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충적토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Studies on the Absorption Capacity of Phosphorus of Korean Top-soils (우리나라 표층토(表層土)의 인산흡수력(燐酸吸收力)에 관(關)한 연구(硏究))

  • Park, C.S.;Han, K.H.;Lim, S.K.;Lee, J.H.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2 no.1
    • /
    • pp.1-13
    • /
    • 1969
  • A total of 129 surface(upto 30 cm depth) soil samples were selected from the profile samples collected during reconnaissance soil survey in 1967, for the determination of phosphorus absorption co-efficient. The distribution range for each soil association has been established. The physicochemical factors affecting the phosphorus absorption coefficient have also been examined. The following general conclusions can be drown: 1. In general, the phosphorus absorption coefficient of the soil association of presently arable land are lower than the soils which are not in cultivation. 2. The higher the cation exchange capacity of soils, the higher is the phosphorus absorption coefficient. The factors governing phosphorus absorption coefficient in various soil associations are as follows: Parent Material Soil Association Governing Factor Fluvio marine Low Humic Gley Fluvio marine Alluvial Complex Narrow valley Siliceo mafic materials Red-yellow podzolic Redish Siliceo mafic materials Brown Lateritic Clay content Siliceous crystalline materials Lithosols C.E.C. & Clay content Alluvium Low Humic Alluvium Gley Alluvial Organic matter Siliceous crystalline materials Red-Yellow Podzolic Organic matter and clay content 4. The relation between phosphorus absorption coefficient determined by $(NH_4)_2HPO_4(y)$ and by the P 700 ppm $NaH_2PO_4(x)$ is $Y=2.716X+37(r=0.96^{**})$ which shows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linear regression.

  • PDF

Geology and Soils of Chojeong-Miwon Area (초정-미원지역의 지질과 토양에 관한 연구)

  • 나기창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9 no.1
    • /
    • pp.13-28
    • /
    • 2000
  • Chojeong area is mainly composed of the Ogcheon Group which consists of regionally metamorphosed, age-unknown sedimentary rocks. In the northwestern parts, the Group is intruded by the Jurassic Daebo granite and Cretaceous felsic and mafic dykes. The lowermost, Midongsan Formation which consists of milky white impure quartzite, crops out along the anticline axes with N40E trend. Ungyori quartzite Formation is intercalated with quartzite and slate. Miwon Formation is most widely exposed in the area and consists mainly of phyllitic sandy rocks with a thin crystalline limestone bed. Hwajeonri Formation is divided into two parts, pelitic lower and calcareous upper parts, composed with phyllite and slate. Changri and Hwanggangri Formations are typical members of Ogcheon Group, the former bearing coally graphite seams consists mainly of black slate and phyllite with intercalated greenish grey phyllite, the latter is pebble bearing phyllite formation of which matrix and pebbles are variable in compositions and size. Biotite granite, porphyritic granite and two mica granite belong to Jurassic so-called Dabo granite. They intruded the Ogcheon Group forming vast contact metarnophic zone. Quartz porphyry, mafic dyke and felsite intruded along the marginal zone of porphyritic granite batholith and fracture of NS trend. Main structural lineaments in Ogcheon Group shows N25-45E, NS and N30-45W trends. The N25-45E trends are mainly from general ductile deformation during regional metamorphism, showing isoclinal folding, Fl foliations and lithological erosional characters. Some of these trends are due to normal faults. The NS and N30-45W trends represent brittle deformation including faults and joints. In the area of granitic batholith, NS to N30- 45 trends are from the direction of dykes. In the soils of the area, average contents of heavy metal elements such as Cd, Cr, Cu, Pb, and Zn are 0.2, 50.6, 35.5, 27.9, and 93.4 ppm respectively, which are not higher than the average values of natural soils, under the tolerable level. Enrichment Index does not show any heavy metal pollution in the area. Average depths of weathering(5m vs. 2m), porosities(43.94 vs. 51.80), densities(l.29 vs. 1.15), and permeabilities(2.52 vs. 8.07) are comparable in granite areas and in the phyllite areas of Ogcheon Group.

  • PDF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Diaphragm Wall Induced by Deep Excavation(I) -Instrumentation and Experiments- (대규모 굴착공사에 따른 지중연속벽체의 변형특성(I) -계측 및 실험-)

  • 김동수;이병철;김동준;양구승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4
    • /
    • pp.93-105
    • /
    • 2001
  • 해성토층(풍화토 및 모래질 충적토가 암반 위에 쌓인) 위에 준설매립된 수도권 해안매립지역에서 원형의 대심도 굴착공사로 인하여 발생하는 지중연속벽의 수평변위에 대한 현장계측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측정으로는 지중연속벽의 8방향에서 벽체수평변위와 철근응력, 토압, 간극수압 등이 측정되었고, 정확한 측정결과를 얻기 위하여 합리적인 해석 및 보정방법이 연구되었다. 현장측정결과 굴착시공단계에 따라서 벽체수평변위가 증가하였으며, 일정깊이에 존재하는 점토층을 굴착함으로써 간극수압의 급격한 변화가 측정되었다. 한편, 굴착전후의 구속압감소에 따른 지반물성치의 변화를 정리하였다. 굴착전후의 탄성계수는 일정깊이까지 상당한 정도로 감소됨을 알 수 있었고 굴착전후 여러 가지 시험방법에 따른 탄성계수의 차이들을 비교하였다.

  • PDF

Analysis of Perimetrical Ground Settlement Behavior for Deep Excavations in Urban Areas (도심지 깊은 굴착으로 발생하는 인접 지반 지표침하 분석)

  • 양구승;김명모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13 no.2
    • /
    • pp.101-124
    • /
    • 1997
  • Adjacent ground surface settlements by deep excavations are analyzed by field observations in the areas where excavations are performed in sandy soils or weathered soils underlain by rocks, First, the magnitude and the distribution of ground surface settlements, which are developed before main excavation activities (e. g., diaphragm wall installation and center pile installation) , are measured and analyzed. Secondly, the magnitude and the distribution of ground surface settlements by main excavation are measured and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predictions obtained by the empirical methods. Through case studies performed on the excavation sites where adjacent ground surfaces or structures are damaged by excavation activities, upper limit location of ground surface cracks are investigated.

  • PDF

A Study on Estimation of the Collapse Pattern of Road Sink Using Distinct Element Method (개별요소법을 이용한 도로함몰 붕괴양상 추정에 관한 연구)

  • Ham, Myoung Soo;Park, Seon Woo;Lee, Hyun D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2 no.2
    • /
    • pp.57-63
    • /
    • 2019
  • The road sinks in the sewer line or subway section are affected by the ground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properties and the ground motion in the area where cavities occurred in order to establish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road sink. In this paper, simulation was performed by using EDEM program, which is one of the Discrete Element Method programs, for sandy soil and clayey soil, which are most common in alluvial deposits, with different locations and sizes of cavities in the undergrou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ink size occurred more in the sandy soil than in the cohesive soil. Deeper and larger cavity is more likely to occur the road sink In the sand soil model while road sink in the clay model is easy to occur when the cavity is more shallower.

Effect of water cut-off by M.S.G. method for weathered soil and alluvial soil (풍화토 및 충적토 지반에 적용된 M.S.G공법의 차수효과)

  • 지덕진;우상백;강진기;김태한;박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3.03a
    • /
    • pp.85-92
    • /
    • 2003
  • Generally, ordinary portland cement(OPC) is widely used for grouting to reduce permeability of ground under the foundations of structures. But, it is hard to be injected into the microscopic voids, fissures and crevices in soil or rock formation for the OPC material. Therefore new method what is called MSG(Micro Silica Grouting) has been developed recently to improve the weak point of the OPC material. In this case study, in order to verify performance of the MSG's water cut-off, trial injections were performed in rear of CIP(Cast in Place Pile) on the site A(weathered soil) and B(alluvial soil) that are constructed for the subway No. 9 nowadays. To take the proper grouting method of the MSG in the trial injecting, the injections are carried out for grouting types(constant pressure or fixed Quantity) and grouting methods(1.5shot or 2.0shot) and to confirm the effects of water cut-off and the injection range of the MSG, the tests of permeability and indicator(phenolphthalein) response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injection. Through the tests results, we could affirm the effects of water cut-off of the MSG and the injection range for the weathered and alluvial soil layers near the Han River. Finally we could make sure the application of the MSG method in actual construction under the layers.

  • PDF

Soil Mineralogy (토양광물)

  • Jang, Yong-Seo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1
    • /
    • pp.36-44
    • /
    • 1998
  • 우리 나라에서 토양의 점토광물에 관한 최초의 연구는 1958년 김제지방의 답 토양에 관한 연구로 (Dewan, 1958)시작되었다. 1960년대 시작하여 1970년대 까지는 주로 토양점토광물의 동정이 이루어 졌다. 점토광물의 동정(同定)에 사용된 잔적토(殘積土)(Residual Soil)로는 화강암(花崗岩),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 현무암(玄武岩), 석회암(石灰岩), 혈암(頁岩), 제(第)3기층(紀層), 홍적층(洪積層) 유래 토양과 토양종류별(土壤種類別)로는 과부식회색토(寡腐植灰色土), 염류토(鹽類土), 충적토(沖積土), 적황색토(赤黃色土), 화산회토(火山灰土), 퇴적토(堆積土), 갈색토(褐色土), 암쇄토(岩碎土),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이였으며, 토양점토광물(土壤粘土鑛物)과 작물수량성(作物收量性) 관계에 관한 연구가 실시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토양중의 1차광물과 점토광물의 풍화에 대한 안정도와 1차광물의 동정이 행해졌으며, 이밖에 Kaolinite 입자의 전하에 관한 연구등 점토광물의 흡착과 활성 연구, 점토광물의 토양개량재로서의 흡착과 화학적 특성 변화 연구와 점토광물의 토양개량 시용효과에 관한 연구가 행해졌다. 1990년대에 들어와서는 토양 중의 1차광물과 점토광물의 정량에 대한 자료가 축척되었고, 토양의 풍화에 대한 안정성과 생성기작, Zeolite와 새로운 광물이 합성되었다. 또한 합성광물을 이용한 농업과 산업광물로의 응용성 환경 산업에서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평가가 시도되었다. 토양의 점토광물의 조성에 관한 연구는 토양 모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화강암(花崗岩)에서는 Halloysite,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에서는 Kaolinite, Metahalloysite, Illite, 산성암(酸性岩)에서는 Kaolinite, Venrmiculite와 Chlorite의 중간광물, 현무암(玄武岩)에서는 Illite, Kaolinite, Vermiculite, 석회암(石灰岩)에서는 Vermiculite-Chlorite 중간광물, Kaolinite와 Illite, 혈암(頁岩)에서는 Kaolinite, Halloysite, Illite 외 Vermiculite-Chlorite, 화산회토(火山灰土)에서는 Allophane이 주광물이었다. Soil Taxonomy와 토양광물과의 관계에서, 답 토양에서는 Entisols의 주점토광물은 2:1형과 1:1형 광물이지만 Inceptisols와 Alfisols에서는 Halloysite가 대부분이다. 밭 토양의 경우는 Alfisols의 주점토광물은 Vermiculite, Illite, Kaolinite이었고, Ultisols에서는 Vermiculite-Chlorite 중간광물이었다. 산림토양에서는 Inceptisols중에서 Andept는 Allophane, Alfisols에서는 2:1 광물이지만, Ultisols에서는 Halloysite이다. 모재별 조암 광물의 풍화와 점토광물의 생성과정에서 화강암(花崗岩)과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의 장석류(長石類)는 kaoline광물로, 이 밖의 운모광물(雲母鑛物), 녹니석(綠泥石), 각섬석(角閃石), 휘석(輝石)으로부터 생성된 illite, chlorite, vermiculite는 풍화중간에 혼층단계(混層段階)를 거쳐서 kaoline 광물로 풍화된다. 석회암(石灰岩) 토양의 smectite가 Mg농도가 높은 토양용액으로부터 침전되어 생성되었거나 운모 또는 chlorite에서 유래된 vermiculite의 변성작용에 의해 생성되고, 혈암(頁岩)토양의 점토에 illite가 주로 풍화에 저항성이 큰 미립자의 함수백운모(含水白雲母)로부터 유래되며, 현무암(玄武岩) 중의 장석류(長石類)는 kaoline광물로, 휘석(輝石)은 chlorite${\rightarrow}$illite의 풍화과정을 거친다. Zeolite, 함불석 Bentonite, Bentonite 등 우량점토 광물이 분포과 광물조성, 이화학적 특성이 조사되었고,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토양의 개량을 위해서 Bentonite, Zeolite, Vermiculite 등의 토양 개량재(改良材)로서의 기초연구와 이들 개량재 시용효과에 관한 연구 등이 주로 논토양에서 수행되었다. 점토광물과 수량관계를 보면 Montmorillonite를 주점토광물로 함유된 답 토양의 수도수량이 1:1 광물을 주점토광물로 함유하고 있는 토양에서의 수도수량 보다 높았다. 토양광물에 관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양이온교환능과 포화이온의 영향, 입자의 전기화학적 성질, 흡탈착 성질, 표면적과 등전점, 해성점토에 대한 압밀점토(壓密粘土)의 변형율(變形率)의 추정 등이 주로 연구되었다. 부가가치가 낮거나 폐기되는 광물을 이용하여 토양개량재 혹은 흡착제를 형성하는 연구가 알카리 처리에 의한 Zeolite 합성에 집중되었다.

  • PDF

An Analysis of Long & Short Term Variation for Riverbed in the Moonsancheon (문산천의 장.단기 하상변동 분석)

  • Kang, Kyung-Seok;Park, Mun-Hyun;Kim, Seo-Young;Kim, Kook-Il;Park, B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35-1540
    • /
    • 2006
  • 하천의 평형상태를 판단하기위해 필요한 두가지 관점은 첫째, 대상 하천이 현재 평형상태에 있는 가이고 둘째, 하천에 하상변동을 일으킬 수 있는 인위적인 영향을 가한 후에 하천반응을 통해 궁극적으로 결정되는 평형상태를 예측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도의 특성을 토대로 하여 현 하도의 평형상태를 정성적인 측면에서 검토하고, 흐름과 유사 이송에 관련된 수학모형을 수치적으로 해석하는 하상변동모형의 분석을 통한 현하도의 안정성 및 하상변동 양상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임진강 유역의 충적하천인 문산천을 대상으로 지배유량을 산정한 후 지배유량 유하시의 마찰속도와 무차원 소류력 등의 하도특성량을 산정하여 토사이송이 크게 발생하는 구간을 정성적으로 예측하였다. 예측된 구간의 현장조사결과 $No.29{\sim}No.35$ 구간의 하상의 상승은 개수공사와 수해복구공사로 인한 인위적인 굴착에 대한 퇴적으로 하천이 평형상태로 환원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No.41{\sim}No.54$ 구간의 하상저하는 문산천 상류구간의 큰 하상경사와 보의 영향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1, 2차원 모형에 의한 장 단기 하상변동 분석결과 하도특성량을 이용한 하도의 안정성 평가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문산천의 경우 하상변동의 양상 파악 및 하도의 안정성 판단을 하는데 있어 하도특성량을 근거로 판단하는 방법의 적용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Evaluation of Artificial Recharge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Methods of Ditch and Injection well (Ditch상 인공주입방식을 이용한 인공함양 및 주입량 평가 연구)

  • Lee, Young Dong;Shin, Dong Min;Kim, Byeong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5-25
    • /
    • 2020
  • 최근 기후변화와 함께 한국은 매년 가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피해지역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가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지하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인공함양 및 취수시설의 실증시설을 구축하여 상시 가뭄지역을 대상으로 적용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연구지역의 소규모 평탄지 하천 중·상류지역 충적층에 인공함양을 통해 가뭄대책 마련을 위한 인공 주입시설을 설치하고, 대수층 발달이 양호한 하류지역에 수평집수정을 이용한 취수시설을 설치하여 취수-공급의 지속적인 순환방식의 통합적인 인공주입·취수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연구지역은 가뭄 및 상수도 미 보급지역으로 인해 제한급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충청남도 홍성군 운곡리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지역 주 대수층인 충적층은 시추조사 결과 지표하 0.5~12.3m에 분포하며, 실트질 모래 및 실트질 자갈로 구성되어있다. 대수층의 수리성은 양수 및 회복시험결과 3.79×10-4~7.71×10-3(평균 3.13×10-3)cm/sec로 인공함양을 위한 지반 특성으로 양호한 수리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지역의 지층분포 및 수리지질특성을 고려하여 현장시험 대수층에 인공함양 방법 중 Ditch 및 Ditch+injection Well을 설치하고 공경, 여재등 여러인자에 따른 인공 주입에 의한 함양특성과 수위변동 모니터링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최적의 취수시설을 구축하여 국내 상시 가뭄지역의 대체수자원확보와 용수공급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ies on Forest Soils in Korea (II) (한국(韓國)의 삼림토양(森林土壤)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 Lee, Soo Wo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54 no.1
    • /
    • pp.25-35
    • /
    • 1981
  • Som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forest soils in Korea were analyzed for providing the reasonable management methods of forest lands, Among 375 soil series surveyed until 1979, 93 soil series of forest soil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Firstly soil data were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by weathered products and secondly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parent roc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forest soils characterized by weathered products volcanic ash soils were proved to be the most fertile and alluvial soils were turned out to be the most infertile soils. Residual soils on mountain and hill were mostly on the average in all kinds of soil properties analyzed except total soil depth. 2) Igneous rocks developed rather infertile soils containing large amount of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P_2O_5$ with relatively deep soil depth and strong acidity. On the other hand sedimentary rocks produced rather shallow soils containing small amount of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P_2O_5$ but they were relatively fertile with weak acidity. 3) Among igneous rocks basalt and trachyte produced very fertile soils and granite and andesite produced slightly infertile soils. 4) Among sedimentary rocks limestone soils had high fertility neutral in acidity but low amount of available $P_2O_5$ 6) Alluvial sand produced generally very infertile soils with great soil depth comparing with the arable alluvial land with high fert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