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축산폐수

Search Result 31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교반이 축산폐수의 혐기성 처리효율에 미치는 영향 (Mixing Effects of Anaerobic Digestion Efficiency on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 이종호;성일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85-592
    • /
    • 2014
  • 본 연구는 축산폐수의 혐기성 처리 시 교반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자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가 보고되어 우리나라 축산폐수에 적용 시 교반의 영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어 실시하였다. 4개의 혐기성 소화조를 중온 또는 고온으로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교반시키거나 교반 시키지 않고 운전하였다. 온도가 같은 경우 연속으로 교반한 반응조가 교반하지 않은 반응조의 TCOD 제거효율에 비하여 0.11-0.58%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중온 소화조의 TCOD 제거효율이 고온 소화조의 TCOD 제거효율과 거의 같아 온도에 따른 TCOD 제거효율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연속적으로 교반한 소화조의 가스 발생량이 교반하지 않은 소화조에 비하여 1.7-4.6% 많았다. 또한 중온 소화조의 가스 발생량은 고온 소화조보다 29.1-32.1% 높고 메탄 발생량도 많았는데 이는 고온 소화조의 암모니아 저해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종합하면 축산폐수를 혐기성으로 처리 시 중온에서 운전되고 연속적으로 교반한 반응조의 운전 조건이 더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축산폐수 전처리를 위한 펜톤산화 적정조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per Fenton Oxidation Conditions for Pretreatment of Livestock Wastewater)

  • 김종오;정성욱
    • 유기물자원화
    • /
    • 제13권4호
    • /
    • pp.107-11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펜톤산화 공정을 축산폐수의 전처리 시스템으로 활용하고자 초기 pH, $H_2O_2/Fe^{2+}$ 비율, $H_2O_2/Fe^{2+}$ 약품주입량, 응집 및 침전을 위한 중화제 등과 같은 펜톤산화의 적정 운영조건을 도출하는 실험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적정 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교반시험기를 이용하여 120 rpm에서 2시간 동안 각 조건을 변화시키면서 펜톤산화 반응을 진행한 후 2시간 동안 침전시켜 그 상등액의 잔류 과산화수소, $COD_{Cr}$, SS 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도출된 최적조건은 초기 pH는 4, $H_2O_2/Fe^{2+}$비율은 10:1, $H_2O_2/Fe^{2+}$ 약품주입량은 5,000/500mg/L 그리고 중화제로는 $Ca(OH)_2$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최적 조건에서 펜톤산화에 의해 축산폐수의 $COD_{Cr}$ 제거율은 43% 그리고 SS는 84%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 PDF

Hydrocarbon production and nitrogen/phosphorus removal from piggery wastewater by cultivation of Botryococcus braunii

  • 심상준;안진영;공경택;김병우;박태현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49-25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축산폐수를 이용하여 건조질량의 $15{\sim}75$ %의 탄화수소를 생산한다고 알려진 B. braunii 배양에 적용하였다. 질소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세포의 성장이 나 탄화수소의 생산은 저해를 받았으며, 초기 인의 농도는 질소원이 결핍된 상황을 제외하고는 세포 성장이나 탄화수소의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축산폐수를 이용한 설험에서는 33 %의 축산폐수가 nitrate를 제거시키는데 가장 적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