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출근시간

Search Result 5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Reg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uter Mode Choice Behavior -Case of Seoul and llsan New Town-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행태의 지역간 비교연구 -서울과 일산신도시를 중심으로-)

  • 조중래;김채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4
    • /
    • pp.75-88
    • /
    • 1998
  • 서울과 일산 신도시의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모형을 구축하고, 두 도시간 수단선택형태를 분석.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1996년 서울시에서 수행한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단선택모형으로는 다항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두 지역 출근통행 수단선택모형의 모형구조상의 차이 및 모형의 지역간 이전가능성을 분석하였고, 출근통행의 시간가치 및 탄력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통계적 검증의 결과 출근통행의 수단선택에 있어서, 모형구조적 측면에서나 선택행태적 측면에서 수단선택모형의 두 도시간 이전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출근통행의 시간가치가 일산보다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특히 서울의 경우, 택시이용자의 시간가치가 자가용 이용자의 시간가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도시 모두 통행시간에 대한 탄력성 통행비용에 대한 탄력성보다 전반적으로 크며, 버스와 지하철간의 통행시간에 대한 교차탄력성이 매유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uter Mode Choice Behavior between Regions : Case of Seoul and Ilsan New Town (촐근통행 교통수단 선택행태의 지역간 비교연구: -서울과 일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 조중래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83-92
    • /
    • 1998
  • 서울과 일산 신도시의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모형을 구축하고, 두 도시간 수단선택행태를 분석.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1996년 서울시에서 수행한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단선택모형으로는 다항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두 지역 출근통행 수단선택모형의 모형구조상의 차이 및 모형의 지역간 이전가능성을 분석하였고, 출근통행의 시간가치 및 탄력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통계적 검증의 결과 출근통행의 수단선택에 있어서, 모형구조적 측면에서나 선택행태적 측면에서 수단 선택모형의 두 도시간 이전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출근통행의 시간가치가 일산보다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특히 서울의 경우, 택시이용자의 시간가치가 자가용 이용자의 시간가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도시 모두 통행시간에 대한 탄력성 통행비용에 대한 탄력성보다 전반적으로 크며, 버스와 지하철간의 통행시간에 대한 교차탄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Route Choice and Diversion Behavior Models of the Drivers Commuting to a University (대학출근운전자의 노선선택 및 전환행태 모형)

  • 김경환;김태형;서현열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3
    • /
    • pp.87-100
    • /
    • 2000
  • 각 지역특성에 맞는 ATIS사업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각 지역 통행자들의 노선선택 및 전환행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상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대학출근운전자들의 노선선택 및 전환 행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들을 모형화하였다. 본 연구 대상지의 경우, 2개의 주 출근노선이 있으며 하나는 시내통행노선(노선 1)이고 다른 하나는 시외곽 통행노선(노선 2)이다. 노선1은 노선2에 비해 연장은 짧은 반면에 통행시간은 길며 신호교차로수. 우회전수도 많다. 먼저, 운전자의 노선선택행태모형을 통해 해석된 결과를 보면 시내노선에 대한 외곽노선의 상대적 효용이 아주 높으며, 전체적으로 출근운전자들은 짧은 통행시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근소요시간이 길고 라디오정보의 이용빈도가 높을수록 시내노선을 이용할 확률이 크며, 반면에 남성과 교직원인 운전자는 외곽노선을 이용할 확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행태조사에 기초한 노선전환행태모형을 통해 해석된 결과를 보면 연령, 출근시간, 라디오정보의 이용빈도들이 전환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상의 교통정보제공시의 운전자의 노선전환을 모형화한 노선전환의사모형에서는 대개의 정보에 대해 운전자가 노선전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형에서 지체길이에 따른 전환경향을 보면 지체의 길이가 길수록 전환경향이 높아 30분정도의 지체길이에서는 반드시 변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대상 운전자의 경우 전반적으로 기술적인 유고(Incident)정보보다는 정량적인 지체정보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stimating Confidence Interval of Value of Travel Time (통행시간가치의 신뢰구간 추정)

  • 조중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4
    • /
    • pp.219-224
    • /
    • 1998
  • 통행시간가치에 대한 신뢰구간추정 방법론을 제시하고 서울시 출근통행자의 시간가치 신뢰구간의 추정을 통하여 그 적용사례를 예시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하여 서울시 출근통행자의 평균시간가치는 시간당 7,341원으로 추정되었고, 95%신뢰구간의 하한치는 5,454(원/시간), 상한치는 10,806(원/시간)으로 추정되었다.

  • PDF

Design of Integrated System for Life Information Based on GPS (GPS기반 생활정보제공 통합시스템 설계)

  • Heo, Do-Yun;Lim, Jong-Bum;Park, Jae-Seok;Park, Seok-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603-60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생활정보 통합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아 두 개 이상의 생활정보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출근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하기 위해 생활정보제공 통합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GPS와 API에 대해 분석하고, 생활정보통합기능을 제공하여 편의성을 높이고 출근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GPS와 구글 지도 API를 이용하여 생활정보제공 통합시스템을 설계하였다.

Analysis of Activity Participation and Travel Behavior at Weekend (토요일 출근자 및 휴무자의 활동참여 및 통행행태 분석)

  • Kim, Dae H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2D
    • /
    • pp.171-179
    • /
    • 2008
  • In this paper, "Gyeonggi-Do household weekend travel survey" is used in order to analyze activity participation and travel behavior for the people who go to work on Saturday(workers) and those who do not go to work(non-workers). To find ou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participation and travel behavior, Structural Equation Models are developed. Examina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participation and travel behavior identifies three stages. Firstly, subsistence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are generated. Secondly, each activity participation produces trip volumes and travel times. Finally, the sum of travel times forms trip volumes. Looking into the activity participation stages for the workers, their subsistence activies have a tendency to take place first, and leisure activities usually follow. Non-workers generate more simple trip chains and most of their first stage activities are leisure related.

에너지관리공단 소식

  • 한국열관리사협회
    • The Korea Energy Engineers Association Reports
    • /
    • no.32
    • /
    • pp.2-2
    • /
    • 2004
  • 에너지관리공단 BPM 추진 연말까지 민원업무 대상 시법사업 진행 - 2004 에너지절약 실천행사 개최 에너지절약 실천일기 공모 창작곡 경연/실천사례 발표 - 6대도시 출근시간 승용차 80$\%$ `나홀로 차량`

  • PDF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the Internship of the Disabled" Using Mobile App (모바일 앱을 이용한 장애학생의 현장실습 관리 연구)

  • Koo, Min-Jeong;Han, Koung-Don;Noh, Dong-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2
    • /
    • pp.419-424
    • /
    • 2013
  • A study was performed on the management of working hours, starting time, and the internship journal using mobile app in order to manage the on the job training of the disabled students in the industrial companies. The employer of the disabled verifies if the acceptable standard of the disabled students and the actual information of the applicant matches, before hiring (accepting) the applicant. The company manages the attendance information (working hours and address, etc.) of the trainees using GPS. Judging from the result of the performance of this process, the process has contributed to the on the job training of the disabled, so the program is underway to link the process to the actual employment in the future. To test This app in this research, surveys with 34 students were done on "Results of Usefulness." UI satisfaction about this application showed more than 81.1% of beyond Just OK.

Factors Influencing Commuting Time to Work for the Simple Linkage Travel (단순연계 출근통행시간에 미치는 요인분석)

  • Bin, Mi-Y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9 no.4
    • /
    • pp.29-41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 that influences commuting time to work when individuals allocate their time for different types of activities. The commuting time is an important indicator for an individual to determine the residence and choose the means of transportation. The analysis uses the data collected from people who live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and commute to work and making the simple linkage travel (home-work-home) within the area. For the analysis, the Cox hazard proportional methodology was adopted. The method is known to be well applied without assuming any distribution in case of the dependent variable being continuous. For the covariate,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space variable of the work place and the variable of transportation has been also included in the model. The commuting time to work has been estimated for both 1) the whole metropolitan area and 2) the separate regions i.e.,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The result reveals that characteristic variables related to individual, household and travel properties influence the mode of transportation and the time allocated for commuting to work (p<0.01).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the usefulness of the Cox hazard proportional model.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the actual household travel data surveyed in 2006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analyzing the survey data in 2010 is currently in progress. Comparison of the two survey data sets seeking any behavioral change is suggested for the future study.

강우시와 청천시의 하수 특성의 비교 검토

  • 김부길;정현석;염기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55-58
    • /
    • 2003
  • 본 연구는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합류식 하수관거의 강우시의 누적강우량에 따른 하수량 변화 및 수질 농도의 변화와 청천시 하수량 변화에 따른 수질변화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유량 및 수질 분석 결과 강우시 하수량은 누적강우량에 좌우되었으며, 수질 또한 강우에 의해 희석되어 낮은 농도가 나타났다. 주거지역인 경우 청천시 하수량은 대부분 출근시간과 퇴근시간의 물 사용량에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청천시 수질은 주거지역인 경우 하수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