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추진전략

Search Result 2,39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전략기술로드맵(STRM)추진을 통한 전략-연구개발 통합에 관한 연구 - ICT 전략기술도출과 로드맵 추진을 중심으로 -

  • Lee, Won-Il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647-651
    • /
    • 2008
  • 본 연구는 ICT 기술 중심의 연구개발조직에서 기술혁신의 인프라로서 전략기술로드맵(STRM)의 추진에 있어 주요한 성공요인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략기술로드맵의 개념과 특성을 밝히고 실제 기술개발조직에서 추진되어지는 프로세스와 실제 추진 성공요인을 조직역량이론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전략기술로드맵 추진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명제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기술혁신을 추구하는 연구개발조직에서는 전략기술로드맵 성공을 위한 상위경영층의 지원, 핵심기술도출 및 로드맵 추진의 적절성 및 기술정보활용을 위한 조직내 역량을 강화시켜야 함을 고찰할 수 있었다. 전략기술로드맵(STRM) 추진시 성공을 위한 제반 조직적 요인을 고찰한 본 연구는 향후 기술역량의 지속적 탐색과 활용 및 기술혁신의 인프라로서 기술로드맵을 추진하려는 연구개발 조직에게 큰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D Policy in Informations Industry under WTO/TR (WTO/TR 환경하에서의 정보통신 연구개발 정책방향)

  • Kim, Ju-Seon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1 no.1 s.39
    • /
    • pp.133-145
    • /
    • 1996
  • 본 고에서는 국내외적인 환경변화에 중점을 두고,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해나가기 위한 새로운 정보통신 연구개발정책방향 및 추진전략방향을 제시하였다. 추진전략을 위한 기본방향으로는 서비스, 기기, 부품, S/W의 유기적.종합적 기술개발을 추구하는 통합전략, 기술발전단계에 따른 차별적 정책의 추진과 관련된 차별화전략, 연구개발의 국제화와 관련된 국제화전략, 기술분야, 기술성격, 기술수준별 우선순위 설정을 통한 집중육성과 관련된 특화전략, 각 연구주체별 역할 정립을 통한 역할분화전략을 제시하였다.

항공산업 발전비전과 세부 추진전략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Aerospace Industry
    • /
    • v.79
    • /
    • pp.4-9
    • /
    • 2002
  • 지난 7월말 산업자원부와 경제5단체는 세계 4강 실현전략을 담은 ''''2010 산업비전과 발전전략: 산업 4강으로의 길''''을 확정, 발표한 바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미래전략산업의 하나로 분류된 항공산업분야에서 2015년까지 헬기, 훈련기 수출국으로 도약, 세계 10위권 항공업체 육성과 우리나를 항공전자 등 주요 부품의 세계 공급기지로 발전시키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다음은 ''''2010 산업비전과 발전전략''''에서 밝힌 항공산업의 발전 가능성 및 당면 문제점, 항공산업 발전비전, 과제별 세부 추진전략을 중심으로 정리했다.

  • PDF

THE STRATEGIC CONSEQUENCES OF A SOUTH KOREAN NUCLEAR SUBMARINE -RISKS AND REWARDS FOR THE US-ROK ALLIANCE-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확보를 위한 도전과 과제 -한미동맹 측면에서의 전략적 효용성을 중심으로-)

  • Yu, Jihoon;French, Erick
    • Strategy21
    • /
    • s.42
    • /
    • pp.114-153
    • /
    • 2017
  • 고도화 및 가시화되고 있는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Submarine Launched Ballistic Missile)'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수단으로써 핵추진잠수함의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핵추진잠수함의 전략적 가치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주변국과의 갈등과 국제사회의 비핵화 규범의 미 준수 논란 등 핵추진잠수함 확보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대·내외의 정치·외교적 파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 또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핵추진잠수함의 필요성 및 확보와 관련한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논의들은 한국의 '내부적 논의(Just our own scenario)'에 그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전략무기체계로써의 상징성과 그에 따르는 대외적 민감성을 고려 시 일방적이고 독자적인 핵추진잠수함 확보노력은 과정상의 시행착오와 불확실성을 더욱 가중시켜 정책적 실패로 귀결될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한반도 평화와 아태지역의 안전보장이라는 공동의 전략적 목표를 공유하고 있는 동맹국인 미국의 공감대와 지지가 뒷받침되지 않은 독자적인 핵추진잠수함 확보노력은 큰 난항이 예상되며 자칫 서로간의 '전략적 신뢰(Strategic Trust)'를 무너뜨려 '한미동맹의 결속력(Alliance Cohesion)'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미국의 동의와 지지에 기반한 핵추진잠수함 확보를 위해서는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확보가 동맹의 전략목표 및 미국의 전략적 이해관계에 미칠 수 있는 긍정적, 부정적 효과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한미동맹의 공동의 전략목표와 미국의 전략적 이익에 상충하는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확보시도는 성공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실화되고 있는 북한의 핵위협에 대응하고 지역안전보장에 기여할 수 있는 미국과의 연합방위력 증강차원에서의 한국의 핵추진잠수함의 전략적 효용성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확보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대·내외의 기술적, 정치·외교적 사안들을 살펴본 후 한미동맹 차원에서의 정책적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유사한 역사적 사례연구를 통해 교훈을 도출하였으며, 미국 오바마 1기 행정부에서 미국의 아태지역 및 대북정책을 주도한 전 미국 국무부부장관 제임스 스타인버그(James Steinberg) 및 여러 미국 내 한반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본 연구가 한국의 핵잠수함 확보를 위한 한미간 발전적 논의의 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정책전략 - 지식재산 강국 실현전략

  •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 Journal of Korean Electronics
    • /
    • v.29 no.9
    • /
    • pp.25-27
    • /
    • 2009
  • 지식재산 강국 실현 전략의 추진 배경으로 '90년대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지식재산이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되는 지식기반 경제로 전환됨에 따라, 선진기업들은 핵심지식의 축적 개발 활용에 집중하는 지식재산 전략을 추진하여 지식기반 글로벌 경쟁체제에 대응하고, 세계 주요국 정부는 지식재산 전략을 국가발전의 핵심정책으로 추진했다.

  • PDF

국가측지 VLBI 사업의 추진전략

  • 김두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04a
    • /
    • pp.3-8
    • /
    • 2003
  • 우리 나라에서도 세계적 추세에 따라 세계공통으로 사용되는 $\ulcorner$세계측지계$\lrcorner$ 에 의거한 신국가기준좌표계를 결정하고, 대한민국경위도원점을 고정도로 유지 관리하기 위해 국립 지리원이 주관해서 측지 VLBI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추진되는 측지 VLBI 사업이기 때문에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면밀한 사전조사 연구와 추진전략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국가측지 VLBI 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추진전략에 대해서 논하였다.

  • PDF

BcN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김형수
    • TTA Journal
    • /
    • s.96
    • /
    • pp.39-47
    • /
    • 2004
  • 정부의 IT839 추진전략의 핵심 축을 담당하고 있는 BcN 계획은, 곧 시범사업을 거쳐 본격적인 상용 서비스가 시작될 시기에 이른 만큼, ITU(국제전기통신연합)의 차세대통신망(NGN) 표준화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현 시점에서 취해야 할 추진전략의 고려사항으로 그 역할과 기대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본 고에서는 먼저 ITU에서 진행해온 NGN 표준화(국내에서는 광대역통합망(BcN)으로 명명되었으나, NGN과 동일한 혹은 유사한 내용을 공유하고 있다) 현황에 대한 일반적인 개요를 간략히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현재 FG NGN과 SG13의 상황을 살펴본다. 또한 정통부에서 추진 중인 BcN 구축계획 및 추진전략을 조망해 보고 국제표준화와의 관계를 간략히 검토해 본다.

  • PDF

해기사 수급 차질과 추진전략 및 과제

  • 전영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23-125
    • /
    • 2022
  • 외항상선 해기사 수급차질 현황을 진단하고 현 상황 지속 시 해기단절 상황을 추정한 후 해기전승을 위하여 향후 10년간 외항상선해기사 연평균 7,500명 유지, 1항·기사와 2항·기사 이직률 30% 감소, 선·기장과 3항·기사 이직률 10% 감소 및 승무경력단절 해기사 복귀 인원 연 80명의 목표를 제시한 후 이를 달성하기 위한 추진전략 및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 PDF

Life & Communication - 표준 전략 vs. 비표준 전략, 최후의 승자는?

  • Lee, Hyeon-U
    • TTA Journal
    • /
    • s.140
    • /
    • pp.128-129
    • /
    • 2012
  • 국가 차원에서 표준의 의미는 산업 육성에 있고, 기업의 입장에서 표준의 의미는 수익의 극대화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기업이 어떤 차별화된 기술을 보유하고 있을 때 이것을 규범적 표준화를(De Jure) 추진할 것인지, 사실상의 표준화를(De Facto) 추진할 것인지 아니면 개방하지 않고 독점적이고 폐쇄적으로 활용할 것인지는 전적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전략이 기업에 최대의 수익과 이익을 가져올 것인지에 달려 있다. 이번 글에서는 3가지 전략의 장단점과 사례를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outh Korean SDI Good Practice for Developing Countries (개발도상국을 위한 NSDI 추진전략 - 대한민국 SDI 구축사례를 기반으로)

  • Kim, Eu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259-263
    • /
    • 2010
  • 본 논문은 개발도상국을 위한 국가공간정보기반(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이하 NSDI) 추진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1995년부터 그동안 국가GIS 3단계에 걸친 우리나라 공간정보기반(Spatial Data Infrastructure: 이하 SDI)구축 성과에 대한 평가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런 우리나라 SDI성과에 대한 분석과 평가는 기존의 문헌조사 및 전문가 20인의 델파이조사를 토대로 하였다. 아울러 개발도상국 SDI의 SWOT분석을 수행하였고, 이와 함께 우리나라 SDI사례를 바탕으로 한 개발도상국을 위한 NSDI 추진전략을 모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