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축력비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3초

일정 축력을 받는 콘크리트충전 원형 강관기둥의 내화성능 평가 (Fire Resistance of Concrete-Filled Circular Steel Tube Columns under Central Axial Loads)

  • 박수희;송경철;류재용;정경수;최성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655-66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충전 원형강관(원형 CFT)기둥의 내화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강관은 SPSR 400 강재를 사용하였으며 강관 내에는 27.5MPa와 37.8MPa 강도의 콘크리트를 사용하였다. 콘크리트 강도, 작용 축력, 단면 직경을 변수로 설정하였다. 수치해석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존의 각국 내화성능설계식들에 의한 계산 결과값과 비교 평가 하였다. 또한, 기존의 실대 원형 CFT기둥의 내화성능 평가 실험 결과와 함께 비교 분석하여 수치해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원형 CFT기둥의 내화실험 및 수치해석적 연구를 통해 도출된 내화저항시간과 축력비, 단면직경, 콘크리트 강도의 영향을 각형 CFT기둥의 내화성능과 비교 분석하여 각 영향인자들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수치해석적 연구는 실험결과와 비슷한 거동 및 내화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수치해석에 의한 CFT기둥의 내화 성능 예측은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아치작용을 고려한 PSC보의 복부전단거동 (Shear Behavior of Web Element in PSC Beams Incorporated with Arch Action)

  • 정제평;신근옥;김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85-92
    • /
    • 2015
  • 횡방향 철근이 없는 RC와 PSC 보에서 축방향 인장력은 전단강도를 감소시키고, 축압축력은 전단저항력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축력이 전단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고, 전단 저항성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현실이다. 횡방향 보강철근이 없는 부재가 큰 압축력과 전단력을 받으면 첫 번째 경사균열이 일어나면서 그대로 취성파괴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당히 보수적 관점을 유지하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ACI의 복부전단강도는 경사균열각 ${\theta}$$45^{\circ}$로 하는 트러스모델을 사용하여 스터럽의 수직력과 축력효과를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파괴역학을 근간으로 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 ATENA-2D (Cervenka, 2000)를 사용하여 철근콘크리트 보의 축력작용에 따른 검증을 수행한 것이다.

축력과 모멘트를 받는 H형강 주각부의 거동에 관한 해석적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structural behavior of H shape column base plates under axial loads and moments)

  • 김정현;이승준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통권75호
    • /
    • pp.217-22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축력과 모멘트를 받는 H형강 주각부의 거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주각부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법을 이용하였으며 주각부의 해석적 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6개의 시험체에 대하여 축력비와 앵커볼트 크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두께를 변수로 두고 각각의 거동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H형강 주각부의 실험결과와 유한요소해석결과 그리고 해석적 모델을 상호 비교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축력과 모멘트를 받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설계에서 가정하는 지압응력과 유한요소해석에 의한 베이스플레이트의 지압응력의 분포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를 비교한 결과 주각부의 거동을 나타내는 초기강성과 항복하중은 유사하게 나왔으며, 지압응력은 베이스플레이트의 두께가 얇을수록 기둥의 하단에 집중되는 현상을 보였다.

유로코드 2 재료모형을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연성도 평가 (Evaluation of Ductility in Reinforced Concrete Members Using Material Models in Eurocode2)

  • 최승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287-297
    • /
    • 2015
  •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콘크리트구조기준에서는 철근의 최소 허용 변형률에 대한 지침을 두고 있고, EC2에서는 중립축 깊이와 유효 깊이의 비(c/d)를 제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연성 능력은 항복변위와 극한변위의 비로서 표현되는 변위 연성도를 통해 평가하는데, 변위 연성도를 정확하게 산정하기 위해서는 항복변위와 극한변위에 대한 정립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실제 부재의 변위는 부재의 다양한 특성에 영향을 받으므로 이들 값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은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항복변위 및 극한변위를 휨모멘트-휨곡률 관계를 통해 직접 계산하여 변위 연성도를 산정하였다. 해석의 주요 변수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주철근 항복강도, 주철근 비, 횡철근 간격, 축력비 및 콘크리트 극한변형률이다. 해석 결과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증가할수록 변위 연성도는 증가하였다. 반면에 주철근의 항복강도, 주철근 비, 횡철근 간격 및 축력비가 증가할수록 변위 연성도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변위 연성도는 기둥의 내진설계에 사용되는 응답수 정계수(R)의 산정에 필수적이므로 변위 연성도를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판단된다.

편심압축이 작용하는 HCFT기둥에 대한 내력특성과 모멘트-곡률의 곤계 (Strength and Moment-Curvature Relationship of HCFT Columns under Eccentric Load)

  • 이승조;박정민;김화중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864-873
    • /
    • 2002
  • 현재의 CFT기둥 구조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강재측 측면에서 접근한 연구와 강관 내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의 충전성 등과 같은 시공적 측면에 대한 연구성과가 주류로 되고 있으며, 콘크리트 측면에서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것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HCFT 기둥이 축력아래에서 단주가 동일한 휨-모멘트를 받을 때의 변형성능(M-ø)에 대하여 해석적으로 수치적인 값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기본적인 가정을 바탕으로 실험에서 얻은 CFT 단면의 변형성능의 해석에 대하여 모멘트-축력-곡률관계의 해석 프로그램의 개발(C-Language)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폭-두께비(D/t), 세장비(λ), 콘크리트의 종류를 주요변수로 하여 편심하중 아래에서의 강도 600kgf/$\textrm{cm}^2$를 충전한 HCFT 기둥에 대한 내력 및 곡률과 같은 구조적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AISC-LRFD, AIJ, Tokanori Sato의 식을 이용한 내력설계식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내력 및 곡률은 향후 HCFT 기둥에 대한 내력설계식의 제안 및 해석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금속 V-벨트 CVT의 동력전달 특성과 변속비-부하토크-축력 관계 (Power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nd Speed Ratio-Torque Load-Axial Force Relationship for a Metal V-Belt CVT)

  • 김광원;김현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349-357
    • /
    • 1990
  • Power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nd speed ratio-torque load-axial force relationship for a metal V-belt CVT were investigated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In the metal V-belt CVT drive, it was found that the power was transmitted by thrust force and that band tension should be greater than compression force between the metal blocks.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speed ratio-torque load-axial force relationship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ose predicted using equations developed from theoretical considerations.

2축방향압축력(軸方向壓縮力)을 받는 단순지지평판(單純支持平板)에 대(對)한 비선형거동(非線形擧動)의 해석해(解析解) (An Analytical Solution of Nolinear Behaviour for Simply Supported Rectangular Plates to Biaxial Compression)

  • 백점기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169-181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2축방향압축력(軸方向壓縮力)을 받는 주변단순지지평판(周邊單純支持平板)의 좌굴전(挫屈前), 좌굴강도(挫屈强度), 좌굴후(挫屈後) 거동(擧動), 최종강도(最終强度) 및 최종강도후거동(最終强度後擧動)에 대한 해석해(解析解)를 도출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도출한 해석해(解析解)를 적용하여 판(板)의 종횡비(縱橫比)와 세장비(細長比) 및 하중성분비(荷重成分比)의 변화에 따른 시리즈해석을 수행한다. 본(本) 해석해(解析解)는 각종 수치해석(數値解析) 및 실험결과(實驗結果)에 대한 기준치(基準値)로서 널리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강관 보강 중공 R.C 기둥의 연성 평가 해석 (Ductility Evaluation of Circular Hollow Reinforced Concrete Columns with Internal Steel Tube)

  • 한승륭;임남형;강영종;이규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8
    • /
    • 2003
  • 콘크리트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고 콘크리트 부재의 중량이 중요시되는 곳에서 중공 기둥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낮은 축력비와 적당한 종방향 철근비에서의 중공기둥은 원형 R.C 기둥과 유사한 휨강도와 연성능력을 갖는다. 그러나 높은 종방향 철근비와 축력비를 갖는 중공기둥 안쪽면에서의 구속력 부족으로 인한 압괴로 취성적인 거동을 보인다. 그래서 중공기둥의 안쪽면에 강관을 삽입한다면 기둥의 취성적인 거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교각의 내부에 강관을 삽입하여, 재료비의 절감과 중량의 감소 및 중공교각의 연성을 증가시키고, 이의 해석을 위해 강관의 삽입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상용 프로그램의 원형기둥 및 중공기둥의 해석치와 비교하여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휨강도와 연성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모멘트-곡률 해석법이 사용되었으며, 콘크리트의 구속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Mander의 통합된 콘크리트 모델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매개변수 해석을 수행하여 강관 보강 중공 R.C 기둥의 거동특성을 연구하였다.

비대칭 이중곡률 스테인리스 원형강관 보-기둥의 좌굴내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uckling Strength of subject to Asymmetrical Double Curvature Stainless Steel Circular Hollow Section Beam-Columns)

  • 장호주;박재선;양영성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51-36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스테인리스 강관의 구조재로서 적용성 검토를 위해 편심 축하중을 받는 스테인리스 원형강관 보-기둥에 대한 좌굴강 도와 거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주요변수는 축력과 양단 비대칭 모멘트를 받는 이중곡률 보-기둥에 세장비(細長比)와 편심비(e/k)로 한 스테인리 스 원형강관의 최대내력 및 변형능력 등의 역학적 특성을 규명하며, 이론해석을 통한 실험값과 비교함으로서 스테인리스 강관 구조설계을 위한 기초 자료를 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결과를 해석결과와 비교해본 결과, 세장비 70의 편심비가 0인 시험체만이 낮고, 그 외 모든 시험체는 해석을 통한 M-P 상관곡선을 상회하는 결과를 보이나, 편심비가 작을수록 해석값에 근접하고 있어, 이론해석에서 적용한 세장비를 고려한 좌굴계수나 강도저감계수가 스테인리스 원형강관에 대해서는 별도의 값이 적용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더 많은 실험에 의해 확증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