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출현시기

Search Result 75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nalysis of Singer's Image Using User Recommended Song Data (이용자 추천정보를 기반으로 한 가수 이미지 분석)

  • Choi, S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4.08a
    • /
    • pp.7-10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음원 서비스의 이용자들이 공개앨범에서 추천한 음원 리스트에 특성가수와 동시출현한 곡들의 정보를 분석하여 특성가수의 이미지를 네트워크 기법으로 표현하였고 동시출현한 곡의 통계분석을 통하여 해당 가수를 선택한 이용자가 선호할 만한 연관 곡을 추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추천되는 음원리스트에 동시 출현되는 가수들의 장르적 특성으로 특정가수의 이미지가 표현되었고 시기별로 가수의 이미지가 변화되는 것이 추적되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은 이용자에게 변화하는 가수의 이미지에 따라 연관 정보를 유연하게 추천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A Calculation Method of in vivo Energy Consumption in Estimation of Harvesting Date for High Potato Solids (고 고형분함량 감자의 수확시기 예측모형을 위한 식물체내 에너지 소모량 추정)

  • Jung, Jae-Youn;Suh, Sang-Gon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5 no.4
    • /
    • pp.284-291
    • /
    • 2010
  • A simulation modeling for predicting the harvesting date with high potato solids consists of development of mathematical models. The mathematical model on potato growth and its development should be obtained by using agricultural elements which analyze relations of solar radiation quantity, temperature, photon quantity, carbon dioxide exchange rate, water stress and loss, relative humidity, light intensity, and wind etc. But more reliable way to predict harvesting date against climatic change employs in vivo energy consumption for growth and induction shape in a slight environmental adaptation. Therefore, to calculate in vivo energy loss, we take a concept of estimate of the amount of basal metabolism in each tuber on the basis of $Wm={\int}^m_tf(x)dt$ and $Tp=\frac{Tm{\cdot}Wm^{Tp}}{Wm^{Tm}}$. In the validation experiments, results of measuring solid accumulation of potato harvested at simulated date agreed fairly well with the actual measured values in each regional field during the growth period of 2005-2009. The calculation method could be used to predict an appropriate harvesting date for a production of high potato solids according to weather conditions.

Shoot yield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Pteridium spp. according to the dickness of sowed seed root (준고랭지에서 아피오스의 적정 파종시기)

  • Moon, Jung-Seob;Ahn, Song-Hee;Yang, Jin-Ho;Kim, Dong-W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83-83
    • /
    • 2019
  • 아피오스(Apios americana Medikus)는 콩과에 속하는 덩굴성 식물로 원산지는 북미대륙 중동부로 알려져 있으며 지하부의 뿌리가 변형된 괴근 부위를 식용으로 하고 있다. 아피오스의 괴근은 건물당 단백질 함량이 16.5%로 감자에 비해 3배 가량 높고 지방산 함량은 4.2~4.6% 범위로 Linoleic acid가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감자에 비해 칼슘 함량이 10배 가량 높고 철분함량은 2배 가량 높아 기능성 건강식품으로 유망시되고 있다. 아피오스는 일교차가 큰 준고랭지역에서도 재배가능성이 높지만 최근의 기후변화에 따라 파종기의 저온피해 등으로 안정적인 입모율의 확보가 문제시 되고 있다. 준고랭지 지역에서 아피오스의 파종시기별 출현양상 및 수량성을 구명하기 위해 표고 500m의 허브산채시험장 포장에서 2018년 4월 25일, 5월 9일, 5월 16일, 5월 28일 4회 걸쳐 흑색비닐을 피복한 1줄 재배양식으로 아피오스 괴근을 파종하였다. 파종 후 30일, 50일간의 누적 출현율은 5월 18일 파종이 파종 30일 후 52.5%를 보였으며 같은 기간 동안의 유효적산온도는 $276.9^{\circ}C$ 범위였고, 5월 30일 파종에서 파종 후 30일간의 누적 출현율은 80.4%롤 보였으며 유효적산 온도는 $329.2^{\circ}C$를 나타냈다. 파종시기별 유효적산온도와 누적 출현율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식은 $y=0.1155{\times}1.0415$의 지수함수로 표현할 수 있었으며, 준고랭지(남원시 운봉읍)에서 2007~2017년까지의 10년간 평균기온을 기준으로 관계식을 적용한 결과 평년 기준 5월 18일 파종하는 경우 50일간 유효적산온도는 $390.5^{\circ}C$를 보였고 출현율은 55.6%가 기대되었으며 6월 11일에는 $601.5^{\circ}C$의 적산온도로 85.3%의 출현이 예상되었다. 파종시기별 총 괴근수는 5월 30일 파종에서 17.5개/주로 유의하게 적었으며 상품 괴근중 및 상품률도 유의하게 적은 경향이었고, 출현율을 고려한 단위면적당 상품 괴근수량은 5월 18일 파종에서 602.5㎏/10a로 가장 높았고 4월 25일 파종에서 348.6㎏/10a로 가장 낮아 준고랭지 아피오스 재배에서 적정 파종시기는 5월 중순으로 판단되었다.

  • PDF

고등급 출현율을 높이기 위한 육성돈 사양관리(하)

  • Choe, Jin-Seong
    • Feed Journal
    • /
    • v.2 no.6
    • /
    • pp.98-101
    • /
    • 2004
  • 이 시기에는 돼지의 골격이 발달하는 시기이므로 고단백, 고에너지 사료인 젖먹이 및 육성돈 사료를 무제한 급여할 것이며, 육성초기인 포유기에는 고형사료에 대한 소화흡수 능력이 부족하므로 이에 알맞는 효성활성제가 포함된 고농축 사료를 급여해야한다. (중략)

  • PDF

절토비탈면의 식물상과 천이양상

  • Choe, Cheol-Man;Lee, Jeong-Hun;Jang, Hyeon-Do;Mun, Seong-Gi;Kim, Min-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73-176
    • /
    • 2008
  • 출현한 식물은 총 61과 156종으로 조사되었는데 조사지점의 생육환경으로 볼 때, 출현 종수가 반드시 절토비탈면의 생성년수와 사면면적에 비례하여 출현하는 것만은 아니었다. 가장 출현빈도가 높은 분류군은 국화과로 14.7%이었고, 벼과 8.3%, 콩과 7.1%, 장미과 5.8% 순이었다. 각 조사지점별 우점종은 생성시기가 비교적 짧은 지점에서는 호밀풀, 바랭이 등의 사초과 식물들, 15년 이상의 표토층으로 된 지점에서는 사방오리나무, 아까시나무와 같은 목본류, 암반층으로 된 지점은 칡, 계요등, 송악 등의 덩굴성 식물들이었다. 귀화식물은 모두 13종이 출현하였고, 이에 의한 도시화지수는 4.8%로 환경변화가 비교적 적은 곳으로 조사되었다. Raunkiaer의 생활형으로 분류하면, 목본류 64종(47.5%), 지중식물 43종(27.6%), 1년생 식물 30종(19.2%), 반지중식물 7종(4.5%), 지표식물 2종(1.3%) 순으로 조사되어 식생의 천이가 안정화되어 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Potentially toxic Pseudo-nitzschia species in Tongyeong coastal waters, Korea (통영 연안의 잠재독성 Pseudo-nitzschia 출현종)

  • Park, Jong-Gyu;Kim, Eung-Kwon;Lim, Weol-Ae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4 no.3
    • /
    • pp.163-170
    • /
    • 2009
  • Several species of the genus Pseudo-nitzschia produce the neurotoxin domoic acid (DA) known to be responsible for amnesic shellfish poisoning. In spite of the potentially toxic effects on marine ecosystem, even the representative Pseudo-nitzschia species occurring in Korean coastal waters have not been clearly reported. Plankton samples from several outer coastal sites of Tongyeong were collected fortnightly from May to November 2008 and the presence of diatoms of the genus Pseudo-nitzschia was examined using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irteen species were observed, including P. americana, P. brasiliana, P. caciantha, P. calliantha, P. cuspidata, P. delicatissima, P. micropora, P. multiseries, P. multistriata, P. pseudodelicatissima, P. pungens, P. subfraudulenta, and P. subpacifica. The number of Pseudo-nitzschia species observed were only four in May, which was minimum during this survey,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attaining maximum, twelve, in September. After September it began to decrease again and got to five in November. Of these, P. americana, P. brasiliana, P. caciantha, P. calliantha, P. micropora, and P, pseudodelicatissima are new records for the Korean coastal waters and P. calliantha, P. cuspidata, P. delicatissima, P multiseries, P. multistriata, and P. pungens have been reported as DA producers around the world, but the potential toxicity of these species was not ascertained in Tongyeong area.

Functional Package Wild Vegetables Combination and Production Model Productivity Test (기능성 꾸러미 산채류 조합 선발 및 생산모델 생산성 검정)

  • Gue-Saeng Yeom;Jung-Seob Moon;Song-Hee Ahn;Se-Hyun Ki;Dong 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71-71
    • /
    • 2020
  • 산채는 사람에 의하여 개량 육성되어 논밭에서 재배하고 있는 농작물과 달리 자연 그대로 산야에서 자생하는 식물 중 식용으로 가능한 것을 말한다. 산채류의 이용형태별 생산가능시기는 3~5월의 생채 생산과 6~7월의 건채 생산으로 소비자의 기호에 부합하는 신선 생채의 소비한계는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재배유형별 생채 수량검정을 통해 수확시기 연장 및 재배품목을 다양화 시킬 필요 있다. 따라서 본 시험은 재배가능한 산채류를 수집하고 기능성 분류를 통한 꾸러미 산채 조합을 구성하였고 조합된 산채류 들에 대한 생산성 검정을 위해 해발 500m의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5월 말 갯기름나물 등 15 종을 정식하여 각 작물의 생육특성, 수확한계기 등을 조사하였다. 기능성 분류 결과 항당뇨, 항고지혈증, 항비만, 항혈전, 항염증 총 5가지 조합을 구성하였다. 산채류별 광합성특성 조사결과 돌단풍, 개미취, 섬쑥부쟁이, 질경이, 갯기름나물, 참취의 적정광량은 600~800 μmole/m2/s이였고 눈개승마, 어수리, 참당귀는 400~500 μmole/m2/s, 곤달비, 곰취, 단풍취는 200~300 μmole/m2/s이였다. 기능성 꾸러미 산채류 지상부 생육특성 결과 갯기름나물, 질경이, 참취, 곤달비 섬쑥부쟁이 등이 생육이 우수하였다. 수량성은 섬쑥부쟁이 1,694.6kg/10a로 가장 높았으며, 갯기름나물 1,673.4kg/10a, 참취 1,521.3kg/10a, 질경이 1,398.3kg/10a, 곤달비 1,300.6kg/10a 등이 높았다. 반면 돌단풍 111.8kg/10a, 단풍취 69.5kg/10a, 우산나물 25.4kg/10a로 아주 낮은 수량성을 보였다. 산채류 출현기는 산마늘이 2월 7일로 가장 빨랐으며 대부분 산채류들이 2월 11일에서 2월 25일에 출현하였고 단풍취, 우산나물이 3월 6일로 늦은 출현기를 보였다. 기능성 꾸러미 생채 수확가능 시기는 3월 상순부터 6월 하순까지 가능하였고 수확기간은 섬쑥부쟁이 117일, 두메부추 109일, 어수리 102일, 참당귀 102일로 길었고 돌단풍, 산마늘, 눈개승마, 우산나물은 생채 수확가능 시기가 짧았다. 건나물 수확기간은 돌단풍, 눈개승마는 3월부터 6월까지 가능하였고, 대부분의 산채류들이 5월부터 10월까지고 산마늘과 우산나물은 건나물을 생산할 수 없었다. 산채류 기능성 꾸러미별 생채 조합 가능 시기는 항당뇨는 3월 중하순, 항고지혈증은 3월 중순, 항비만은 3월 하순, 항혈전 3월 하순, 항염증은 3월 중하순으로 조사되었다.

  • PDF

The Study on the Lowest Limit Time of the Tending of R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for the Control of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솔수염하늘소 제어를 위한 소나무림 숲가꾸기의 하한(下限)시기 구명)

  • Jeon, Kwon-Seok;Park, Nam-Chang;Yoon, Hee-Tak;Hong, Sung-Ch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0 no.3
    • /
    • pp.352-358
    • /
    • 2011
  • Field Cage plots ($1m{\times}1m{\times}1m$) were established (7 units) to find the lowest limit time about the tending of red pine forest (Pinus densiflora) which can no longer be used as a habitat by Monochamus alternatus, vector insect of pine wilt disease at the experimental forest of the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of th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n February in 2010. Thinning slashes (length, 1 m; diameter, 5~10 cm) tended at the different times were put in cages, and 4~6 couples of adult M. alternatus were put into each the cage in June. Presence or absence the larval entrance holes and larval were determined in November in 2010. Incase of the combination 24, 18, 12 and 6-month-old thinning slashes from thinning times to the time of adult emergence inside a single cage, larval entrance holes were found in the 6-month-old and 12-month-old thinning slashes but larvae were found only in the 6-month-old thinning slashes (treatment 1). In case of the combination 24, 18, 15 and 12-month-old thinning slashes inside a single cage, larval entrance holes were found in the 15-month-old and 12-month-old thinning slashes but larvae were found only in the 12-month-old (treatment 2). When 24, 18, 15, 12 and 6-month-old thinning slashes with treated dry and humid condition were put separately inside each cage, larval entrance holes were found in the 18, 15, 12, 6-month-old thinning slashes without the relation of the dry and humid conditions. But larvae were found in the 15, 12, 6-month-old thinning slashes in the dry conditions and only in the 6-month-old thinning slashes in the humid conditions. Results indicated the lowest limit time which can no longer be used as a habitat by M. alternatus is before 24 month from the time of adult emergence.

Impact of Germination and Initial Growth of Deciduous Six Oak Species under Climate Change Environment Condition (기후변화 환경에서의 낙엽성 참나무 6종의 발아와 초기 생장)

  • Jeong, Heon Mo;Kim, Hae Ran;You, Young Ha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4 no.4
    • /
    • pp.334-345
    • /
    • 2021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global warming on germination and initial growth across six deciduous oak species (Quercus mongolica, Q. variabilis, Q. serrata, Q. dentata, Q. aliena, and Q. acutissima), which are the dominant tree species in Korea forest ecosystems. Seeds were sown in climate change treatments, with temperature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pproximately 3.0℃ higher), and CO2 concentration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pproximately 2-fold higher). Initial growth in each species was measured every two weeks. Initial growth was more rapid in all oak species at the time of root and shoot emergence under high temperature and CO2 treatments than in the control group. Leaf emergence in Q. mongolica, Q. variabilis, and Q. serrata occurred earlier under the climate change treatments than under the control. Root length increased significantly in Q. mongolica, Q. variabilis, and Q. dentata under the climate change treatments when compared to under the control. However, Q. aliena and Q. serrata exhibited a contrasting trend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species and Q. acutissima. Shoot length increased significantly in Q. aliena under climate change treatments when compared to under the control but decreased in Q. aliena. In addi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hoot length among Q. mongolica, Q. dentata, and Q. acutissima. The results showed that climate change treatments facilitated early growth, rapid emergence from the ground, leaf development, and enhanced belowground growth in Q. mongolica. Conversely, Q. aliena exhibited the lowest aboveground and belowground growth under climate change treatments when compared to other oak species. Climate change treatments had the least impact on Q. acutissima considering the in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in initial growth rates under climate change treatment.

The Calendar Date of Pottery with Ring-Rim -Appearance Date of the Slim Bronze Dagger Culture and Ironware- (점토대토기의 실연대 -세형동검문화의 성립과 철기의 출현연대-)

  • Lee, Chang Hee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3 no.3
    • /
    • pp.48-101
    • /
    • 2010
  • This paper estimated the calendar date of pottery with ring-rim(粘土帶土器) with the radiocarbon dating. This was based on archaeological facts with comparing line relations and radiocarbon dates of Yayoi pottery(彌生土器). As a result, I understood that pottery with circle ring-rim(圓形粘土帶土器) appeared in BC 6c, pottery with triangle ringrim(三角形粘土帶土器) appeared at the time in BC 300 . Based on the calendar date and aspect of ironware and pottery in grave, I kept in BC 4c with appearance date of ironware. And I kept in BC 5c with appearance date of the slim bronze dagger culture. Korea and Japan common chronological order were built for the first time based on radiocarbon dates, line relations of pottery with ring-rim and Yayoi pottery. This is the calendar date to date back approximately 100~300 years from the existing the calendar date. Current periodization does not match in the calendar date when I built it newly. Therefore I suggested it as follows. Early iron age is from the first~middle part BC 4c to BC 100. And the latter half of Bronze age is from BC 6c to the front appearance of ironware. Then Songguk-ri type(松菊里式) becomes staudard type of pottery in the middle stage of Bronze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