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춘추 필법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서파(西陂) 유희(柳僖)의 『춘추괄례분류』에 보이는 『춘추』 범례 분류의 특징 (Characteristics in Classification of Chunqiu Introductory Remarks (凡例) demonstrated on Chunqiugwalyebulyu (春秋括例分類) by Seopa(西陂) Ryu-Hee(柳僖))

  • 김동민
    • 한국철학논집
    • /
    • 제54호
    • /
    • pp.115-151
    • /
    • 2017
  • 본 논문은 서파 유희의 "춘추괄례분류'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 책에 보이는 범례 분류의 특징 및 그 학술적 가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책은 "춘추" 범례의 기본 원칙을 바탕으로 정형화된 범례를 규정한 일종의 범례 종합 분류집이다. 서파는 "춘추" 범례 분류의 두 가지 기본 원칙을 제시하였다. 첫째, "춘추" 라는 책의 성격과 체계를 명확하게 규정함으로써 "춘추" 범례를 분류하게 된 배경을 밝혔다. 둘째, "춘추" 에 존재하는 필법과 의리가 범례 분류의 기준이 된다는 점을 천명하였다. 서파는 이러한 범례의 기본 원칙에 따라 유형별로 범례를 분류하여 정형화된 범례 규정을 확정함으로써 올바른 "춘추" 해석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 범례 규정이 잘못된 "춘추" 해석이 나올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함과 동시에 왜곡된 이론의 존립 근거도 없애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 책은 다양한 범례의 체계적인 분석과 종합을 통해 "춘추" 범례 분류의 표준화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크다고 평가할 수 있다.

『춘추(春秋)』왕력(王曆)① - 송대(宋代) 이후 춘추력수(春秋曆數)의 개월(改月)·개시(改時) 논의에 대한 소고(小考) (『Chūn-qiū』Wáng-lì(『春秋』王曆)① - A Study on the Discussion of 'the Changes in the Names of Months and a Season(改月改時)' in the calendar of 『Chūn-qiū(春秋)』 since Song(宋) Dynasty)

  • 서정화
    • 동양고전연구
    • /
    • 제67호
    • /
    • pp.345-378
    • /
    • 2017
  • "춘추(春秋)" 경문(經文)에서는 기월법(紀月法)으로 '춘왕정월(春王正月)'의 표현 방식을 썼으며, 동짓달을 한 해의 첫 달로 삼고 그때부터 3개월을 춘(春)이라 명명하였다. 이러한 "춘추(春秋)"왕력(王曆)에 대해 그것의 월호(月號)와 계절명을 공자가 바꾸어 기록한 것인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송대(宋代) 이래로 '공자(孔子)의 개월(改月) 개시(改時)' 설(說), '공자(孔子)의 불개월(不改月) 개시(改時)' 설, '공자(孔子)의 불개월(不改月) 불개시(不改時)' 설 세 가지의 서로 다는 주장들이 있게 되었다. 첫 번째 설은 호안국(胡安國)과 채침(蔡沈)이, 두 번째 설은 정이(程?)와 주희(朱熹)가 언급한 것이다. 세 번째 설은 그 주창자가 명대(明代) 이후에 두드러지기 시작하였으며 대표적인 인물로 왕수인(王守仁)을 들 수 있다. 그들 모두 자신들 주장의 근거를 고경(古經)과 유교 전적의 기록들 속에서 찾고 있는데, 동일한 기록을 가지고 서로 다른 주장의 근거로 삼은 경우도 보인다. 공자의 이른바 '춘추필법(春秋筆法)'과 '술이불작(述而不作)'은 존왕사상(尊王思想)에서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비록 공자가 "춘추"의 저자라고 가정한다 해도, "춘추(春秋)"의 역수(曆數)에서 정말로 공자가 개월(改月)이나 개시(改時)를 감행하였을지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같은 공자의 "춘추" 역수 개입과 관련한 설들은, 사실상 당대(唐代)까지는 대립적으로 논의되지 않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