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충격-반향 기법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6초

화해된 콘크리트의 잔존 강도 평가에 있어서 충격-반향 기법의 적용성 (Applicability of Impact-Echo Method for Assessment of Residual Strength of Fire-Damaged Concrete)

  • 신성우;김승용;김정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105-11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화해된 콘크리트의 잔존 강도 평가에 있어서 충격-반향 기법의 적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화해를 모사하기 위해 콘크리트 실험체에 대한 표준 화재 온도 가열 시험을 실시하고, 화해된 콘크리트 실험체에 대해 충격-반향 응답 실험 및 압축 강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화해된 콘크리트의 충격-반향 응답 특성과 압축 강도의 잔존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충격-반향 응답으로부터 구한 초음파 속도와 잔존 압축 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화해된 콘크리트의 초음파 속도를 충격-반향 기법으로 신뢰성 있게 계측할 수 있으며, 또한 잔존 강도 평가에 충격-반향 기법을 유효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충격반향기법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탄성파 파동전파 특성의 연구 (Investigation of the Stress-Wave Propagation I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Impact-Echo Method)

  • 조미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266-274
    • /
    • 2002
  •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조적식 구조물을 비파괴적으로 평가하는 충격반향시험은 타 기법과 비교하였을 때, 현장 적용면에서 탁월하게 우수하며, 그 신뢰성도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충격반향기법은 낮은 신뢰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격반향기법의 신뢰성을 수치해석에 의해 검토하였다. 유한요소해석 및 이론을 근거로 하는 동강성행렬법을 이용하여 균질한 강성구조 깊이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전단강성구조, 샌드위치형 전단강성구조 등 대표적 유형의 전단강성구조를 가지는 콘크리트 터널벽체에 대해 충격반향실험의 수치 모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충격반향기법의 실험자료 분석 및 해석에 있어서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 도출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충격반향기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부재의 비파괴 검사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Concrete Members Using Impact Echo Method)

  • 김동수;박형춘;이광명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9-119
    • /
    • 1997
  • 토건구조물의 사용연한 증가에 따른 기존 구조물의 손상도 및 적정시공여부을 추정하기 위해 비파괴검사의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격반향기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비파괴시험을 수행하였다. 충격반향기법은 응력파의 전파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시험부내는 보형태의 콘크리트부재로서 기지의위치에 공동이 만들어져 있으며, 충격반향기법을 사용하여 아주 작은 오차 범위내에서 공동의 위치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적정시공여부 및 손상도 추정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형말뚝을 이용한 충격반향기법의 영향 요소 연구 (Parametric Study on the Impact-Echo Method using Mock-Up Shafts)

  • 김동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31-144
    • /
    • 2000
  • 본 연구는 비검측공 시험법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충격반향기법(impact-echo test)의 적용서을 수치해석 및 실내 실험을 통하여 분석해 보았다. 즉, 결함이 없는 말뚝과 결함이 있는 말뚝에 대하여 1차원 및 2차원 축대칭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모노캐스트라고 하는 일종의 플라스틱 원형 봉의 말뚝에 축대창 공극, 비축대칭 공극, 병목부 및 단면 확대부와 같은 결함을 각각 크기와 깊이를 변화시켜 제작한 후 공기 중과 지반 내부에서 충격반향기법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충격반향기법의 말뚝 결함 탐지능력은 수치해석에서 얻은 결과와 함께 결함의 크기와 위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함의 크기가 커질수록 탐지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함의 상대면적이 말뚝 단면적의 50% 이상이면 충격반향기법에 의하여 결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기 중 보다 지반에 근입 된 말뚝의 경우가 더욱 명확한 신호를 제공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간영역의 신호가 주파수 영역의 신호 보다 말뚝의 결함 크기에 더 민감히 반응하므로 주파수 영역에서 탐지할 수 없는 작은 크기의 결함을 시간 영역에서는 탐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중레이다와 충격반향기법에 의한 지하 통신구 터널의 라이닝 두께 추정 (Prediction of ling concrete thickness for cable tunnel by GPR and impact-echo method)

  • 김형우;한진우;최광철;강호경;박종호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82-384
    • /
    • 2003
  • 지하 30m 암반에 건설된 통신구 터널의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라이닝 두께를 지중레이다(Ground Penetrating Radar)와 충격반향기법(Impact-Echo Method)으로 추정하였다. 지중레이다에 의한 콘크리트 라이닝 단면의 연속적인 화상으로부터 라이닝 두께의 상대적인 변화를 파악하였으며, 라이닝 두께가 얇은 구간은 충격반향 기법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두께를 추정하였다. 터널 천장의 라이닝 두께는 31.85cm, 좌측 및 우측 측벽부의 라이닝 두께는 각각 32.45cm. 32.97cm로서 설계 값인 30cm와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중레이다와 충격반향기법을 조합한 본 방법은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 두께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 PDF

콘크리트 지반구조물의 비파괴검사를 위한 충격반향-표면파병행기법 : I. 수치해석적 연구 (IE-SASW Method for Nondestructive Testing of Geotechnical Concrete Structure : I. Numerical Studies)

  • 김동수;서원석;이광명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257-270
    • /
    • 2002
  • 콘크리트 지반구조물의 건전성 평가에 사용되는 충격반향기법에서는 콘크리트의 P파 속도가 부재의 길이 및 결함의 위치를 찾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충격반향기법을 현장에 적용시에는 코어를 채취하거나 정확한 두께를 아는 위치에서 콘크리트의 P파 속도를 구한 후 이를 부재의 대표값으로 사용하여 부재의 두께 및 결함을 탐지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코어를 채취할 수 없고 대형 구조물의 경우 위치에 따라 콘크리트의 P파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면파기법을 이용하여 시험이 수행되는 위치에서 완전 비파괴적으로 P파 속도를 구하여 충격반향기법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제안된 충격반향-표면파 병행기법의 적용성 연구를 위해 먼저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수치해석적 연구의 결과를 본 논문에, 모형부재 제작을 통한 실험연구의 결과를 다음 동반 논문에 소개하고자 한다. 수치해석 연구를 다루는 본 논문에서는, 표면파기법으로부터 P파 속도 추정의 검증을 위해 상용프로그램 ABAQUS를 이용한 슬래브 형태의 구조물의 모델링을 통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와 다른 매질로 이루어진 이질 매질층과 여러 가지 결함 형태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대한 충격반향기법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기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충격반향기법에서의 휨 모드 및 두께 모드의 영향인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n Flexural and Thickness Modes in the Impact-echo Test)

  • 오태근;박종일;변요셉;이영학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659-66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층상박리균열 위에서의 손상탐지에 효율적인 충격반향기법에 대해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영향요소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충격반향기법에서의 균열 가시화를 위해 층상박리균열위의 동적거동 및 두께를 나타내는 휨 모드 및 충격반향모드(두께 모드)에 영향을 끼치는 균열의 폭/두께(a/h) 비, 균열위의 상대적 가진 점, 측정 점의 위치 등의 시험설정 변수 등을 매개변수적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a/h비는 2보다 클 경우 휨 모드가 지배적이었으며 작을 경우 두께 모드가 지배적이었다. 또한 가진 점, 측정 점 중 어느 하나만 균열 위에 존재할 때도 휨 모드가 지배적이었으며 균열 밖의 범위의 건전한 영역에는 가진 점, 측정 점이 모두 위치하여야 두께 모드가 지배적이었다.

충격반향기법의 주파수영역 해석을 이용한 구조물 안전진단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ructural Safety Diagnosis using Frequency Domain Analysis of Impact-Echo Method)

  • 안제훈;서백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4권1호
    • /
    • pp.35-42
    • /
    • 2004
  • 충격반향기법은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결함과 외부 표면 사이에서 반사되어 전락되는 충격생성응력파를 이용한 비파괴적 시험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하여 충격반향기법을 이용한 비파괴 시험을 수행하였다. 야외 시험 조건은, 터널라이닝 모델에 대한 주파수 영역에서, 모델의 두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경우와 모델 내 공동이 있는 경우의 공동의 위치를 파악하는 경우, 그리고 터널라이닝 조건에서의 라이닝 두께 및 공동위치를 파악하는 경우를 시험하였다.

콘크리트 지반구조물의 비파괴검사를 위한 충격반향-표면파 병행기법 : II. 실험적 연구 (IE-SASW Method for Nondestructive Testing of Geotechnical Concrete Structure : II. Experimental Studies)

  • 김동수;서원석;이광명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271-283
    • /
    • 2002
  •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전성 평가에 사용되는 충격반향기법에서는 콘크리트의 P파 속도가 부재의 두께 및 결함의 위치를 찾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의 동반논문인 수치해석편에서 표면파기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부재의 P파 속도를 신뢰성 있게 추정함을 알 수 있었다. 수치해석 연구에 이어서 본 논문에서는 공극, 불량콘크리트 등의 결함이 내재된 콘크리트 모형 슬래브를 제작하여 제안된 충격반향-표면파 병행기법의 실제 구조물에 대한 적용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표면파기법으로부터 구한 부재의 P파 속도는 두께를 알고 있는 부분에서 충격반향기법으로부터 구한 P파 속도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표면파기법으로부터 구한 P파 속도를 적용하여 충격반향기법을 수행한 결과, 여러 결함의 위치를 신뢰성있게 찾아낼 수 있었다. 또한, 실제 지중에 매설되는 관 형태의 지중 구조물과 지중에 매설된 개착식 터널에서 제안된 비파괴검사기법을 수행한 결과, 구조물의 두께를 신뢰성 있게 구하여 실제 지반구조물에서의 현장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반발 경도법 및 충격반향기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압축강도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Using Rebound Method and Impact Echo Method for the Comparison of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Slab)

  • 홍성욱;조영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199-207
    • /
    • 2008
  • 최근 구조물이 노후화되면서 기존 구조물과 시공품질을 관리하는 비파괴검사 평가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압축강도 추정의 중요성이 건설업계에서 또한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고, 시공관리와 품질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비교하기 위한 비파괴 검사법 중 슈미트해머 시험과 충격반향기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슈미트해머에 의한 반발경도 값과 충격반향기법 실험결과와의 관계를 알아내는데 초점을 두었으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반발경도 값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