 전체 유역면적의 약 6%로 비조절 하천에 가깝고 사주가 발달된 충적하천이므로, 하천 본류에 댐이 건설된 다른 지역과의 비교군으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대상 지점은 상, 중, 하류의 사주가 발달된 지역으로 선정하였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이미지 처리기법을 적용하여 사주 면적을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식생역으로 전환된 모래 사주의 면적은 봄~초여름 강우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초여름까지 가뭄이 지속될 때, 식생역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식생 활착 이전에 큰 유량 발생 시 식생이 쓸려 내려가고 유사가 그 자리를 대체하여 다시 사주가 발달하는 과정을 보여 주어, 감천의 사주 식생역의 증가 추세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향후 댐이 본류에 건설된 조절 하천과의 비교를 통해 사주의 식생역 증가에 대한 댐 건설의 영향을 파악할 것이다.

  • PDF

Soil Classification of Paddy Soils by Soil Taxonomy (미국신분류법(美國新分類法)에 의(依)한 답토양의 분류(分類)에 관한 연구)

  • Joo, Yeong-Hee;Shin, Yong-Hwa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11 no.2
    • /
    • pp.97-104
    • /
    • 1979
  • According to Soil Taxonomy which has been developed over the past 20 years in the soil conservation service of the U. S. D. A, Soils in Korea are classified. This system is well suited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most of soils. But paddy field soils have some difficulties in classification because Soil Taxonomy states no proposals have yet been developed for classifying artificially irrigated soils. This paper discusses some problems in the application of Taxonomy and suggestes the classification of paddy field soils in Korea.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paper. 1. Anthro aquic, Aquic Udipsamments : The top soils of these soils are saturated with irrigated water at some time of year and have mottles of low chroma(2 or less) more than 50cm of the soil surface. (Ex. Sadu, Geumcheon series) 2. Anthroaquic Udipsamments : These sails are like Anthroaquic, Aquic Udipsamments except for the mottles of low chroma within 50cm of the soil surface. (Ex. Baegsu series) 3. Halic Psammaquents : These soils contain enough salts as distributed in the profile that they interfere with the growth of most crop plants and located on the coastal dunes. The water table fluctuates with the tides. (Ex. Nagcheon series) 4. Anthroaquic, Aquic Udifluvents : They have some mottles that have chroma of 2 or less in more than 50cm of the surface. The upper horizon is saturated with irrigated water at sometime. (Ex. Maryeong series) 5. Anthro aquic Udifluvents : These soils are saturated with irrigated water at some time of year and have mottles of low chroma(2 or less) within 50cm of the surface soils. (Ex. Haenggog series) 6. Fluventic Haplaquepts : These soils have a content of organic carbon that decreases irregularly with depth and do not have an argillic horizon in any part of the pedon. Since ground water occur on the surface or near the surface, they are dominantly gray soils in a thick mineral regolith. (Ex Baeggu, Hagseong series) 7. Fluventic Thapto-Histic Haplaquepts : These soils have a buried organic matter layer and the upper boundary is within 1m of the surface. Other properties are same as Fluventic Haplaquepts. (Ex. Gongdeog, Seotan series) 8. Fluventic Aeric Haplaquepts : These soils have a horizon that has chroma too high for Fluventic Haplaquepts. The higher chroma is thought to indicate either a shorter period of saturation of the whole soils with water or some what deeper ground water than in the Fluventic Haplaquepts. The correlation of color with soil drainage classes is imperfect. (Ex. Mangyeong, Jeonbug series) 9. Fluventic Thapto-Histic Aeric Haplaquepts : These soils are similar to Fluventic Thapto Histic Haplaquepts except for the deeper ground water. (Ex. Bongnam series) 10. Fluventic Aeric Sulfic Haplaquepts : These soils are similar to Fluventic Aeric Haplaquepts except for the yellow mottles and low pH (<4.0) in some part between 50 and 150cm of the surface. (Ex. Deunggu series) 11. Fluventic Sulfaquepts : These soils are extremely acid and toxic to most plant. Their horizons are mostly dark gray and have yellow mottles of iron sulfate with in 50cm of the soil surface. They occur mainly in coastal marshes near the mouth of rivers. (Ex. Bongrim, Haecheog series) 12. Fluventic Aeric Sulfaquepts : They have a horizon that has chroma too high for Fluventic Sulfaquepts. Other properties are same as Fluventic Sulfaquepts. (Ex. Gimhae series) 13. Anthroaquic Fluvaquentic Eutrochrepts : These soils have mottles of low chroma in more than 50cm of the surface due to irrigated water. The base saturation is 60 percent or more in some subhroizon that is between depth of 25 and 75cm below the surface. (Ex. Jangyu, Chilgog series) 14. Anthroaquic Dystric Fluventic Eutrochrepts : These soils are similar to Anthroaquic Fluvaquentic Eutrochrepts except for the low chroma within 50cm of the surface. (Ex. Weolgog, Gyeongsan series) 15. Anthroaquic Fluventic Dystrochrepts : These soils have mottles that have chroma of 2 or less within 50cm of the soil surface due to artificial irrigation. They have lower base saturation (<60 percert) in all subhorizons between depths of 25 and 75cm below the soil surface. (Ex. Gocheon, Bigog series) 16. Anthro aquic Eutrandepts : These soils are similar to Anthroaquic Dystric Fluventic Eutrochrepts except for lower bulk density in the horizon. (Ex. Daejeong series) 17. Anthroaquic Hapludalfs : These soils' have a surface that is saturated with irrigated water at some time and have chroma of 2 or less in the matrix and higher chroma of mottles within 50cm of the surface. (Ex. Hwadong, Yongsu series) 18. Anthro aquic, Aquic Hapludalfs : These soils are similar to Anthro aquic Hapludalfs except for the matrix that has chroma 2 or less and higher chroma of mottles in more than 50cm of the surface. (Ex. Geugrag, Deogpyeong se ries)

  • PDF

ESTIMATING THE VOLUME OF CONSTRUCTION-WASTE LANDFILL USING GEOPHYSICAL TECHNIQUES (물리탐사 기법을 이용한 건축 폐기물 매립지의 규모 파악)

  • Mun,Yun-Seop;Lee,Tae-Jong;Lee,Chae-Yeong;Yun,Jun-Gi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6 no.1
    • /
    • pp.13-23
    • /
    • 2003
  • Dipole-dipole resistivity and ground penetrating radar(GPR) surveys were performed on an abandoned landfill site filled with asbestos containing material.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stimate spatial extension and volume of the landfill for evaluting the cost for developing appropriate remedial alternatives. Assuming that the bedrock is within 10 m depth, dipole spacings of 2, 2.5 and 5m were set for six survey lines for resistivity measurements. For More detailed information, GPR suvey using 225 Mhz antenna was carried out for twelve survey lines for the shallower information. DC resistivity structures showed few tens ~ hundreds ohm-m for the landfill or alluvial laver, and 1,000~ 5,000 ohm-m for the bedrock. The depth to bedrock is found out to be approximately 5m. GPR survey results represented very clear reflection and/or diffraction events from the boundaries as well as from the blocky construction wastes. With high-resolution GPR survey, depth of the bedrock was resolved up to 2m, which in turn, could be a good indicator for estimating the volume of the landfill. Those depths of bedrock were confirmed by backhoe excavation data for 13 sites. The total area and volume of the landfill were to be approximately 3,953 .$m^2$ and 4,033 $m^3$, respectively.

  • PDF

Summary of Preliminary Digital Model Test on Leo Aconqueua Valley in Chele (칠레의 리오 아콘카우와 계곡(溪谷)에 대(對)한 디지탈 모델 예비시험연구(豫備試驗硏究))

  • Choi, Seung Il;Shin, Byung Wo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6 no.4
    • /
    • pp.231-233
    • /
    • 1973
  • 1. 칠레의 중앙(中央)에 위치(位置)한 리오-아콘카우와 계곡(溪谷)은 600m 심도(深度)의 충적층(沖積層)으로 형성(形成)되어 있음. 2. 계곡(溪谷)의 물관리구역(管理區域)은 4 개구역중(個區域中) 3 개구역(個區域)에 걸쳐 있음. 3. 주요농업관개지역(主要農業灌漑地域)으로서 차카부퀴토에서 태평양연안(太平洋沿岸)까지의 거리(距離)는 113km가 됨. 4. 관개(灌漑)는 9 월(月)부터 5 월(月)사이에 도수로(導水路)와 관정(管井)에 의(依)하나 용수불족(用水不足)으로 저수지(貯水池)와 지하수개발(地下水開發)이 구상(構想)되었음. 5. 디지탈 모델 시험(試驗)은 제(第) 3 관리구역내(管理區域內) 약(約)7km의 거리(距離)의 히주에라스구간(區間)에서 이루어졌었음. 6. 시험결과(試驗結果) 가. 하천(河川)과 대수층(帶水層)과의 관련성(關聯性) 나. 다각도(多角度) 관개용수(灌漑用水)로 인(因)한 하천(河川)과 지하수(地下水) 저류(貯溜)의 효율성(效率性)의 확인(確認). 다. 지하수(地下水) 양수(揚水)에 의(依)한 지하수(地下水) 저류량(貯留量)의 감소(減少)와 라. 하천(河川)에의 재유입수량(再流入水量)이 관개(灌漑) 종료시(終了時)나 직후(直後)에 최대치(最大値)였음. 마. 리오 아콘카우와 계곡(溪谷)에 대(對)한 모델시험(試驗)을 제안(提案)하여 a) 장차(將次) 지하수개발(地下水開發)의 효과(效果)를 분석(分析)하고 b) 제안(提案)된 저수지(貯水池)의 효율(效率)과 c) 수자원(水資源)의 적절(適切)한 이용계획(利用計劃)을 수립(樹立)토록 하였음.

  • PDF

An Analysis of Sediment Characteristic in Gongju(2007) (공주지점의 유사량 특성 분석(2007))

  • Go, Ju-Yoe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18-922
    • /
    • 2008
  • 본 연구에서의 측정 대상인 공주지점은 금강 본류로 홍수 예 경보 지점이며, 그 하상이 대부분 모래로 구성된 충적하천으로 간주된다. 유사량 측정은 강우가 집중되는 6$\sim$9월의 홍수기(25회)와 이를 기준으로 전 후시기인 저 평수기(2회)로 나누어 총 27회로 측정하였고 부유사량(D-74, P-61A: 수심적분법), 하상토(BM-54, 홍수기전 후 2회 채취), 수리량(수위, 유속, 측정수심, 수면폭, 수면경사, 수온)등의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미측정구간의 유사량을 포함한 총유사량을 추정(실측+계산; Modified Einstein, 간접계산; Engelund & Hansen, Yang, Ackers & White)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가지고 유량-부유사농도와 부유사량 및 총유사량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체적으로 유량에 대한 측정성과들의 변위와 저유량시 산포도에 있어 다소 큰 경향을 보였고, 주요 강우사상별로 보았을 때 루프(Loop)현상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의 상충은 하천의 수리, 유사특성과 추정방법의 적용한계 등의 서로 다른 제한된 범위의 자료들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데서 오는 차이, 특히 유량, 수심, 하상토의 입경크기 등 자료의 범위가 추정공식들이 추천하는 범위에서 벗어났기 때문인데, 이는 총유사량 공식에 대한 범용성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Study on the Network Design of Sediment Load (유사량 관측망 설계에 관한 연구)

  • Lee, Yeon-Kil;Go, Ju-Yeon;Jang, Bok-Ji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20-320
    • /
    • 2011
  • 하천 유사량은 유량과 마찬가지로 충적 하천의 기본적인 자료로서 하상변동 예측, 저수지 퇴사량 추정, 유사 유출량 추정, 하도 계획과 설계, 유사조절 계획 수립 등에 다목적으로 활용된다. 선진 외국의 경우는 유사량관측망을 구축하여 일찍이 유역관리 및 하천관리, 하천시설물관리 및 댐 관리 등을 위한 자료를 생산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는 유사량 측정 기반 및 실측된 유사량 자료가 부족한 관계로 단순한 가정이나 경험식에 의한 추정치들의 활용 빈도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특성에 맞는 관측망을 구축하기 위해서 국내외 관측망 구축 사례 등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유사량관측망 구축 방법을 개념화하였다. 개념화된 유사량 관측망 구축방법은 유역관리, 하천관리, 하천시설물 관리, 댐 관리 측면을 포괄하는 방법으로 관련계획 및 설계기준 검토, 유사량조사 현황 검토, 설계대상 수위관측소 선정, 현장조사 등의 과정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망 구축대상 지점을 국가수위관측망(643개소)로 하였으며, 이를 통해 총 138개소의 유사량관측망을 목적별로 구축하였다. 권역별로는 한강권역 44개소, 낙동강 권역 37개소, 금강 권역 33개소, 섬진강 권역 12개소, 영산강 권역 12개소로 구축되었다.

  • PDF

Shell Deposits in the Lower Cretaceous Hasandong Formation from Daesong-ri, Geumnam-myeon, Hadong-gun - Occurrences, Taphonomy, Paleoenvironments, and Implications in Geological Heritage - (하동군 금남면 대송리 부근의 하산동층에서 산출되는 패각화석층 - 산상, 화석화과정, 고환경 및 지질유산으로서의 의미 -)

  • Paik, In Sung;Kim, Na Young;Kim, Hyun Joo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4 no.1
    • /
    • pp.4-29
    • /
    • 2011
  • Paleoenvironments of the shell deposit-bearing sequence in the Hasandong Formation at Daesong-ri area, Hadong-gun, Korea, are interpreted on the basis of sedimentary facies and taphonomy of the shell deposits, with a discussion of their stratigraphic implications. A shell deposit-bearing sequence without reddish beds is mostly grayish, and the bedding is laterally extensive. These deposits are interpreted to have been formed in sandflats, mudflats, and shallow lakes generated by flooding on an alluvial plain. The shell deposit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and the concentration of a single species of Brotiopsis wakinoensis in the shell deposits is deemed to have been attributed to the exclusive inhabitation of the genus Brotiopsis. Type 1 and 2 shell deposits are interpreted to have been fossilized in sandflats and mudflats after death in their habitat of shallow lakes and subsequent transformation by sheetflooding and lake flooding. Type 3 shell deposits are interpreted to have been fossilized in their habitat of shallow lakes during a stabilized period of lake development. The development of the shell deposit-bearing lacustrine sequence in a few tens of meters in thickness in the Hasandong Formation of fluvial deposits is compared to the shift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from the Hasandong Formation (fluvial deposits) through the Jinju Formation (lacustrine deposits) to the Chilgok Formation (alluvial plain deposits), which suggests that additional lithostratigraphic classification is needed in the Hasandong Formation. The shell deposits at the study area can provide valuable data to understanding the paleoenvironments during the Early Cretaceous Period of Korea, and should give basic data to evaluate the value of the Cretaceous mollusc deposits in Korea as a geological heritage.

Study for Evaluation of Discharge and Sediment Considering of Characterastics of River Basin (하천 유역 특성을 고려한 유량 및 유사량 산정에 관한 연구)

  • Shin, Han-Man;Choi, Gye-Woon;Kim, Gwang-Nam;Jung, Jae-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47-347
    • /
    • 2011
  • 하천에서의 유사량의 추정은 하천유사 해결을 위한 자료획득이 기본이고, 하천내의 수리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하천개수 및 하도의 안정, 홍수터 관리, 저수지의 설계 및 운영 등 하천계획에 필요한 기본적 요소 중 하나이다. 유사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Einstein(1950) 공식이나 Toffaleti(1968) 공식 등과 같은 하천 유사량 공식을 이용한 간접적인 계산방법과 현장 실측을 통한 직접적인 방법이 있다. 그러나 유사량 공식을 이용한 추정은 아직도 그 신뢰성이 떨어지며, 대부분의 기존 유사량 공식들이 하상토 유사량을 위주로 추정하여, 소류사가 지배적인 경우에는 이런 공식들을 이용하여도 어느 정도 신뢰성이 확보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부유사가 지배적인 하천의 경우 정확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장실측에 의한 방법이며, 유사량 공식은 부득이한 경우에만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측 유사량 산정을 위하여 하천 규모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국가하천인 경우 임진강을 대상으로 민간인 출입이 가능한 구간(L = 84.5km), 중소규모하천인 경우 안성천 수계의 황구지천과 인천의 계양천을 대상으로 하였고, 임진강의 경우에는 부유사의 대부분이 이토나 점토로 구성되어 있고 중 상류에서 하상재료의 구성이 대체로 호박돌이나 암반으로 이루어진 부분이 많아 주로 모래로 이루어진 충적하천에서 이용되는 수정 Einstein(1955) 방법에 의한 총 유사랑 추정은 의미가 없기 때문에(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2) 본 조사에서는 임진강의 총유사량을 부유사양으로 간주하였으며 다른 유사량 공식을 이용한 부유사량과 비교를 통하여 공식을 제안하였다. 유사량 측정은 하천별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평수기와 홍수기로 구분하여 측정하였으며, 수리량과 하상토자료를 이용하여 종유사량을 산정하는 Einstein(1950) 공식, Rijn(1984) 공식, Toffaleti(1968) 공식, Shen & Hung(1971) 공식, Yang(1973) 공식, Yang(1979)공식, Ackers & White(1973) 공식, Engelud & Hansen(1967) 공식, Ranga Raju(1981) 공식을 이용하여 결과 값을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