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축산물 관리

Search Result 31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잔류예방과 수의사의 역할

  • 손성완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39 no.2
    • /
    • pp.147-154
    • /
    • 2003
  • 수의사는 동물질병의 예방과 치료뿐만 아니라 축산물의 위생관리 및 안전성확보에 관한 최고의 전문가이다. 또한 축주와 가장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신뢰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따라서 축산현장에서 올바른 동물용 의약품의 사용과 사양관리에 관해 적극적으로 지도$\cdot$홍보하는 책임있는 수의사의 역할이 잔류예방과 안전한 축산물의 생산을 위한 관건이라 할 수 있다.

  • PDF

축산물등급소식

  • 축산물등급판정소
    • KAPE Magazine
    • /
    • no.29
    • /
    • pp.1-8
    • /
    • 1999
  • 소도체 등급판정결과(`98년11월) - 돼지도체 등급판정결과(`98년 11월) - 거세우의 비육후기 사양관리와 육질개선 - 축산물등급화거래규정 개정

  • PDF

축산물의 잔류검사 체계 및 개선방향

  • 조병훈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39 no.3
    • /
    • pp.236-245
    • /
    • 2003
  • 축산물의 유해물질 잔류예방을 위해서는 농가에서의 올바른 동물약품의 사용과 철저한 사양관리가 필수요건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국내산 및 수입 축산물에 대한 철저한 잔류검사 체계를 잘 활용하여 축산식품의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토록 노력하고 현행 잔류검사를 보다 집중적이고 효율적인 체계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알려 드립니다 2 - 소비자를 안심시키는 제도! "가축 및 축산물 이력관리에 관한 법률"에 대하여 알아보자

  • Son, Ha-Sik
    • KAPE Magazine
    • /
    • s.209
    • /
    • pp.18-19
    • /
    • 2014
  • 기존의 소 및 쇠고기이력제에 기반하여 돼지(돼지고기)를 포함하는 법률적 근거 마련을 통하여 방역의 효율성 제고와 그 밖에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추진된 "가축 및 축산물 이력관리에 관한 법률"이 지난해 12월 27일에 공포되었다. 이에 소(쇠고기)뿐만 아니라 국내산 돼지(돼지고기)까지 이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일본의 가축사육위생관리 지침서(I)

  • 문진산;김덕원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1 no.5
    • /
    • pp.433-438
    • /
    • 2005
  • 최근 농림부에서는 축산물 위생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축장, 우유 ${\cdot}$ 육가공장, 배합사료공장에 이어 사육단계에서도 HACCP(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도입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특히 사육농장에서 안전한 축산물을 생산하는데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종 위해요소를 파악, 이를 사전에 차단하거나 중점 관리하는 사육단계의 HACCP를 2006년 돼지농장을 시작으로 2007년 젖소, 2008년 한육우, 2009년 산란계, 2010년 육계공장까지 단계적으로 확대 도입할 계획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최근 일본에서 제정한 가축의 생산단계인 농장에서의 위생관리지침서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축산법령 - 축산물 위해요소 집중관리기준 개정

  • 한국오리협회
    • Monthly Duck's Village
    • /
    • s.68
    • /
    • pp.68-69
    • /
    • 2009
  •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30일 식육가공품(식육추출가공품)에 대한 HACCP평가기준과 HACCP적용 작업장의 지정변경사항 중 소재지변경을 추가하는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검역원고시 제2008-28호)을 개정했다고 밝혔다. 식육추출가공품 HACCP 평가기준은 2008년 3월부터 학계, 협회, 업계, 공무원 등 전문가를 중심으로 T/F팀을 구성하여 현장실태조사, 실무 및 전문가 협의회 등을 통해 개발됐으며 HACCP적용 작업장 지정 변경사항의 경우에도 현행 중요관리점 회사명 대표자 변경 등에 한하여 변경지정이 허용되고 있었으나, 이번 개정고시에서는 불가피하게 HACCP적용 작업장이 소재지를 이전하는 경우에도 HACCP관리의 지속성을 감안하여 지정변경이 가능하도록 반영했다. 소재지 변경의 경우 무분별한 소재지변경에 따른 HACCP 수준저하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작업장의 현장실사를 실시하고 소재지 변경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HACCP 로고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조치도 함께 마련됐다. 검역원은 이번 식육추출가공품 HACCP 평가기준 개발과 HACCP 적용 작업장의 소재지 지정변경 인정으로 축산물 가공품 안전성 확보와 HACCP 제도가 더욱 활성화 되어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할 것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 PDF

축산물등급소식

  • 축산물등급판정소
    • KAPE Magazine
    • /
    • no.22
    • /
    • pp.1-8
    • /
    • 1998
  • 소도체 등급판정결과(98년4월) - 돼지도체 등급판정결과(98년 4월) - 비육우의 성장단계별 사양관리(1)

  • PDF

알림: 닭.오리고기, 계란 등 포장의무화 - 닭.오리 고기, 계란 전면 포장유통 실시 축산물 위생관리 강화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3 no.2
    • /
    • pp.132-135
    • /
    • 2011
  • 농림수산식품부는 닭고기 등의 포장유통, 도축검사 담당자의 업무량개선, 축산물판매업의 세부 영업 신설, 위생교육 확대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축산물위생관리법령을 2010. 11. 26자로 개정 시행했다. 닭 오리고기에 대해 전면 포장유통은 2011년 1월부터 실시하고, 계란에 대해 2011년 4월부터 유통기한을 표시하고 포장을 실시하는 방침으로 주요 내용을 발췌해 본지를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Traceability Number-Driven Livestock Inventory Management IoT System Utilizing Electronic Scale Access Control Technology (전자저울 접근제어 기술을 통한 이력번호 기반의 재고관리 IoT 시스템)

  • Youchan Jeon
    • Smart Media Journal
    • /
    • v.12 no.10
    • /
    • pp.85-92
    • /
    • 2023
  • In December 2014, Livestock and Livestock Products Traceability Act was established, allowing consumers to receive livestock traceability information. While the Livestock Traceability System provides consumers with transparent and fair information about their food, it has brought increased workload and penalty burdens to stakeholders in the livestock industr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oT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based on traceability numbers to enable sellers to conveniently provide livestock traceability information to consumers. We analyzed the protocol for managing data from electronic scales and conducted functional testing and verification on mobile devices. Furthermore, we implemented the design and system functionality, taking into account UI/UX on Android OS-based devices to synchronize and interconnect traceability and product information with electronic scales. We anticipate that the proposed approach will minimize user inconvenience and raise production efficiency in the existing market.

Management Practices on Functional Meats and Meat Products in European Countries and the Oceania Area (유럽 및 오세아니아의 기능성 축산물과 식육제품에 대한 운영현황 및 관리방안)

  • Choi, Ji-Hun;Choi, Yun-Sang;Kim, Hack-Youn;Kim, Hyun-Wook;Kim, Jin-Man;Kim, Cheon-Jei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30 no.5
    • /
    • pp.703-716
    • /
    • 2010
  • It has recently been considered urgent to establish an accurate definition and scope of functional foods in the livestock industry in Korea. The tertiary function of food is gradually emphasized with various changes in conditions such as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enhancement of the whole world, including Ko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ather basic information toward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ization, management plans, and a system adapted to the Korean state through researching management systems of functional meat and meat products in the European Union (EU) and the Oceania Area (OA). A brief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the EU and OA, special management systems and laws about functional livestock and products were once nonexistent; only 'nutrition claims' and 'health claims' operated in the nutritional consolidation side of foods. Also, it was once thought that functional index materials and permissions established in the application of functional products sufficed, because management standards for enriched food were not established. Therefore, standardization of functional live stock products needs to be considered based on the case of developed countries in the EU and OA. It also seems that the above functional indicative substances can be applied, based on normal standards of indicative substances of functional products and the normal standards of indicators of functional substances added to livestock products present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