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충돌분석

Search Result 1,79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ccident Reconstruction Analysis by Mathematical and Optimization Method from Skid Mark and Stopped Position (활주흔과 정지지점으로부터 수학적방법과 최적화방법에 의한 교통사고 재현기법에 관한 연구)

  • 유장석;장명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4
    • /
    • pp.7-17
    • /
    • 2002
  • 본 연구는 차대차 충돌사고시 차량충돌위치와 충돌속도 분석기법을 사고사례를 통해 연구하였다. 차량충돌위치는 사고현장 노면에 생성된 타이어 마크를 이용하여 수학적방법으로, 충돌속도는 실제 사고차량 최종정지위치와 모의충돌실험을 통해 분석된 차량 최종정지위치와의 차를 목적함수로 하여 이를 최소로 수렴하는 최적화기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승용차량 오른쪽 앞바퀴 위치는 중앙선으로부터 좌측으로 0.45m 떨어진 진행방향 1차로 상이고, 왼쪽 앞바퀴는 중앙으로부터 좌측으로 0.345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 상태이다. 최적화기법을 이용하여 사고차량의 충돌속도를 분석한 결과. 최적화의 오차율이 0.8%인 경우 충돌속도는 승용차량 67.75Km/h, 짚형 승용차량 29.67Km/h로 분석되었으며, 충돌 후 x축에 대한 속도는 승용차량 20.0Km/h, 짚형승용차량 15.69Km/h이고, y축에 대한 속도는 승용차량 15.68Km/h, 짚형 승용차량 7.66Km/h로 분석되었다. 반면, 기존 충돌속도 분석모형식을 이용하여 사고차량의 충돌속도를 분석한 결과 승용차량 64.97Km/h, 짚형승용차량 31.27Km/h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최적화기법을 통해 분석한 충돌속도와 기존 분석모형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충돌속도와의 오차가 승용차량 2.78Km/h, 짚형승용차량 1.6Km/h로 최적화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연구결과 도출되었다 따라서, 추후 차 대 차 충돌사고를 분석함에 있어 타이어 흔적을 이용한 수학적방법과 모의충돌실험을 통한 최적화기법을 이용하면 충돌속도는 물론 충돌전.후 차량의 운동특성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Method for Pedestrian Accident Reconstruction Using Optimization (최적화방법을 이용한 보행자 충돌사고 재현기법 개발)

  • 유장석;홍을표;장명순;박경진;손봉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3
    • /
    • pp.105-113
    • /
    • 2002
  • As the number of pedestrian accident increases, the reconstruction of an accident becomes important to find the source of the fault. Generally, accidents are reconstructed by the intuition of experts or primitive physics. A reconstruction method is proposed using sophisticated optimization technology. At first, a dynamic simulation model is established for the accident environment. Occupant analysis for automobile crashworthiness is employed. The situation before an accident is identified by optimization. The impact velocity and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are utilized as design variables. The design variables are found by minimi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mulation and the real accident. The optimization process is performed by linking an occupant analysis program MADYMO to an optimization program VisualDOC. Since the involved analysis is dynamics and highly nonlinear, response surface method is selected for the optimization process. Problems are solved for various situations.

어선 충돌사고의 유효충돌속도 산출과 선체 손상에 관한 기초 연구

  • 박현구;박영수;박상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56-157
    • /
    • 2023
  •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의 연간 통계에 따르면 어선의 충돌사고가 전체 충돌사고 중 과반 이상을 점유한다. 충돌사고에서 어선은 타선종보다 규모가 작고 빠른 속력으로 통항함에 따라 중대 사고의 비율도 높다. 이에 따라 충돌요인을 기반으로 한 사고 심각도간의 관계 규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 교통공학에서 다루고 있는 유효충돌속도의 개념을 활용하여, 어선 충돌 시 유효충돌속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유효충돌속도가 증가할수록 사고 선체 손상 심각도가 증가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으로 중앙해양안전심판원 해양사고 재결서 5년간(2016~2020년)의 데이터 286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충돌 당시 산출된 유효충돌속도가 클수록 중손과 전손사고의 확률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유효충돌속도를 기반으로 한 어선의 적정항행 속력이나 제한 속력의 제한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WAVE 적용 중소형 선박 충돌예방 시스템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분석 기초연구

  • Gang, Won-Sik;Lee, Myeong-Gi;Kim, Yeong-D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311-313
    • /
    • 2018
  • 해양안전심판원의 해양사고 통계자료에 따르면 기관손상 등을 제외한 해양사고 중 충돌사고의 비중은 가장 높고, 대부분의 충돌사고는 경계소흘 등 운항과실이 약 90%를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운항자의 항행 안전을 지원하고자 육상 무선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중소형 선박의 충돌예방 시스템을 최종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먼저 소형어선(30톤미만) 운항자의 요구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통해 충돌회피거리, 당직자 배치, 긴급피항시 필요시간, 충돌 및 경보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사항 등을 도출하였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해상에서의 선박충돌 예방을 위한 신뢰성 높은 충돌경보 알고리즘을 개발 적용하는 등 사용자 편의적인 충돌경보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The Estimation of Collision Speed at the Intersection using Simulation (시뮬레이션을 통한 교차로 충돌 속도 추정)

  • Han, Chang-Pyoung;Cheon, Jeong-Hwan;Choi, Hong J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2
    • /
    • pp.514-521
    • /
    • 2021
  • When calculating an intersection collision speed using a formula, it is very difficult to grasp the degree of deceleration of a vehicle after the collision unless there is road surface trace in the entire section where each vehicle moved from the point of collision to their final positions after the collision. A vehicle's motion trajectory shows an irregular curve after a collision due to the effects of inertia based on the driving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the eccentric force according to the collision site, and the collision spee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et the appropriate departure angle after a collision for accurate collision speed analysis. In this study, based on experimental collision data using a computer simulation (PC-Crash), the correlation between an appropriate vehicle departure angle and the post-collision speed was analyzed, and then, a regression analysis model was derived. Through this, we propose a method to calculate collision speed by applying only the vehicle departure angle in some types of collisions for traffic accidents at intersections.

A Study of Impact Factors and Barrier Height of Compact Car Road for Decision of Barrier Type (소형차도로 방호울타리 형식선정을 위한 충돌계수 및 방호울타리 높이선정 연구)

  • Choi, Hyun-Ho;Kim, Ki-Hwan;Lee, Eui-Joon;Yi, Sang-K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6D
    • /
    • pp.605-613
    • /
    • 2010
  • In this study, Impact factors are represented and barrier height of compact car road of safety barrier is suggest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applying problems of existed standard of general car road. For this, traffic accidents analysis is performed and based on the analysis, impact vehicle weight, impact Angle, crash velocity, and barrier height are investigated. For the decision of impact angle, analysis is carried out by comparison of RISER and 2-lines expressway accidents data. Through this, higher-impact angle is suggested. Vehicle weight data of sub-compact car, small vehicle, medium and large vehicle, SUV, small truck is survey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ccident accumulation rate, regression analysis of vehicle weight impact and impact velocity is performed. Also, based on the cumulative rate of vehicle weight on expressways near Seoul, barrier height of compact car road is calculated. It is no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d to the decision of barrier type.

선박충돌사고재현 및 원인분석에 관한 연구

  • 손남선;표춘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74-175
    • /
    • 2022
  • 첨단 항해장비가 대부분의 선박에 보급된 바 있으나, 선박충돌사고는 줄어들지 않고 있으며, 전체사고의 10-20% 정도가 충돌사고이며, 이중 90% 이상이 운항과실로 인하여 발생하고 있다. 과거 허베이스피리트호 사고에서 보듯이 선박충돌사고는 대형 오염사고로 확대될 우려가 있으므로, 대책수립 등을 위한 원인분석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소형선 사고가 전체 사고의 6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며, 어선 등 소형선 사고의 경우, AIS나 V-PASS가 미장착 되었거나 고장 등으로 인하여 운항데이터가 없는 경우, 그 원인을 파악하는데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고 선박 내 운항데이터가 없는 경우, VTS 레이더를 이용하여 사고를 분석할 수 있는 레이더 기반 선박충돌사고재현시스템 및 원인분석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사고사례에 대하여 VTS 레이더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본 레이더 기반 선박충돌사고 재현시스템을 이용하여 사고재현 및 회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특히, 사고 재현시 운항과실 확인을 위한 선박충돌위험도 평가와 함께 사고당시 회피가 가능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피항 가능성 평가를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레이더 기반 선박충돌사고 재현시스템의 특징과 실제 사고사례에 대한 레이더 기반 선박충돌 사고재현 및 피항가능성 평가 결과에 대해 소개한다.

  • PDF

VTSO 관점에서의 선박 충돌위험도 평가모델(CoRi)를 이용한 소형선박의 충돌위험도 평가·분석

  • Lee, Jin-Seok;Kim, Myeong-Hak;Song, Jae-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284-28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VTSO 관점에서 선박 충돌위험도 평가모델(CoRi)을 이용하여 부산항 관제구역내에서 발생한 일반 상선간 준사고 사례에 대한 충돌 위험도와 선종과 선박의 크기를 소형선박(유선 도선 어선 등)으로 가정할 경우 계산된 충돌 위험도를 비교함으로써 VTSO가 일반 상선과 다른 운항 특성을 가진 소형선박의 모니터링 및 충돌 위험 판단의 어려움을 수치적으로 분석 연구고자 한다.

  • PDF

Study on the Human Error Prevention Collision Avoidance Model using Merchant Ship Collision Accident Analysis (상선 충돌사고 분석을 이용한 인적과실 예방 충돌회피모델 연구)

  • Kim, Do-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8 no.6
    • /
    • pp.918-92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collisions by examining 668 cases of merchant ship collision accidents that occurred during the past 12 years (2010-2021) and analyzed them statistically. Further, the analysis results were applied to propose a human error prevention collision avoidance (HEPCA) model. The statistical annual report of the Korea Maritime Safety Tribunal (KMST) and the collision investigation report were investigated to collect data on the causes of collisions of merchant ships, an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tool, SPSS Statistics. In the first-stage analysis, the causes of collisions were analyzed targeting 668 merchant ship collision accidents, and in the second-stage analysis, the identified maximum frequency cause factors were analyzed in detail. The analysis results identified that 98 % of the cause of the collision was the human error of the navigator, and the highest frequency was in the order of neglect of look-out > violation of navigation regulations > improper maneuvering. The cause of the neglect of look-out was mainly neglecting continuous monitoring after the first recognition of the target ship. The HEPCA model for human error prevention was proposed by applying the analysis results to the collision case of the investigation re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s at marine navigator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in practice for avoiding collisions caused by human errors of navigators.

A Study on Qualitative Reasoning about Collision (충돌의 정성적 추론에 관한 연구)

  • Kim, Hyeon-Gyeong;Myeong, Han-Na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6 no.11
    • /
    • pp.1324-1331
    • /
    • 1999
  • 물체의 공간에서의 운동을 다루는 공간 추론의 연구에서 충돌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정성적 충돌 이론과 추론 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충돌 해석에 있어 관련된 물체의 공간적 속성과 운동방향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충돌로 인한 힘과 운동 방향의 전달을 계산하였다. 추론 과정에 있어서는 충돌이 갖는 특성인 불연속적인 변화에 대한 분석과 회전 운동으로 인한 변화의 분석이 소개되었다. 제안된 충돌 이론과 추론 기법은 구현되어 자동차 충돌 사고의 충돌에 적용되어 유효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Abstract Understanding collision is important in spatial reasoning problems that study the motions of objects. This paper introduces qualitative collision theory and reasoning techniques. Force and motion transfers are computed by analyzing the interactions of the spatial properties and motions of the objects. This paper also presents inference techniques for handling discontinuous changes and angular changes by rotation. These theories and inference techniques are implemented and applied to real car-to-car collision accidents. The test results verify the reliabilities of our techniq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