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추진체계

Search Result 2,44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Framework for Information Standard and Guideline (정보화 사업을 위한 표준/지침 분류체계 연구)

  • 변현진;문재영;신신애;이헌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436-438
    • /
    • 2004
  • 전자정부의 고도화 등 정보화 사업의 규모가 확대되면서 성공적인 정보화 사업의 추진을 위한 표준 및 지칭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 표준 밀 지칭은 조직의 지식, 인력, 정보기술, 업무, 시스템 등의 정보자원과 정보화 추진 절차 및 사용자/개발자 관점에 따라 체계적으로 개발되고 개선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정보화 추진을 위해 필요한 표준 일 지침을 분류하는 다양한 과정을 통합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침 및 표준을 관리, 개발할 수 있는 분류체계를 제시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향후 정보화 표준/지침의 개발을 위한 방향을 모색한다.

  • PDF

A Study of the Informatization System in North Korea (북한의 정보화 추진체계에 관한 연구)

  • Park, Mun-woo
    • Informatization Policy
    • /
    • v.18 no.3
    • /
    • pp.69-87
    • /
    • 2011
  • North Korea has been striving to promote a national informatization strategy after getting through the period of 'Arduous March'in the 1990s. First of all, North Korea has made organizations required for implementing the national informatization strategy. They reorganized and created the Science & Education Ministry, the Machine & Industry Ministry, and the 21 bureau under the Workers' Party of Korea while making special units in the Royal Mail, Royal electron & industry,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nder cabinet. Then they completed all the essential organizational system for informatization including newly built specialized agencies: 'Korea Computer Center; KCC' & 'Pyongyang Informatics Center: PIC'. But North Korea's informatization system has a rigid hierarchy. All the organizations in the hierarchical system are controlled by the Workers' Party of Korea. It means that North Korea consider IT as a tool for the centralized control of the Party and the government. So, thes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informatization system clearly give us a picture that tells us what they want from the national informatization and where they're going.

  • PDF

An Analysis on the Implementation Framework of the Selective Public-Benefit Direct Payment (선택형 공익직접지불제도의 추진체계 분석)

  • Chae, Hong-Gi;Kim, Se-Hyuk;Kim, Tae-K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3
    • /
    • pp.390-397
    • /
    • 2021
  • The selective public-benefit direct payment is a system that provides subsidies to farmers that improve the public benefit of agriculture. However, there are limits in improving the public benefit since the current system simply integrates the prior direct payment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ublic benefit of agriculture by reorganizing the implementation framework. This study use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analytic network process to set the priority of the system and propose an implementation framework.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51 experts for about two months from August 2020. Study results show that the most important goal of the system is its effectiveness. The public beneficial implementation framework of the selective public-benefit direct payment is bundle type. Meanwhile, the effects of the subcategories of the bundle type lack researc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pilot project for the bundled type system and systematically establish policie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pilot project. This study provided indicators about policy directions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selective public-benefit direct payment (pl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n objective basis for government policies related to the reform of selective public-benefit direct payment systems in the future.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planning process 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 (GSI) in the public building in Gyeongsangnam-do (경상남도 공공청사형 그린빗물인프라(GSI) 조성 체계 구축)

  • Lee, Hyojung;Shin, Hyunsu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4
    • /
    • pp.301-310
    • /
    • 2023
  • Since 2013,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been promoting the '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 (GSI) application project', a small-scale distributed stormwater management method, and supporting installation costs. So, the number of local governments that want to apply for 'GSI applied projects' is increasing every year. 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Seoul, which introduced the 「Low Impact Development Prior Consultation System」, each local government has difficulties because there is no guideline or implement system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scope and priority setting of public buildings in Gyeongsangnam-do, the review of the GSI application effect in the pilot study area,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implement system will be proposed as a result of the study.

우리나라 보건의료 정보체계와 정보화사업의 현황 및 문제

  • Lee Yeong-Seong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1.04a
    • /
    • pp.1-26
    • /
    • 2001
  • 국가 보건의료체계(health care system)가 올바르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의료체계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간의 유기적인 상호 작용이 대단히 중요하다. 정보체계는 이러한 유기적인 상호 작용을 위해 보건의료체계의 각 영역에서 꼭 필요한 시스템이다. 보건의료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 투입하는 자원의 개발과 배치 체계는 물론 생산된 보건의료 서비스를 소비자가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전달체계(delivery system)의 전과정에서 보건의료정보체계는 중요한 인프라가 되고 있다. 정보체계는 궁극적으로 보건의료체계가 지향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짜여져야 한다. 다시 말해, 의료체계의 각 하부영역에서 의료이용의 접근성(accessibility), 형평성(equity), 서비스의 의과학적 질(scientific technical quality), 포괄성(comprehensiveness) 등 보건의료체계가 추구하는 가치를 정보체계에서도 그대로 담아 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정보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요건으로 각 사업 영역별 표준화, 사업 영역간의 상호관계, 공공과 민간의 역할 분담, 정보 관련 시선과 인력, 정보기술 등의 인프라, 각 사업 영역별 정보화에서 담아야 할 정보 내용(contents, DB) 등에 대한 사전 기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그 동안 보건의료분야의 정보화사업은 1996년부터 보건소기관의 행정, 진료, 보건 업무지원을 위한 보건소정보화사업과, 1995년부터 초고속공공응용서비스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해 온 전염병, 혈액유통, 장기이식, 외래진료예약, 원격진료, 응급의료, 원격치매진료 시스템 구축사업 등이 있으며, 응급의료, 혈액관리, 장기이식, 전염병정보, 외래진료예약시스템을 통합한 보건의료정보통합서비스시스템(1998년) 구축사업 등이 있었다. 이러한 사업들에 대해 현재 평가되고 있는 문제점들로는 정보화 사업에 대한 전략과 비젼이 부재한 상태에서 지나치게 정보기술 중심으로 추진되다 보니 보건의료 정보의 공유나 활용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거나 매우 제한적이었고, 시범사업의 경우는 초기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주체가 명확하지 않았고, 관련 인력의 훈련과 양성이 안 되었으며, 사업 확대를 위한 법적 기반의 취약, 정보화 사업이 부실한 데 대한 평가 기준과 대안 제시 등이 매우 취약한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 내용과 DB 구축을 위한 표준화 등에 대한 사전 설계 부재는 개발된 정보시스템의 운영을 결정적으로 어렵게 만든 요인이 되고 있다. 전반적으로 기존의 정보화사업은 사업 추진을 위해서 꼭 필요한 비젼 수립, 비젼에 따른 목표 설정, 전략 개발, 관리체계 구축, 운영방안 수립 등 단계적인 정보화 계획이 부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 보건의료정보체계 구축을 위한 종합 비젼 기획(ISP)이 시급한 실정이다.

  • PDF

Propulsion Technologies of Supercavitating Rocket Torpedo, Shkval (초공동 로켓 어뢰 Shkval 추진기술)

  • Kim, Yoon-Gon;Nah, Young-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383-387
    • /
    • 2011
  • The supercavitating rocket torpedo SHKVAL was analyzed in view of its system operation procedure and the structure and performance. 3 different propulsion systems installed in SHKVAL were 1st solid rocket booster for launch and acceleration, 2nd solid rocket booster for further acceleration, and Mg-rich Hydroreactive fuel rocket propulsion system for cruising. The gas generator used to help generate the supercavitation bubble was composed of a solid propellant gas generator and a hydroreactive fuel one. The structures and their performance were described based on as much knowledge as we have obtained from cumulative information and up-to-date analysis.

  • PDF

An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Plan of Analysis of Factory for Systematical Construction of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 (체계적인 CIMS 구축을 위한 공장진단의 소개 및 활용방안)

  • 정귀훈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4
    • /
    • pp.337-346
    • /
    • 1995
  • 급변하는 기업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여 기업의 궁극적인 목적인 이윤 추구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단순한 노동생산성 향상, 국부적인 개선/합리화, 일부분의 전산화, 단위 공정의 자동화 등을 통한 부문별(기능별) 자동화로는 생산성 향상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보다 체계적이고 종 합적으로 관련 업무를 추진하려면 진단 업무를 통하여 대상부문의 문제점들을 도출하여 그 문 제점들을 종합적으로 해결하는 차원에서 일관성 있게 추진하여야 될 것이다. 이러한 진단 활동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관련된 모든 부문의 현상 파악 및 문 제점 도출에 직접적으로 지원을 할 수 있는 핵심 요원으로 구성된 전담 추진 팀을 구성함은 물 론이고 전문 기관 또는 학계와 공동으로 추진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여겨진다. 현대중공업 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하여 엔진사업본부의 POPICS와 플랜트 사업본부의 PINES가 학계와 공동연구로 추진 중에 있다. 이러한 일련의 TFT 활동을 통해 좋은 결실을 얻기 위해서는 참여하는 핵심 요원은 물론이고 해당되는 부문의 모든 임직원의 Mind 형성 및 적극적인 참여가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이와 같은 사업본부 단위의 대형 과제를 추진하려면 시스템화 지향이 우선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분적인 최적화 노력보다는 전체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 Defense PKI for Information Assurance (정보보증을 위한 국방PKI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김종문;남길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637-641
    • /
    • 2002
  • 현재 국방부는 국방 정보 통신망에서 소통되는 정보에 대한 기밀성 및 무결성을 보장하고, 접근통제, 사용자 식별 및 인증, 부인봉쇄 등의 보안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국방 인증체계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은 미 국방부의 미 국방 PKI를 연구하고, 현재 우리 군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방 인증체계 구축 노력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앞으로 우리 군이 국방 인증체계 구축을 위해 추진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Deduction of the Policy Issues for Activating the Geo-Spatial Big Data Services (공간 빅데이터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도출)

  • Park, Joon Min;Lee, Myeong Ho;Shin, Dong Bin;Ahn, Jong Wook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3 no.6
    • /
    • pp.19-29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suggesting the improvement plan of political for activating the Geo-Spatial Big Data Services. To this end, we were review the previous research for Geo-Spatial Big Data and analysis domestic and foreign Geo-Spatial Big Data propulsion system and policy enforcement situation. As a result, we have deduced the problem of insufficient policy of reaction for future Geo-Spatial Big Dat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political basis service activation, relevant technology and policy, system for Geo-Spatial Big Data application and establishment, low leveled open government data and sharing system. In succession, we set up a policy direction for solving derived problems and deducted 5 policy issues : setting up a Geo-Spatial Big Data system, improving relevant legal system, developing technic related to Geo-Spatial Big Data, promoting business supporting Geo-Spatial Big Data, creating a convergence sharing system about public DB.

A Study on Tasks for the Legal Improvement for the Governance System in Cybersecurity (사이버안보 추진체계의 제도적 개선과제 연구)

  • Park, Sangdon;Kim, Injung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3 no.4
    • /
    • pp.3-10
    • /
    • 2013
  • Cyber attacks are threats to national security. Today, cybersecurity threats have various types, the theft or spread of privacy and national secret, the realization of direct attacks to infrastructure and the hacktivism with political or social objectives. Furthermore, There are special situations in South Korea because of North Korea's threats. Thus, It is necessary to handle cybersecurity as a kind of national security problem. It is a time to identify problems of governance system in cybersecurity and to improve related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There are several tasks for legal improvement for governance system in cybersecurity. They are improving legal bases for the roles of the relevant authorities in cybersecurity, consolidating national joint response to cyber accidents, establishing and vitalizing information sharing system, constructing foundation of cybersecurity through industry promotion and manpower development, and acquiring defensive tools by enhancement research an development. In order to address these challenges, it is necessary to pay much attention to enactment and to revision laws and to practice legislative proced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