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충방전 실험

Search Result 19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UPS Lead-Acid Battery (UPS용 납축전지를 위한 배터리관리시스템)

  • Seo, Cheol-Sik;Moon, Jong-Hyun;Park, Jae-Wook;Kim, Geum-Soo;Kim, D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2 no.6
    • /
    • pp.127-133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BMS) for the optimum conditions of the lead-Acid battery in UPS. The proposed system control the currents and voltages of battery for optimum conditions to estimate the State Of Charge(SOC) in charge or discharge mode. It proved the performance and the algorithm for the estimation of SOC, through the experiments which using the charge and discharge tester and the field tests.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Photovoltaic/Wing Hybrid PCS System (태양광.풍력 복합발전용 PCS시스템 제어특성분석)

  • 정영석;유권종;강기환;송진수;김홍성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5 no.1
    • /
    • pp.19-25
    • /
    • 2000
  • 본 논문은 배터리 충방전 제어기를 가지는 독립형 태양광·풍력 복합발전시스템에 대해서 기술한다. 복합발전시스템의 주요 전력원은 일반적으로 태양전지 어레이, 풍력발전, 배터리로 구성된다. 태양광·풍력 복합발전시스템은 기상조건의 상호 보완성 때문에 풍력 또는 태양광을 단독으로 이용하는 것에 비해서 배터리 수요를 줄일 수 있으며, 자연에너지의 활용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제안된 복합발전시스템은 충방전 제어기가 포함되어 있어 태양전지 어레이의 최대출력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순시치 제어기로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시스템의 동작특성을 검증하였다.

Battery Pack Power Management Using Cell Parameter Estimation (배터리 셀 파라미터 추정을 이용한 배터리 팩의 충방전 관리)

  • Yoon, Sunghyun;Chun, Chang Yoon;Cho, Bo-Hy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345-34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배터리팩의 안전한 충방전 관리를 위해 배터리팩의 전류 제한 지표인 state-of-power (SOP)를 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직렬 연결된 배터리 팩의 SOP를 구하기 위해서는 각 셀의 배터리 파라미터 추정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듀얼 확장 칼만 필터 (DEKF)를 사용하였으며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DEKF의 사용량을 줄이는 방안을 제시한다. 실험을 통해 배터리 파라미터 추정 결과를 확인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electrodes using V-Ti based hydrogen storage alloys (V-Ti계 수소저장합금의 전극특성)

  • 김주완;이성만;백홍구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7 no.2
    • /
    • pp.284-291
    • /
    • 1997
  • The electrode characteristics of two kinds of metal hydride electrodes using V-Ti (V-rich) based alloy were studied, in which one electrode was prepared by sintering the mixture of V-Ti alloy and Ni powders by a rapid thermal annealing technique and the other one was prepared using V-Ti-Ni ternary alloy, The discharge capacities of all electrodes during the charge-discharge cycling were completely deteriorated within 10 cycles. It appeared that the deterioration of the electrodes was caused by the dissolution of V in the near-surface region into the electrolyte and the formation of $TiO_2$ layer on the alloy particle surface. This degradation mechanism was supported by the facts that V is main hydride forming element and $TiO_2$ has very low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ydrogen diffusivity.

  • PDF

리튬 2차전지 anode용 탄소재료 구조의 방전용량에 대한 영향

  • 양철민;양갑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6.10a
    • /
    • pp.124-130
    • /
    • 1996
  • The hydrocarbons containing more than 10 carbons(0.1% of total volume, C10+), residue of aromatization from aliphatic hydrocarbons, were condensated in the presence of catalyst aluminumchloride and cocatalyst nitrobenzene(NB) to be pitchs with desirable properties. The properties of pitch were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 of cocatalyst chosen 20 and 30wt.%. The pitch with 30wt.% NB showed higher carbon yield and lower crystallinity than that with 20wt.% NB. The two pitches were heat treated at 1000C and measured of charge/discharge capacity of the carbon as an anode. The carbon prepared at 20wt.% NB exhibited excellent cyclic stability with a capacity of 218mAh/.g and that at 30wt.% exhibited rather low cyclic stability with higher capacity of 235mAh/g.

  • PDF

A Study on the Electrode Properties of $CaNi_5$ Hydrogen Storage Alloy by F-Treatment (불화처리에 의한 $CaNi_5$ 수소저장합금의 전극 특성에 관한 연구)

  • 오세진;강성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8.11a
    • /
    • pp.92-92
    • /
    • 1998
  • 반도체 기술의 경이적인 발전에 힘입이 최근 휴대용 이동통신기기, 노트북 컴퓨터 등 무선전자제품의 폭발적인 수요와 함께 이들의 소형화, 경량화가 요구되어 전원인 2차전지의 경량화, 고용량화, 장수명화의 필요성이 절실해졌다. Ni-MH 전지는 Ni-Cd전지에 비해 에너지밀도가 1.5~2배에 이르고 충방전 cycle이 길며 오염물질이 없어 환경 친화적이라는 장점이 었다. Ni-MH 전지의 성능은 음극재료인 수소저장합금에 의해 좌우되므로 수소저장능력이 크고 내식 성이 우수한 합금개발이 중요하다. $CaNi_5$는 수소저장능력이 크고 매장량이 많아 값이 싸다는 장점이 있지만 KOH 용액에서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어 주로 Heat Pump 재료에만 사용이 제한되어왔다. 본 실험에서는 결정 구조의 nanocrystalline 및 amorphous화함으로써 해리압의 변화, 방전용량의 변화 등 새로운 전극 특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는 MG (Mechanical Grinding)방법을 통해 CaNis 합금의 전극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아울러 고상-기상반응에서 표면에 형성된 산화피막을 제거하여 안정한 불화물을 표면에 형성시킴으로써 불순물 가스에 대한 내구성을 높이고 활성화특성을 향상 시킨다고 보고되고있는 불화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불화처리 시간을 달리하면서 용액 속에서의 pH의 변화, ICP분석, 전극의 성능 및 표면 특성변화를 충방전 test, SEM 등을 통해 고찰하였다.

  • PDF

$CH_4-H_2-N_2 $ 기체계에서 MW-PACVD를 이용한 결정상의 합성

  • 김도근;백영준;성태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54-54
    • /
    • 1999
  • 다이아몬드 합성시 질소 첨가는 Cn 화합물의 합성가능성을 비롯하여 다이아몬드의 질소 도핑, 성장 속도 및 결정성 변화 등 다양한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이아몬드의 일반적인 합성조건에서 질소를 첨가하여 합성된 막의 형상 및 상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막은 다이아몬드 전처리시킨 Si 기판위에 microwave plasma CVD 장치를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유입되는 혼합가스(CH4+H2+N2)에서 N2 첨가량을 0-95%까지 변화시켰다. 이때 CH4 농도는 5%로 고정하였고, 합성온도는 90$0^{\circ}C$-115$0^{\circ}C$까지 변화시켰다. 이와 같이 합성된 막의 표면조직 및 성장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였다. 상의 분석은 Raman, XRD 및 TEM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조성분석을 위해 XPS 및 AES를 사용하였다. 질소 첨가량에 따라 합성된 막은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다이아몬드 결정에서 시작하여 질소첨가에 따라 결정면이 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0%, 45%의 경우는 다시 결정면이 나타났다. 다량의 질소가 첨가되었을 때, 다시 결정면을 보이는 다이아몬드가 합성된 것은 매우 흥미로운 결과이다. 한편 질소와 메탄만의 기체하에서는 다시 결정면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들 상의 구조는 XRD 및 TED 분석을 통해 모두 다이아몬드로 확인되었다. 기체내의 질소의 첨가에 관계없이 고상내에 질소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방법에 의한 CN 화합물의 합성은 힘든 것으로 보여진다. 이들 실험 결과를 근거로 온도 및 조성에 따른 기체의 열역학적 계산을 통하여 합성거동과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anode는 매우 높은 충전용량을 갖는데 첫 번째 방전시에 Li2O를 생성하여 비가역적 반응을 나타내고 계속되는 충방전 동안 Li-Sn 합금이 생성되어 2차전지의 가역적 반응을 가능하게 한다. SnO2 는 대기중에서 Li 금속보다 안정하기 때문에 전지의 제작 공정 및 사용 면에서 매우 우수한 물질이지만 아직까지 SnO2 구조적 특성과 전지의 충, 방전 특성에 대한 관계의 규명을 위한 정확한 정설은 제시되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TFSB anode 물질로써 SnOx박막을 상온에서 여러 전도성 콜렉터 위에 증착하여 그 충, 방전 특성을 보고하였다. 증착된 SnOx박막의 표면은 SEM, AFM으로 분석하였으며 구조의 분석은 XR와 Auger electron spectroscope로 하였다. 충, 방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리늄 foil을 대극과 참조 전극으로 하여 EC:DMC=1:1, 1M LiPF6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Half-Cell를 구성하여 100회 이상의 정전류 충, 방전 시험을 행하였다. Half-Cell test 결과 박막의 구조, 콜렉터의 종류 및 Sn/O비에 따라 서로 다른 충, 방전 거동을 나타내었다.다. 거의 없었다. 5mTorr 일 때가 가장 좋았다.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RNA바이러스의 하나인 BVDV의 viral replicon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포유동물 세포에 유전자 발현벡터로써 사용할 수 있음으로 post-genomics시대에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기능연구에 맡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다양한 기능을 가진 신소재 제조에 있다. 또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고부가 가치의 제품 개발에 따른 새로운 수요 창출과 수익률 향상, 기존의 기능성 안료를 나노(na

  • PDF

Design and Analysis of a Battery Charge and Discharge Regulator of Communication Satellite (통신위성 배터리 충,방전기 설계 및 해석)

  • Choe,Jae-D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1 no.7
    • /
    • pp.118-126
    • /
    • 2003
  • In this study, a battery charge and discharge regulator of modular type is designed as paralleled bi-directional converter that is possible to provide the power without failure not only in the steady state but also in the transient period by the step load variation or the unexpected faults among the converter modules. Each converter module is designed to get stability, performance, reliability, and maintainability and the average current mode method used for controller has the advantages such as noise immunity, fast response, and the real average current signal acquisition. The equivalent model and small signal model for the paralleled battery chargerIdischarger are presented, and also the transfer functions are analyzed for the CCM(Continuous Charge Mode), CDM(Continuous Discharge Mode) and DDM(Discontinuous Discharge Mode). The experiments of the paralleled bi-directional converter are carried out in the step load variation, and in faults of one converter module respectively. And the performance of paralleled bi-directional converter is verified via the experimental results.

A Study on intelligent capacity's prediction of hybrid automobile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2차전지의 지능형 용량 예측에 관한 연구)

  • Im, Geun-Uk;Jo, Jang-Gun;Jo, Yong-Cheol;Jo, Hyeon-Chan;Kim, Gwa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7.04a
    • /
    • pp.185-188
    • /
    • 2007
  • 본 논문은 하이브리드용 자동차의 리튬 이온 전지의 사이클 라이프에 따른 용량의 감소를 예측하고 잔량을 예측하기 위한 지능형 스마트 모듈의 설계를 제안한다. 리튬 이온 전지는 충 방전 횟수에 따라 전하를 담을 수 있는 용량이 감소하고, 방전 전압이 비선형이므로 정확한 잔량 예측이 어렵다. 따라서, 지능형 스마트 모듈은 전압과 전류, 온도의 측정을 위한 데이터 수집 장치를 제작하고 퍼지 로직을 이용한 잔량 측정 알고리즘을 통해 정확도가 높은 리튬 이온 전지의 잔량을 예측하고, 충 방전 실험 값과 퍼지 로직을 이용한 결과 값의 비교를 통해 그 효용성을 보인다.

  • PDF

Design of Bidirectional PWM Converter for 15kW Charging-Discharging (15kW급 충방전기용 양방향 PWM 컨버터 개발)

  • KIM, SE MIN;Lee, Eun-Cheol;O, Yong-Seung;An, Gang-S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483-484
    • /
    • 2011
  • 본 논문은 고효율 고역율 구현을 위한 배터리 충방전기로서 15kW급 충 방전기용 양방향 PWM 컨버터 개발에 관한 논문이다. 제안된 회로의 구성은 3상 인버터를 PFC정류하여 DC 전압을 만들고 350[VDC] 정전압제어를 통한 배터리 충방전용 DC-DC 컨버터의 입력전압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시제품 제작과 실험을 통한 검증을 하였으며, 상용 충방전기용 제품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