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충격 감지

Search Result 7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과학리포트 - 눈앞에 다가선 미래형 자동차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9 no.6 s.325
    • /
    • pp.18-19
    • /
    • 1996
  • 각종 기능을 갖춘 센서와 컴퓨터로 자동항법장치를 한 미래의 자동차가 눈 앞에 다가오고 있다. 단단하고 충격을 줄여주는 특수 플라스틱, 밤에 운전시야를 넓혀주는 적외선 감지장치, 자동으로 펑크를 때워주는 로열티 타이어, 고온에 견디는 세라믹 엔진, 수소를 연료로 하는 공해없는 자동차 등의 개발이 한창 진행중이다.

  • PDF

Advanced Health Care Cycle Based on Sensor Network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개선된 헬스케어 싸이클)

  • Lim, Hee-Sung;Koo, Ja-Myoung;Mun, Chang-Min;Kim, Ji-Eun;Lee, Ka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491-494
    • /
    • 2008
  • 최근 유비쿼터스의 활용이 확장되고 있다. 헬스분야에도 예외는 아니다. 기존의 헬스 싸이클은 단지 고정된 싸이클에 현재 자신의 속도와 맥박 등의 일반적인 정보만 제공하기 때문에 장시간이나 장기간의 운동을 하기에는 시간이 지날수록 흥미도가 떨어지고, 자신에 맞는 운동을 하기도 어렵다. 본 논문에서 논의하는 헬스 싸이클은 센서 네트워크와 DB를 접목한 상증 인식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이 현재 상태와 운동 진행 상태를 분석한 맞춤 운동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부착된 체온센서와 심전도센서를 통해서 자신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게 된다. 센싱된 신호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센서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모든 신호들은 싱크노드에 집중되게 된다. 이 신호들과 DB에 기록된 사용자의 과거 운동기록을 활용하여 현재 운동중인 사용자의 신체적인 상태를 체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인식을 통해서 운동자에게 위험한 요소를 제거하거나 효과적인 운동이 가능하도록 자동으로 제어해주는 것이 이 헬스싸이클의 특징이다. 또한 여기에 충격감지 센서, 유압펌프제어, Python을 이용한 3D 게임엔진을 더하여 운동시에 가상현실적인 상황을 만들고자 하였으며 장시간의 운동에도 흥미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도 상기 헬스싸이클의 특징이다.

  • PDF

A Study on Smart Warning Triangle (스마트 안전 삼각대에 관한 연구)

  • Kim, Tae-Kook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4 no.1
    • /
    • pp.37-41
    • /
    • 2018
  • This paper examines smart warning triangles to prevent secondary accidents on roads. After a traffic accident on the road, a safety tripod must be installed to notify the accident. However, it can cause secondary accidents during warning triangle installation. To solve this problem, a smart warning triangle was proposed and implemented. A smart warning triangle acts as a triangle through a logo light projector when it detects an impact. Arduino functions as an impact detector and a logo light projector. The proposed smart safety tripod is expected to help prevent secondary accidents by acting as a safety tripod if the brightness of illumination is complemented.

Intrusion Sensor Using Fiber-Optic Mach-Zehnder Interferometer (광섬유 마하젠더 간섭계를 이용한 침입자 감지 센서)

  • Park, Hyoung-Jun;Song, Mi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26 no.4
    • /
    • pp.255-259
    • /
    • 2006
  • For the intruder detection, a buried fiber-optic sensor based on fiber-optic Mach-Zehnder interferometer is demonstrated. We buried the sensor arm in a styrene board and exerted pressure on it. The pressure-induced deformation speed has almost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output frequencies of the interference signals, and about 4.25 Hz frequency change per 0.01m/s was obtained. Also it has been shown that the amplitude of frequency component increases according to the weight of mass.

Real-time impact location monitoring using the stabilized Bragg grating sensor system (안정화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 충격위치검출에 관한 연구)

  • Bang, Hyung-Joon;Hong, Chang-Sun;Kim, Chun-G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2 no.7
    • /
    • pp.37-42
    • /
    • 2004
  • In order to monitor the impact locations in smart structures, multipoint ultrasonic sensors are to be employed. In this study, a multiplexing demodulator with wide dynamic range was proposed to detect the impact locations using FBG sensors, and a stabilization controlling system was also developed for the maintenance of maximum sensitivity of sensors. Two FBG sensors were attached on the bottom side of the aluminum beam specimen and low velocity impact tests were performed to detect the one-dimensional impact locations. As a result, multiplexed in-line FBG sensors could detect the moment of impact precisely, and found the impact locations with the average location error below 0.58mm.

Study on the Damage Characteristics Under the High-Velocity Impact of Composite Laminates Using Various Sensor Signals (다양한 센서 신호를 이용한 복합적층판의 고속충격 손상 특성 연구)

  • Cho, Sang-Gyu;Kim, In-Gul;Lee, Seok-Je;You, Won-Young
    • Composites Research
    • /
    • v.24 no.6
    • /
    • pp.49-55
    • /
    • 2011
  • The use of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in main structures of military and civil aircraft has been increased rapidly because of their considerable metals in high specific strength and stiffness. However,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omposite materials may severely degrade in the presence of damage. Especially, the high-velocity impact such as a hailstorm, and a small piece of tire or stone during high taxing, can cause considerable damage to the structures and sub-system in spite of a very small mass. However, it is not easy to detect the damage in composite plates using a single sensor or any conventional methods. In this paper, the PVDF sensors and AE sensors were used for monitoring high-velocity impact damage initiation and propagation in composite laminates. The WT(wavelet transform) is used to decompose the sensor signals. In the PVDF sensor and AE sensor signal analysis, amounts of high-frequency signals are increased when the impact energy is increased. PVDF sensor and AE sensor signal appeared similar results. This study shows how various sensing techniques can be used to characterize high-velocity impact damage of advanced composite laminates.

A Study on Measurement of Penetration Depth of Steel Pipe Using the Impact-Echo Method (충격탄성파법에 의한 강관구조물 근입깊이 측정에 관한 연구)

  • Lee, Sang Hun;Kumagai, Takayuki;Endo, Takao;Han, Youn Hee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89-89
    • /
    • 2011
  • 도로의 가드레일 지주 근입깊이의 부족에 의한 자동차의 전락사고 이 후, 일본의 국토교통성 등의 관계자들이 그 대책 세우기에 부심해 왔으나, 기설 지주의 근입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으며, 현재로서는 작업의 전 과정을 비디오로 촬영하여 그 기록을 남기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그것은 상당히 비효율적인 작업으로 엄밀한 감시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으며, 감독자와 시공자의 양자로부터 계측 도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일부의 초음파 측정기 업자가 가드레일 지주의 근입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시장에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그 측정시스템의 측정여부와 성능의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까지 충격탄성파법 또는 초음파법을 이용하여, 매설된 가드레일 지주의 근입깊이를 측정한 성공사례가 정식으로 보고된 바는 없으며, 같은 강관주인 눈사태 방지책의 지주 파이프에 대한 근입깊이의 측정은 본 연구그룹의 의해 행하여진 바가 있다. 검사봉이나 해머 등으로 대상물을 두드려서 탄성파를 발생시키고, 그것을 가속도계 또는 속도계의 진동센서로 감지하여 그 파형을 분석함으로써 대상물의 치수 등을 측정하는 충격탄성파법은, 특히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공동 및 매설물 등의 탐사, 균열깊이의 측정 등에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측정방법을 가드레일의 지주의 근입깊이 측정에 적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방법, 즉 진동센서를 대상물의 상단부(캡)에 설치하는 방법으로는 접합부에 의한 탄성파의 손실과 캡의 휨 진동에 의한 노이즈 등을 해결하기가 곤란해진다. 또한 지반의 존재로 인한 진동 모드의 변화와 진동에너지의 감소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된다. 본 연구는 충격탄성파법을 이용하여 지반에 설치된 눈사태 방지책이나 가드레일의 지주와 같은 강관 구조물의 근입깊이를 측정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진동센서를 캡이 아닌 측면부에 취부장치를 이용하여 설치함으로써 길이방향의 탄성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실제 구조물에 대해 측정을 실시하여 그 측정시스템의 성능과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길이의 실험용 강관 파이프를 매설하고 측정실험을 실시하여 측정시스템의 적용성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신센서를 파이프의 측면에 선접촉하게 함으로서 종파를 감지하여 근입깊이를 포함한 파이프의 전 길이를 측정하는 본 측정시스템은 매설된 강관 구조물의 길이 측정에 기본적으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오거 굴착으로 시공된 경우에는 높은 정도의 측정성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항타관입 파이프에 대해서는 지반의 영향을 고려함으로써 길이의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오거 굴착 또는 항타 관입 등 시공방법에 따라 측정결과에 대한 지반의 영향 정도가 달라지며 파형 분석 및 길이 산정시 그 영향을 고려하여야 함을 확인하였다.

  • PDF

Research of detect of the object in stainless pipe using the magnetic inductance (자기인덕턴스를 이용한 Stainless Steel 배관 내 이물질 검사에 대한 연구)

  • Joo, Gun-June;Park, Gwan-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4b
    • /
    • pp.179-181
    • /
    • 2006
  • 각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정밀성, 안전성을 확인하는 검사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LPMS(Loose Part Monitoring System)을 사용하여 사고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여 이에 대한 예방조치를 가능케 함으로써 설계기준 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 기술은 신호 측정 및 분석 등의 기반기술 개발을 통하여 건전성 감시 기술의 신뢰성을 향상 시키고 있다. LPMS(Loose Part Monitoring System)기술은 재료, 기기, 구조물 등의 성질과 내부조직을 변화시키거나 파괴하지 않고, 배관내부에 흐르는 금속 파편들을 찾아내어 정밀성, 안전성,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검사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배관내의 이물질의 충격이 발생해야 감지가 가능하고, 이물질의 모양이나 사이즈를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배관외부에서 자기장을 인가하여, 배관내의 이물질에 변화하는 자기장을 홀센서로 측정하여 기존의 LPMS 방식을 보완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배관에 필요한 자기장 발생장치를 설계하고, 이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감도향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avelet Decomposed Details of Low-Velocity Impact Induced AE Signals in Composite Laminaes (저속충격에 의해 발생한 복합적층판 음향방출신호의 웨이블릿 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

  • Bang, Hyung-Joon;Kim, Chun-G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29 no.4
    • /
    • pp.308-315
    • /
    • 2009
  • Because the attenuation of AE signal in composite materials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metallic materials, it is required to develop a damage assessment technique less affected by the attenuation property of composite materials in order to use AE sensing as a damage detection method. In the signal processing procedure, it is profitable to use the leading wave that arrives first because the leading wave is less influenced by the boundary conditions. Using wavelet transform,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impact induced AE signals focused on the leading wave in advance and chose the key factors to discriminate the damaged condition quantitatively. In this research, we established a damage assessment technique using the sharing percentage of the wavelet detail components of AE signal, and conducted a low-velocity impact test on composite laminates to confirm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ignal process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