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추진전략

Search Result 2,39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전국민 과학화 운동의 추진전략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12 no.7 s.122
    • /
    • pp.6-7
    • /
    • 1979
  • 전국민의 과학화운동은 국가발전의 원동력인 과학기술의 지속적인 진흥을 위한 밑거름과 균형잡힌 사회발전을 위해 우리의 의식구조를 합리화시켜 근대화하자는 국민운동이다. 국민 모두가 과학적인 사고방식을 익혀 생활화 함으로써 우리가 목표로 하고 있는 고도산업사회와 복지국가건설을 이룩할 것이다. 이렇듯 우리는 앞으로 이룩해야 할 고도산업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국민전체가 과학기술의 소양을 길러 과학을 알고 한가지 이상의 기술을 익혀야 한 것이다. 다음은 과기처가 제공한 전국민과학화운동의 추진전략이다.

  • PDF

A Study on Typology of Alliance Portfolio Strategy by Korean Manufacturer (한국제조기업의 국내외 제휴 포트폴리오 전략 유형에 관한 연구)

  • Choi, Won-Woong;Yu, Cheon;Jung, Hun-Joo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20 no.4
    • /
    • pp.121-14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ategy of alliance portfolio and to compare the firm's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capabilities of each strategy for the successful utilization of alliance. We conducted a cluster analysis and ANOVA on 477 samples, which have alliance experience among the manufacturers responding to the Business Survey by Statistical Office in both 2012 and 201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firms have alliance portfolio based on strategy such as exploration, exploitation, and ambidextrity.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patents, technology capability, marketing capability, and global capability among the alliance portfolio strategy type.

국방연구개발의 전략적 대응

  • O, Jae-Geo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9 s.175
    • /
    • pp.10-19
    • /
    • 1993
  • 주요 선진국들은 21세기 신기술 조류에 대처하기 위해 자국의 두뇌집단을 최대한 활용하여 미래의 신기술, 신상품 개발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제환경은 지역 이기주의에 바탕을 둔 경제 블록화와 신 GATT 체제하의 경제질서를 형성하며 기술보호 장벽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이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우리는 민수.방산 공용기술개발의 Spin-off효과를 극대화 시키면서, 현재 추진되고 있는 신경제계획과 연계된 국방연구개발의 전략적 추진을 전개해야 합니다

  • PDF

IT839전략과 정보보호

  • 홍도원;염용진;정교일;지성택
    • Review of KIISC
    • /
    • v.14 no.5
    • /
    • pp.23-31
    • /
    • 2004
  • IT839란 새로운 정보통신 서비스를 도입하여 첨단 인프라의 구축을 앞당기고 이를 바탕으로 IT분야의 성장 동력을 이끌어내려는 것으로 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추진되는 전략이다. IT839전략은 IT신기술이 국가사회전반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 지식기반사회보다 한층 고도화된 u-Korea라는 지능기반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밑거름이기도 하다. IT839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정보보호 핵심기술의 개발과 제공이 필수적이며 특히 새로운 정보통신 서비스에 대한 정보보호 대책이 적시에 제공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IT839전략에 필요한 정보보호 관련 요소들을 점검하고 정보보호 핵심기술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한다.

구조개편과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는 자동차산업

  • Lee, Hang-Gu
    • The tire
    • /
    • s.239
    • /
    • pp.10-21
    • /
    • 2009
  • 최근 세계 자동차업계는 구조개편과 혁신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미국 빅 3의 회생을 위해 미국 정부가 직접 나서서 구조조정을 독려하고 있으며, 유럽의 소형차 업체인 폭스바겐과 피아트는 세계 1위와 2위 자리를 목표로 인수합병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일본 지동차업계도 감원을 최소화하면서 대대적인 비용절감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 중국정부는 자국 자동차산업에 대한 통제와 지원을 강화하면서 추격 전략에서 선도 전략으로 육성 전략을 전환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산학관 협력을 통한 자동차업체간 첨단 기술 개발 경쟁도 심화되고 있다. 적자에 허덕이고 있는 자동차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각국 정부가 대규모 구제 금융과 연구개발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가시화되고 있는 세계 자동차산업의 구조개편과 혁신 전략에 대해 살펴보고 타이어업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기로 한다.

  • PDF

A study on Establishing National Defence Shared Data Environment (SHADE) (국방 데이터공유환경 구축에 관한 연구)

  • Lee, Hak-Rae;Lee, Sang-Hoon;Lee, Tae-K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c
    • /
    • pp.1725-1728
    • /
    • 2002
  • 국방부는 90년대 후반부터 국방정보체계 구축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정보체계의 상호운용성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는 국방 정보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추진하고 있다.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는 정보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목표를 국방통합정보체계 구축으로 설정하고 이를 구성하는 요소로 국방정보체계표준, 공통운용환경, 데이터공유환경을 식별하고, 이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국방정보체계표준은 선정되어, 국방전반에 대하여 효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공통운용환경은 우리의 국방환경에 적합한 추진방향을 선정하였으나, 데이터공유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전략 및 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추진사례와 우리나라 국방 현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우리의 현실에 맞는 데이터공유환경(SHADE)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 및 방법을 제시하며, 그 내용으로는 먼저 현 국방 데이터 관리 실태 분석을 통하여 현 상황을 인식한 후, 구축하고자 하는 목표을 설정하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추진 전략 및 방향, 업무와 관련된 조직 및 인원에 대한 임무, 단계별 추진 과제 등을 식별하고 데이터공유가 요구되는 조직 및 체계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관리 절차와 데이터 상호운용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접근방법을 제시한다.

  • PDF

스마트 코리아를 위한 IT R&D 추진전략

  • Kim, Heung-Nam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1
    • /
    • pp.30-37
    • /
    • 2011
  • 아이폰으로 촉발된 스마트 혁명이 우리의 생활상과 글로벌 시장의 경쟁구도, IT의 역할을 진화시키고 있다. 스마트 혁명으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정보와 콘텐츠 소비가 가능해지며, 소비자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문명의 이기를 마음껏 누리고 있다. 시장의 경쟁 구도는 플랫폼과 SW 콘텐츠에 대한 혁신적 성향을 가진 사업자들이 자사의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스마트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에 전통적인 IT 사업자들은 시장에서 쇠퇴하는 위기도 맡고있다. 우리나라는 스마트 혁명에 뒤늦게 합류하였지만, 스마트 혁명을 주도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적 정책적 노력을 진행 중이다. 그 동안의 기기 경쟁력을 기반으로 스마트폰, 3D TV 등의 첨단부문에서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성공하였다. 그럼에도 지식 기반의 혁신기업들이 IT시장을 선도하며, 국내 IT는 다시금 힘겨운 노력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우리는 SW와 콘텐츠, 플랫폼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역량 확보에 미진한 점을 인정하고 산학연이 연계하여 다양한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있다. 본고에서는 스마트 코리아 실현을 위한 IT R&D 추진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지식기반 기업들의 시장내 확산에 대응하여, 우리나라 IT현황을 재검토하고 미래 스마트 시장에 대한 대응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미래 IT의 역할은 단순히 기기 서비스 기반의 스마트 라이프 실현을 넘어, 유관산업의 신시장 개척, 글로벌 이슈 해결까지 확장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IT를 기반으로 스마트코리아 실현을 위해서는 전방위적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스마트 IT기술의 특성과 산업내의 IT 진화 및 역할 변화를 고려할 때 창의형 원천연구, IT융합기술, 메가프로젝트 추진, 모바일 이후 시대의 학제적 연구를 장기적인 관점의 IT R&D 전략으로 제안하고자한다.

A Study on a GIS ISP Model for Local Governments to Overcome the Problems in a Transition Period (지자체 GIS의 과도기적 문제점 극복을 위한 GIS 정보화 전략계획(ISP) 수립모델 연구)

  • 고광철;김도훈;김은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415-421
    • /
    • 2004
  •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추진하고 있는 지자체 GIS사업은 기술의 발전에 비해 제도, 교육, 사용자의 마인드, 유지관리 활동, 향후 사업 구상 등에서 상대적인 빈곤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렇듯 신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다양한 제반 여건들이 동반적으로 성숙하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을 과도기적 현상1)으로 진단하고 있다.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GIS를 도입한 지자체에서는 이러한 과도기적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새롭게 GIS를 도입하고자 하는 지자체에서도 타 지자체에서 모니터링을 통해 간접적으로 과도기적 현상을 경험함으로 인해 효과적인 사업 추진을 구상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지자체의 경우 중앙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사업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현재의 GIS 사업의 추세가 단순한 공간정보 중심의 사업이 아닌 다양한 속성정보와의 연계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자체 GIS정보화의 방향은 예전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간파해 야 하는 현실에 놓여 있다. 이와 같은 지자체 GIS의 과도기적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보기술의 빠른 변화속도와 외부환경의 극심한 환경변화의 상황에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관계를 진단하고, 변화에 대한 예측과 대비, 중요한 일과 급한 일을 구분한 총체적인 밑그림의 마련과 실행계획의 수립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지자체 GIS의 문제 해결의 노력이 단숨에 바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고, 또한 현재 추진된 사업을 기반으로 중복투자의 방지와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위한 투자의 노력이 장기간의 시간적 개념속에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이를 이끌어줄 가이드가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총체적인 지자체 GIS의 계획마련을 위해 건설교통부에서는 ‘국가지리정보구축 및 활용등에 관한 법률’상에 계획 수립의 항목을 명문화하고, 나아가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에 관한 지침작성을 위한 노력을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일련의 현실을 감안하여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을 체계적이고 실질적으로 수립할 수 있는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모델’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사항임에 분명하다.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 모델은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의 효과로 하고 있으며, 형식적 측면에서는 GIS특성을 반영한 전략계획 수립의 방법론적 측면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처 실제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9단계를 설정하고 각각의 단계에 대한 중심활동을 바탕으로 지자체에서 실제 전략계획 수립에 필요한 지침을 작성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 PDF

Strategic Approach for South-North Korea's S&T Cooperation (남북과학기술협력에 대한 전략적 접근: 향후 추진전략과 협력과제 도출을 중심으로)

  • Son, Ju Yeon;Kim, Si-jeoung;Lee, Jang-Jae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0 no.1
    • /
    • pp.153-174
    • /
    • 2017
  • This study tried to suggest South-North Korea's S&T cooperative strategies and priority areas using mixed-methodology. First,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of scientists how they think about these issues. We surveyed scientists whose names are on the KOFST mailing list and analyzed 485 questionnaire responses. After that, experts who are participating in FGI discussed more deeply about the survey results and suggested the feasible strategies and projects. The results suggest some findings about priority cooperation area, new projects and strategies. Priority areas of S&T cooperation are following; agriculture, electricity & energy, and health care. However, more important thing than these priority areas is how to approach the inter-Korean S&T cooperation. More strategic approach is needed while promoting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with north-korea. Also more long-term approach is needed to maintain the sustainability of this S&T co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