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출력불균일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Converter Design for a Photovoltaic-Powered Bag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컨버터를 적용한 PV 충전 가방)

  • Lee, Hyunji;Kim, Katherine 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175-176
    • /
    • 2016
  • 기존의 태양광 시스템은 대체로 고정된 형태로 사용되었지만 태양광 시스템의 응용분야가 확장됨에 따라 전기자동차, 웨어러블 기기 등의 이동식 태양광 시스템 또한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동식 태양광 시스템의 경우 불균일한 태양빛에 많이 노출되며, 이러한 불균일한 태양빛은 극심한 시스템 효율 저하를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스템 효율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DPP) 컨버터를 병렬로 적용한 photovoltaic (PV) 충전 가방을 제시하였다. DPP 컨버터는 PV 충전 가방이 불균일한 태양빛에 노출되어도, 각각의 태양전지가 고유의 최대 전력점에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PV 충전 가방은 4개의 태양전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분한 태양빛 아래, 5 W의 출력전력을 가질 수 있다. PV 충전 가방은 하나의 front-end 컨버터와 4개의 DPP 컨버로 구성되었으며, P-SIM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front-end 컨버터와 DPP 컨버터의 정상 작동을 입증하였다. 또한 동일한 태양빛에 노출된 경우, 기존의 연결 방법 중 하나인 병렬 배열은 1.49 W의 출력 전력을 가진 반면, DPP 시스템은 4.35 W의 출력 전력을 가져 약 3배 높은 출력 전력을 확인하였다.

  • PDF

Nonuniformity Correction Algorithm of Infrared Images Considering Readout Circuit Architecture (Readout 회로의 구조를 반영한 적외선 영상의 불균일 보정기법)

  • Choi, Eun-Cheol;Kang, Moon-G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429-430
    • /
    • 2007
  • FPA (Focal Plane Arrary)를 이용한 적외선 영상 획득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주요 잡음 중 하나는 영상에 존재하는 공간적 고정 패턴 잡음(SFPN, Spatial Fixed Pattern Noise)이다. 이것이 발생하는 주된 요인은 배열을 이루고 있는 각 검출기들과, FPA 출력단에 있는 증폭기의 입출력 응답이 균일하지 않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응답특성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교정기반 불균일 보정 방법(CBNUC, Calibration Based Nonuniformity Correction)과 장면기반 불균일 보정방법(SBNUC, Scene Based Nonuniformity Correction)이 사용된다. 본 논문은 CBNUC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FPA 출력단 회로에 구성된 복수의 증폭기에 존재하는 이득의 차이 및 잡음에 의한 불균일을 보정하기 위한 보간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기법이 CBNUC 기반 적외선 영상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규칙적인 패턴의 SFPN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안한 기법은 CBNUC 기반 적외선 영상 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수행해야하는 단일점보정 (OPC, One Point Correction)의 수행횟수를 줄이고, 연산량도 적어 실시간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다.

  • PDF

태양전지 모듈에서 태양전지 위치에 따른 온도 변화 분석

  • Choe, Ju-Ho;Jeong, Tae-Hui;Ju, Yeong-Cheol;Gang, Gi-Hwan;Jang, Hy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423.2-423.2
    • /
    • 2016
  • 태양전지 모듈은 다층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신뢰성과 출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이를 위해서 모듈에 사용되는 전면 유리는 AR 코팅과 투과도가 좋은 저철분강화유리를 사용하고, 후면에는 반사도가 높은 Backsheet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의 제작 조건 중 하나는 비슷한 출력을 갖는 태양전지를 사용하는 것이다. 만약 태양전지의 출력 불균일이 발생하게 되면 모듈 전체 출력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출력이 낮은 태양전지가 주변 태양전지보다 높은 온도를 나타낸다. 태양전지 모듈에서 온도 편차가 발생한다는 것은 전지의 출력 불균일이 발생한다고 예상할 수 있는 지표이다. 따라서 태양전지 모듈의 후면에 온도 센서를 부착하여 모니터링하였으며, 태양전지 위치에 따라서 약 $3^{\circ}C$의 온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Scene-based non-uniformity correction for thermal imaging system using microscanning effect (미세주사효과를 이용한 배경기반 열영상 불균일 보정 기법)

  • Song, In-Seob;Ra, Sung-Woo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37 no.3
    • /
    • pp.11-16
    • /
    • 2000
  • In this paper, a real-time implementation of scene-based non-uniformity correction by digital technique is proposed for microscan-mode staring infrared cameras. Most scene-based non-uniformity correction algorithms, without sensor motion, can not be applied to stationary scenes because of image blurring and fading. Using microscanning effect, coupled with a modified version of Scribner's algorithm, the proposed technique can correct the artifacts and non-uniformities in real time Computer simulations and hardware experiments demonstrate substantial Improvement of image qualities in stationary as well as moving scenes.

  • PDF

Speed Control of BLDC Motor without Speed Sensor (속도센서 없는 BLDC 모터의 속도 제어)

  • 강태삼;최치영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0.10a
    • /
    • pp.104-108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BLDC 모터에서 속도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홀센서의 출력만을 이용하여 속도 제어를 수행하였다. 모터는 100W급을 이용하였으며, 부하는 팬을 이용하였다. 속도 계측은 BLDC 모터에 불어 있는 3개의 홀센서 출력을 이용하였다. 홀센서 간에 간격이 불균일하므로 3개의 홀 센서를 구분하여 각각이 한 바퀴 회전하는데 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속도를 측정하였다. ARMAX 모델에 기초하여 전체 시스템의 파라미터를 구하였다. 구해진 파라미터에 PID 제어기를 구성하여 속도 제어를 수행하였다. 속도 제어 결과 0.1% 오차 미만으로 속도가 원활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rmal Effect on Laser-Diode Side-Pumped Nd:YAG Laser (반도체 레이저 측면 여기 Nd:YAG 매질에서의 열영향)

  • 양동옥;김병태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110-111
    • /
    • 2000
  • 여기 파워는 고체 레이저 매질 내부에 열을 발생시킨다. 매질 내부에서 발생한 열은 매질 표면을 따라 냉각이 진행되어 매질 내부에서는 불균일한 온도분포가 발생하게 된다. 레이저 매질의 굴절율은 온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열복굴절 현상과 열렌즈 현상이 일어나 레이저 출력의 손실, 빔질의 저하를 유발하고 열적 스트레스는 매질의 손상 및 모드 동기된 극초단 펄스가 넓어지는 등의 문제를 초래한다. 선형 편광 광선을 이용하는 고체 레이저에서 열복굴절에 의해 레이저 출력이 약 30 %까지 감소하므로 레이저 공진기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정량적인 열영향의 해석이 필요하다. 열복굴절에 의해 발생한 손실량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중략)

  • PDF

중위도 고층대기/전리층 불균일 현상 연구를 위한 VHF 간섭 산란 레이더 설치 및 초기 관측 결과 소개

  • Yang, Tae-Yong;Gwak, Yeong-Sil;Hwang, Jeong-A;Lee, Jae-Jin;Choe, Seong-Hwan;Choe, Ho-Seong;Jo, Gyeong-Seok;Park, Yeong-Deuk;Kim, Yeon-Han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0.04a
    • /
    • pp.30.1-30.1
    • /
    • 2010
  • 한국천문연구원은 우주환경예보센터(Korean Space Weather Prediction Center)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고층대기/전리층의 불균일 현상을 관측할 수 있는 VHF 간섭 산란 레이더를 대한민국 공군과 협의를 통해 충남 계룡 ($36.18^{\circ}N$, $127.14^{\circ}E$)에 설치하였다. 이 레이더는 2007년 '우주환경예보를 위한 중 저위도 고층대기 관측시스템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를 통해 선정되어 2009년 설치가 완료되었으며 12월 말부터 정상 관측을 수행하고 있다. 5 소자의 총 24기의 안테나가 $12\times2$의 배열을 이루어 최대 출력 24kW, 단일 주파수 40.8MHz로 전리층 E층과 F층을 관측하여 중위도 고층대기의 불균일 현상을 관측하고 있다. 앞으로 천문연구원의 전천카메라, 자력계, 신틸레이션 모니터와 더불어 중위도 지역의 고층대기와 우주환경예보에 대해 지속적인 관찰 및 연구가 가능하다. 이 발표에서는 우리나라의 첫 고층대기/전리층 관측 VHF 레이더의 설치 과정과 현재까지 계룡 관측소에서 관측한 중위도 전리층의 레이더 초기 관측 자료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Hybrid PCS using Energy Storage System for Grid Stabilization. (에너지 저장장치 내장형 하이브리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계통안정화연구)

  • Lee, Seong Su;Kim, Hyung Jun;Han, Gi Jun;Cho, Dustin;Seo, Gwang De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07a
    • /
    • pp.503-50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실증기능 구현을 위해 75KW로 설계된 리튬-폴리머배터리(Lithium Polymer Battery 이하 배터리)와 ESS(Energy Storage System) 내장형 Hybrid-PCS(이하 PCS)을 이용하여 불균일한 풍력 발전원에 대한 Smoothing 제어 및 정출력 제어 대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잦은 전류 변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출력 변동의 안정화를 위해 인버터 전류제어, 벅/부스트 전압제어 기법을 사용하였다. 최적의 Smoothing 제어를 위한 필터 계수 값을 찾기 위한 시험을 진행 하였으며 Energy shift을 위한 정출력 시험도 진행 하였다. 또한 각 제어 모드에서 ESS 중요 파라미터인 SOC(State Of Charge 이하 SOC)변화를 배터리 특성과 관련하여 분석해 보았다.

  • PDF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a diode side-pumped, high power Nd:YAG laser (다이오드 측면여기 고출력 Nd:YAG 레이저의 발진특성)

  • 문희종;이성만;김현수;고도경;차병헌;이종훈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1 no.6
    • /
    • pp.434-440
    • /
    • 2000
  • We fabricated a high power Nd:YAG laser pumped by a 1 kW diode laser with a Lambertian-type diffusive reflector. Maximum cw power of 500 W with a slope efficiency of 49%, which corresponds to an optical efficiency of 46.7%, was obtained from a short linear resonator when a 5 mm rod was used. The efficiencies decreased when a 6 mm rod was used, due to the poor quality of the absorption distribution in the rod. The measured beam quality factor of 70, which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value calculated from the measured thermal focal lengths, shows that the absorption distribution in the rod is fairly uniform. iform.

  • PDF

Analysis of Power Variation and Design Optimization of a-Si PV Modules Considering Shading Effect (음영효과를 고려한 a-Si PV모듈의 출력 변화 및 최적 설계조건에 관한 연구)

  • Shin, Jun-Oh;Jung, Tae-Hee;Kim, Tae-Bum;Kang, Ki-Hwan;Ahn, Hyung-Keun;Han, Deu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30 no.6
    • /
    • pp.102-107
    • /
    • 2010
  • a-Si solar cell has relatively dominant drift current when compared with crystalline solar cell due to the high internal electric field. Such drift current make an impact on the PV module in the local shading. In this paper, the a-Si PV module output characteristics of shading effects was approached in terms of process condition, because of the different deposition layer of thin film lead to rising the resistance. We suggested design condition to ensure the long-term durability of the module with regard to the degradation factors such as hot spot by analyzing the module specification. The result shows a remarkable difference on module uniformity for each shading position. In addition, the unbalanced power loss due to power mismatch of each module could intensify the degra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