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출력곡선

Search Result 238,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Calculation of Nonlinear T-N Curve of DC Motor by Inductance (인덕턴스에 의한 DC모터의 비선형 T-N곡선의 산출)

  • Sung, Bu-Hyun;Lee, Jin-Won;Choa,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b
    • /
    • pp.840-842
    • /
    • 2000
  • DC모터의 T-N(토크-회전수)특성이 선형성을 갖는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더욱이 인덕턴스가 작은 소형 모터의 경우에는 T-N특성이 거의 직선에 가깝게 된다. 그러나 대형모터일수록 인덕턴스가 커지므로 이 인덕턴스의 영향으로 T-N특성은 비선형의 곡선으로 변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모터의 출력은 직선으로 예측하였을 때 보다 실제적으로 작은 출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DC모터를 설계할 때 T-N특성의 비선형화로 인한 출력의 감소현상을 고려하여 임의의 여유를 주고 설계하여 왔다. 그러나 효율적인 모터설계를 위하여서는 임의의 여유가 아닌, 이론적 계산에 의한 정확한 T-N특성의 곡선을 필요로 하게 된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를 위한 용이한 계산법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atlab을 이용하여 DC모터의 비선형 T-N곡선의 계산법을 도출하여 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 Improved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ethod for a Grid-Connected Wind Power System (계통연계형 풍력 발전 시스템의 향상된 최대전력점 추종기법)

  • Kang, Yi-Kyu;Ro, Hak-Sueng;Jeong, Hae-Gwang;Lee, Kyo-Beum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11a
    • /
    • pp.265-266
    • /
    • 2011
  • 본 논문은 승압형 컨버터를 이용한 계통연계형 풍력 발전시스템의 향상된 최대전력점 추종 기법을 제안한다. 풍력 발전시스템에서 블레이드 모델 기반의 출력계수 곡선을 추종하도록 운전할 때, 불완전한 데이터 입력 및 제어변수의 변동으로 최대출력점 추종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제안하는 제어기법은 출력계수곡선 추종제어 기법에 히스테리시스 제어를 결합하여 빠른 최대출력점 추종 특성을 가지고, 시스템 제어변수 오차에 의해 이탈된 운전점을 정정하여 정상상태의 출력효율을 향상시킨다. 2.7kW급 풍력발전 시스템 모델 기반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제어기법의 우수성을 보인다.

  • PDF

Development of a graphic user interface for single reservoir simulation model reflecting discrete hedging rule (용수 감량공급 기준곡선을 반영한 단일 댐 모의 운영 모형의 사용자 편의 환경 개발)

  • Jin, Youngkyu;Lee, Sangho;Park, Jinhyu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74-374
    • /
    • 2018
  • 프로그래밍 언어로 개발된 프로그램들은 최종 사용자 입장에서 입력과 출력이 불편하다. 또한, 모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그래프를 작성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용수 감량공급 기준곡선을 반영한 단일 댐 모의 운영 모형을 최종 사용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 환경을 개발한 것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용수 감량공급 기준곡선을 반영한 단일 댐 모의 운영의 사용자 편의 환경은 미국의 GoldSim Technology Group에서 개발한 GoldSim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사용자 편의 환경에는 단일 댐 모의 운영에 필요한 여러 입력 자료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단일 댐 모의 운영 입력 자료에는 월별 기본계획공급량, 가뭄 단계별 용수 감량공급 비율, 과거 유입량 시계열, 갈수 빈도 유입량 시계열, 가뭄 단계별 감량공급 실행 저수량, 초기 저수량, 저수용량 등이 있다. 개발된 모형의 초기값은 합천댐의 자료가 입력되어 있으나, 입력자료를 변경하여 다른 다목적댐의 모의 운영에 활용이 가능하다. 단일 댐 모의 운영 결과로서 모의 기간 내 발생한 용수별 용수 공급 부족량과 감량공급 일수를 확인가능하다. 또한, 단일 댐 모의 운영 결과를 다양한 그래프로 출력 할 수 있다. 출력 가능한 시계열 그래프는 사용자가 입력한 용수 감량공급 기준곡선, 모의 시 사용한 유입량 시계열, 가뭄 단계, 용수 공급량, 저수량이다. 연구의 사례와 같이 GoldSim을 활용하면 연구개발의 편의 환경을 별도의 편의 환경 개발자를 거치지안고 과학 기술자가 직접 개발할 수 있다.

  • PDF

Power Curve Measurements on the 6kW Wind Turbine (6kW 풍력발전기의 출력곡선 측정)

  • Yoo, Neung-Soo;Nam, Yoon-Su;Lee, Jung-Wan;Cho, Joo-Suk
    • Journal of Industrial Technology
    • /
    • v.25 no.B
    • /
    • pp.149-157
    • /
    • 2005
  • The power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for a small class of wind turbine is established. The wind turbine powe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re determined by measured power curve and the estimated annual energy production (AEP). The measured power curve is determined by collecting simultaneous measurements of wind speed and power output at the test site under varying wind conditions. In order to determine the powe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wind turbine accurately, the data are of sufficient quantity and quality shall be corrected according to defined criteria. In this study, the 6kW wind turbine made by Germany Inventus GmbH is examined.

  • PDF

Measured AEP Evaluations of a Small Wind Turbine using Measured Power Curve & Wind Data (측정 출력곡선과 기상자료를 이용한 소형 풍력발전기 연간 발전량 비교평가)

  • Kim, Seokwoo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33 no.6
    • /
    • pp.32-38
    • /
    • 2013
  • In an efforts to encourage renewable energy deployment, the government has initiated so called 1 million green homes program but the accumulated installation capacity of small wind turbine has been about 70kW. It can be explained in several ways such that current subsidy program does not meet public expectations, economic feasibility of wind energy is in doubt or acoustic emission is significant etc. The author investigated annual energy production of Skystream 3.7 wind turbine using measured power curve and wind resource data. The measured power curve of the small wind turbine was obtained through power performance tests at Wol-Ryoung test site. AEP(Annual Energy Production) and CF(Capacity Factor) were evaluated at selected locations with the measured power curve.

Analysis and MPPT scheme of series connected small wind turbine system (직렬운전 소형풍력발전시스템의 해석 및 MPPT 기법)

  • Kim, Chang-Ha;Ku, Hyun-Keun;Choi, Sung-Uk;Kim, Jang-M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472-473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직렬운전 소형풍력발전시스템의 해석 방법과 최대 파워를 추종하는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기법을 제안한다. 소형풍력 발전시스템은 개별 발전기에서 생성되는 역기전력이 낮아 배터리 충전과 같은 독립적인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용도로 쓰이나 발전기를 N개 직렬연결하면 계통연계가 가능하다. 일반적인 풍력발전 시스템에서의 블레이드 출력은 출력 계수($C_p$) 곡선의 형태에 의해서 결정되고, 출력계수 곡선은 주속비(${\lambda}$)의 함수로 표현된다. N개의 발전기를 직렬연결 하는 경우 각기 다른 풍속에 대하여 출력파워 해석이 곤란하므로, 직렬 운전 시 발전기토크를 기준으로 한 해석과 이에 적합한 MPPT 방법을 제안한다.

  • PDF

Speed Control of Darrieus Wind Turbine for Load-variation (다리우스 풍력터빈의 부하변동에 따른 속도제어)

  • 오철수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4 no.3
    • /
    • pp.402-406
    • /
    • 1995
  • 다리우스 풍력터빈의 속도설정을 터빈이 만드는 토크와 발전기가 요구하는 토크의 \평형을 통해 찾아 낼 수 있음을 검토하였다. 풍속에 따른 속도-토크곡선에서 일정충력곡선이 만나는 점이 터빈의 동작점으로 되며 이는 안정 및 불안정이 될 수도 있다. 풍속과 출력이 각각 변할 때 이 동작점이 어떻게 이동되는가 하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터빈의 속도에 관한 제어 블록선도를 제시하여 그 출력변화에 따른 속도변화의 전달함수를 알아내고 이의 형태는 1차 시지연 함수로 유도된다.

  • PDF

Runoff Analysis Using the Discrete, Linear, Input-Output Model (선형 이산화 입력-출력 모형에 의한 유출해석)

  • Kwak, Ki Seok;Kang, In Shik;Jeong, Yeon Tae;Kang, Ju B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4 no.4
    • /
    • pp.859-866
    • /
    • 1994
  • It is difficult to make an exact estimate of the peak discharge or the runoff depth of flood and establish the proper measure for the flood protection since the water stage or discharge has been nearly measured at most medium or small river basi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parameters of the discrete, linear, input-output model for medium or small river basin. The On-Cheon River basin in Pusan was selected for the study area. The runoff data used in the study has been observed since June 1993, and the effective rainfall was determined using the storage function method. The parameter sets of the discrete, linear, input-output model were estimated using the least squares method and the correlation function method, respectively. The calculated hydrographs by the discrete, linear, input-output model regenerated the observed outflow hydrographs well, and also the simulated flood hydrograph was comparable to the observed one.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discrete, linear, input-output model is simpler than other runoff analysis methods, and can be applied to a medium or small river basin.

  • PDF

A study on output characteristic of contactless power supply for OHS system with close-loop section (폐루프 구간으로 구성된 OHS 시스템에 적용한 비접촉 전원장치의 출력특성에 관한 연구)

  • Hwang, Gye-Ho;Kim, Won-Gon;Yun, Jong-Bo;Park, Gun-Woo;Yoon, Young-Min;Kim, Dong-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976-977
    • /
    • 2008
  • 클린룸에서 자동 물류 반송장비가 선형모터와 비접촉 전원장치를 이용하여 직선구간으로 설치되어 적용하는 경우는 있지만, 곡선구간을 갖는 경우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는 희박하다. 이에 저자들은 초기 90도의 곡선구간으로 개루프 구간을 갖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더욱 향상된 180도 곡선구간과 직선구간으로 이루어진 폐루프 구간을 구성(현장과 유사하게 구성)하여 자동 물류 반송장비인 OHS 시스템의 선형모터의 구동 전원으로 적용하기 위한 비접촉 전원장치의 출력특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The Life Analysis for the Influence of Output Ripple Current by Frequency applied in a PEMFC (출력 리플전류 주파수에 따른 연료전지 수명 연구)

  • Kim, J.H.;Jang, M.H.;Choi, J.S.;Kim, D.Y.;Tak, Y.S.;Cho, B.H.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383-38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연료전지에 연결되는 부하가 어떠한 주파수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지 알아보기 위해 출력 리플전류 주파수에 따른 연료전지 수명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전자부하를 통해 일정한 크기의 리플전류를 주파수대역을 바꿔가며 단위 셀에 인가하여 장시간 운전한 뒤 연료전지의 전압-전류곡선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전압-전류곡선을 통해 연료전지의 성능을 비교함으로써 어떠한 출력 리플전류 주파수가 연료전지 수명에 더 큰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