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추진방식

Search Result 1,26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he State of the Art on Propulsion System for Submarine (잠수함 추진체계 기술현황)

  • 공영경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8 no.2
    • /
    • pp.1-17
    • /
    • 1994
  • 잠수함추진방식은 크게 원자력 추진과 재래식 추진으로 나눌수 있다. 최근에는 재래식 추진방식과 하이브리드 개념으로 운용될 수 있는 AIP(Air Independent Propulsion)방식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AIP추진으로는 폐회로 디젤기관추진(Closed Cycle Diesel Engine Propulsion), 연료전지추진(Fuel Cell Propulsion), 스터링기관추진(Stirling Engine Propulsion) 및 폐회로터빈추진(Closed Cycle Turbin Propulsion) 등이 있다. 이러한 잠수함 추진체계에 대해 앞으로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 그 현황과 발전추세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초기의 순수전기추진방식으로 불리는 재래식 추진체계, 재래식 추진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외기와 무관한 추진장치인 폐회로 추진체계,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에너지의 문제로 귀착되어 거의 무한대의 에너지원을 가지고 있는 원자력 추진체계로 구분하여 그 현황과 발전내용을 살펴 봄으로써 잠수함추진체계의 국내연구 개발방향정립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합니다. 또한 차세대 추진장치로 불리는 전자유체 추진방식에 대해서는 한국박용기관 학회지 1993년 4월호 "박용전자유체(MHD) 추진장치"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조하시기 바랍니다.

  • PDF

잠수함 및 어뢰의 추진체계 현황 1

  • 공영경
    • 전기의세계
    • /
    • v.43 no.7
    • /
    • pp.7-22
    • /
    • 1994
  • 잠수함추진방식은 크게 원자력 추진과 재래식 추진으로 나눌수 있다. 최근에는 재래식 추진방식과 하이브리드 개념으로 운용될 수 있는 AIP(air independent propulsion)방식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AIP 추진으로는 폐회로 디젤기관추진(closed cycle diesel engine propulsion), 연료 전지추진(fuel cell propulsion) 스터링기관추진(stirling engine propulsion) 및 폐회로터빈추진(closed cycle turbine propulsion)등이 있다. 이러한 잠수함 추진체계에 대해 앞으로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 그 현황과 발전추세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추진계 방식에 따른 정지궤도 복합위성의 구조설계 비교연구

  • Park, Jong-Seok;Choe, Jeong-Su;Kim, Hyeong-Wan;Choe, Jae-Dong;Kim, Chang-Ho;Han, Jo-Ye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79.1-179.1
    • /
    • 2012
  • 정지궤도 복합위성 2호는 현재 기상 및 해양관련 관측임무를 수행중인 천리안위성의 임무승계를 위해 현재 개발이 진행 중이다. 천리안위성에 비해 수명이 확대되고, 임무 탑재체의 중량도 증가하여 추진제량의 대폭 증가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로 인해 추진제 탱크의 확장이 불가피하여 현재 가용한 탱크를 기반으로 구조체 설계에 대한 비교 연구가 수행되었다. 정지궤도위성의 추진제 탱크 수용은 크게 측면 고정식 구형 탱크의 수직 배치방식과 극 고정식 실런더형 탱크의 수평 배치방식으로 구분된다. 추진제량 확대에 따라 두가지 방식 모두 구조체 내부에 충분한 강성확보와 하중전달을 목적으로 튜브형 구조물이 적용되며, 이를 토대로 구조체 설계가 이루어 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추진계 탱크 수용 방식을 기반으로 정지궤도 복합위성에 적용될 구조체 설계 개념을 제시하고, 비교 연구를 통해 각 방식이 갖는 구조체 설계의 장단점을 기술하고자 한다.

  • PDF

An empirical study of office automation(OA) propulsion (우리나라 사무자동화(OA) 현황과 추진방향에 대한 조사 연구)

  • 전용진;박기흥
    • 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 /
    • v.8 no.1
    • /
    • pp.71-89
    • /
    • 1991
  • 최근 기업에서는 사무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조직의 특성에 맞는 사무자동화 기기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조직에 따라 OA추진 방식이 다양하므로 OA 추진현황을 분석하여 성공적으로 OA를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면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의 OA현황을 조사분석하여 기업이 OA를 추진하는데 가장 적합한 추진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개략적인 OA추진운영 현황을 파악한 후 추진특성별 운영방식과 추진운영별 도입성과를 확인하여 OA도입성과를 극대화하는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조사를 위해 OA 추진 업체와 OA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대기업의 경우 OA가 일정수준에까지 도달하였으며, 대부분 장단기계획을 수립한 후에 OA를 추진하고 있으나 투자비용 제한, 개발인력 부족, OA기기에 대한 저항감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OA를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A실무자는 단순반복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업무처리와 관리방식 개선과 같은 근본적인 업무를 거의 하지 못하고 있다. OA도입성과를 극대화하여 성공적으로 OA를 추진운영하기 위해서는 장기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실무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중대형 컴퓨터와 연계활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oderating Effect of Workforce Management on Quality Management Practice and Production Performance (품질경영 추진방식 요인과 생산성과에 대한 인력관리의 조정 효과)

  • Park, Jung-Su
    • Korean Business Review
    • /
    • v.20 no.2
    • /
    • pp.135-145
    • /
    • 2007
  • We defined quality management practice factor and workforce management factor and confirm their conformance, and examine the former affect positively on production performance. Moreover, we examine whether workforce factor have an moderate effect on 'quality management practice facor - performance' relationship, using moderate regression. As the result of empirical study on nationwide manufacturing companies, workforce management factor have an moderate effect on the relationship which means need for investment on two factors.

  • PDF

표준 암호알고리즘 국제 공모사업 동향

  • 천동현;전길수;강성우;현진수;김승주;장청룡
    • Review of KIISC
    • /
    • v.12 no.3
    • /
    • pp.77-86
    • /
    • 2002
  • 본고에서는 현재 추진중이거나 추진된 표준 암호알고리즘 공모사업에 대한 추진체계 및 현황을 파악한다. 또한 등록방식에서 공모방식으로 전환된 ISO/IEC 국제표준 선정방식의 전환 배경을 살펴보고, 현재 ISO/IEC 국제표준 후보로 제안되어 심의 중에 있는 블록암호 알고리즘 SEED의 표준화 현황을 파악한다.

선박용 전자유체 추진장치 현황 및 발전전망

  • Gong, Yeong-Gyeo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4 s.170
    • /
    • pp.64-67
    • /
    • 1993
  • 초전도 물질을 응용하는 한분야로써 지금까지의 선박 추진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추진방식인 전자유체(MHD) 추진방식은 차세대 선박 추진장치로 큰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현재까지의 연구결과 그 가능성은 충분히 입증되었다고 볼수 있으나, 실용화의 최우선 과제는 강력한 자장을 발전시키는 초전도 자석의 개발에 있습니다. 이러한 강력한 초전도 자석 개발은 수십년 내에 반드시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서, 초전도 자석을 제외한 주변분야 및 관련장치들에 대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 PDF

Working Point Control Characteristics of Pressure-Fed Rocket Propulsion System (가압방식 로켓추진기관시스템의 작동점 제어특성)

  • 하성업;정영석;이중엽;정태규;조상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3.10a
    • /
    • pp.31-34
    • /
    • 2003
  • To trace the working point of pressure-fed rocket propulsion system, direct analogy model was suggested, by which propellant mass flow rate and combustion chamber pressure were calculated from propellant tank pressures, levels and flight acceleration. In this paper, the analysis of KSR-III flight test results was taken by example, and it can be described that working point transition tendency of pressure-fed rocket propulsion system can be calculated by this direct analogy model.

  • PDF

Computational Study on Propulsive Characteristics of Propeller Axisymmetric Pod Configuration (프로펠러-축대칭 포드의 추진 특성에 대한 수치 해석적 연구)

  • Kim Dug-soo;Kim Hyung-tae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1.05a
    • /
    • pp.209-214
    • /
    • 2001
  • RANS 방정식의 수치해법을 사용해서 tractor와 pusher 방식의 포드 프로펠러 주위 점성유동을 계산함으로써 포드형 전동 추진기의 추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수치해석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최근 국내에서 모형 실험이 수행된 포드 프로펠러 형상에 대해 수치계산을 수행하고, 계산으로부터 얻어진 tractor와 pusher 방식의 포드 프로펠러에 대한 단독 성능을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포드에 작용하는 압력 및 프로펠러 날개 주위의 유동을 분석함으로써, 포드가 프로펠러의 추진 성능에 미치는 영향과 tractor와 pusher 추진 방식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 PDF

Educational Reform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Issues and Tasks (문재인 정부 교육개혁의 쟁점과 과제 : 교육개혁의 방향과 내용, 추진방식을 중심으로)

  • Shin, Hyun-Seok;Jeong, Yong-Ju;Yonn, Ji Hee
    • (The)Korea Educational Review
    • /
    • v.24 no.2
    • /
    • pp.81-114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educational reform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to analyze the its issues, and to suggest the tasks for the successful reform at the time since the government of Moon Jae-In was launched just over a year old. To attain the aim, we first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who emerged as a candlelight revolution, and what it means in terms of educational politics perspective. Under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ion, contents,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education reform policy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And the study discussed what are the major issues raised in the direction and contents, implementation method of education reform, and what are the future challenges for resolving such issues. In conclusion, based on the discussions of the issues and tasks of the education policy, in order to implement the new educational system in the future, the Moon Jae-In government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discourses related to vision and direction, educational policy to embody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give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direction, content and implementation of policy in the early stage of the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