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시스템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농장탐방-양돈미래 열어가는 금보육종

  • O, Yu-Hwan
    • The Korea Swine Journal
    • /
    • v.30 no.3 s.343
    • /
    • pp.166-170
    • /
    • 2008
  •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은 식품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해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거나 제거하기 위하여 생산단계부터 제조, 가공 등 모든 단계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사전 위생 관리하는 제도이다. 지난해 12월 축산물HACCP기준원으로부터 HACCP 농장으로 지정받은(주)금보육종(대표 장성훈) 원주 GP. 지난해 양돈협회에서 실시한 HACCP 교육을 통해 농림부 HACCP 인증 농장으로 다시 태어났다. 농장주와 임직원 모두가 HACCP 제도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수행하는 한편, 국내 소모성 질환 극복을 위해서는 PRRS 청정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목표로 우수한 위생방역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청정 강원도의 양돈전문기업 금보육종을 찾아보았다.

  • PDF

국내 축산물 원산지 추적관리를 위한 생산이력관리시스템

  • Lee, Seung-Gyu;O, Jae-Don;Song, Won-Il;Hong, Yun-Suk;Park, Mi-Hyeon;Im, Hyeon-Jin;So, Hyeon-Gyeong;Lee, Hak-Gyo;Choe, Gang-Deok;Jeon, Gwa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05a
    • /
    • pp.274-277
    • /
    • 2005
  • 보다 위생적인 한우육 생산을 위해서는 단계별의 위해요소중점관리(HACCP)의 적용은 물론, 생산 및 유통단계에서 가축 및 축산물의 이동경로를 추적, 관리함으로써 생산, 가공 및 유통 정보가 투명하고 정확하게 소비자에게 제공되도록 각 단계의 정보들이 통합되어져야 한다. 또한 필수적으로 개체이력 관리체계 구축 및 추적을 위한 도축장 전산화, 판매장 전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생산${\cdot}$도축${\cdot}$가공${\cdot}$판매 단계의 정보를 통일화 할 수 있는 ID 체계 및 ID 식별 체계를 구축하고 각 단계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공유하여 효율적이며 위생적인 생산이 될 수 있는 전산시스템을 구축하고 개체추적이 가능한 생산단계, 도축단계, 가공${\cdot}$판매단계 자동화 시스템이 개발 되어야 한다. 소비자 선호도 및 도축${\cdot}$가공 정보를 생산자, 관련기관 및 단체에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차별화된 브랜드 개발을 유도하고 생축 및 한우육 유통단계를 투명화 하여 소비자 및 생산자의 이익을 극대화 시켜야 한다. 고품질 축산물을 소비자에게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생산이력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수입육과의 차별화 및 고품질 한우육 공급으로 국내산 한우육의 신뢰성을 회복하여 지속적이며 안정적인 한우 경영을 유지${\cdot}$발전의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 PDF

Study on the Management Level of Pathogenic Bacteria in HACCP System Implemented Animal Farms (HACCP 적용 농장의 병원성 세균 관리수준에 관한 연구)

  • Lee, Gi-Yun;Lee, Joo-Yeon;Back, Seung-Hee;Hwang, In-Jin;Lee, Kyung-Soon;Kim, Young-Su;Kim, Byoung-Hoon;Kim, Hyun-Soo;Kang, Soo-Cheol;Cho, Jea-Jin;Park, Min-Seo;Suk, Hee-Jin;Nam, In-Sik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53 no.1
    • /
    • pp.67-74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anagement level of pathogenic bacteria in HACCP system implemented animal farms. Microbia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nure, floor, compost depot, manure on belt, low milk tank, dust in laying house and egg collector in HACCP system implemented Korean beef cattle, dairy cattle, swine, and laying Hens farms. O157, O111 and O26 strains of E. coli were not detected in HACCP system implemented Korean beef cattle farm. The detection rate of E. coli from manure and floor in HACCP system implemented cattle farms (Korean beef cattle and dairy farm) was lower than those of non-HACCP system implemented cattle farm. Salmonella spp. was detected in HACCP system implemented cattle farms (Korean beef cattle and dairy farm). Compared with pervious studies, lower detection rate of Salmonella spp. at floor and compost depot in HACCP system implemented swine and commercial layer farms were indicated. In conclusion, implementation of HACCP system in animal farms would enhance the management level of biological hazard compare to normal animal fa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