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추정각

Search Result 4,344, Processing Time 0.04 seconds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or Azimuth estimation with SAR (SAR 영상 목표물 포즈 각도 추정을 위한 딥 콘볼루션 뉴럴 네트워크)

  • Youm, Gwang-Young;Kim, Munchur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99-101
    • /
    • 2017
  • 최근 딥러닝을 이용한 SAR 영상의 목표물을 인식하는 알고리즘이 괄목할만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알고리즘들은 포즈 각도 정보를 무시한 채 목표물의 종류를 추정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춘다. 포즈 각도 추정 알고리즘은 단지 SAR 영상 목표물 인식 알고리즘의 전처리 과정으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감시 시스템에서, 목표물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추정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먼저, 포즈 각도 추정을 통하여 적의 전술 배치를 계획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목표물이 아군 쪽을 바라보면 큰 위협이 되는데, 포즈 각도 추정을 통하여 이러한 정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목표물이 향하고 방향을 추정할 수 있는 콘볼루션 네트워크를 고안하였다. 네트워크를 학습시키기 위하여 SAR 영상의 목표물의 포즈 각도를 양자화하여 포즈 각도 label 을 구성하였다. 또한 이러한 포즈 각도 추정을 정제하는 알고리즘을 고안하였고 이는 보다 정확한 포즈 각도 추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네트워크는 포즈 각도 추정에 높은 정확도를 보여준다.

  • PDF

An Efficient Algorithm for Localizing 3D Narrowband Multiple Sources (다중표적의 효과적인 3차원 위치추정 알고리듬)

  • Lee Chul-Mok;Lee Jong-Hwan;Lee Su-Hyung;Yun Kyung-Sik;Lee Kyun-Kyu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28-231
    • /
    • 1999
  • 3차원 공간상의 표적의 위치는 방위각, 고각, 거리의 세가지요소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등각적 선배열 센서로 이루어진 3개의 부분센서배열을 이용한 3차원 표적의 위치추정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원거리 표적의 방위각 추정 알고리듬으로 근거리 표적의 방위각을 추정하면 추정된 방위각은 실제 근거리 표적의 방위각과 고각과 거리의 비선형 대수적 관계식으로 주어진다. 제안한 알고리듬은 3개의 부분센서배열에서 각각 표적을 원거리에 있다고 가정하고 원거리입체각을 추정하여 위의 대수적 관계식을 얻은 후 이들 관계식을 연립하여 실제 근거리 표적의 위치를 추정하였다. 다중표적의 경우 각각의 부분센서배열에서 추정한 원거리입체각이 어떤 표적에 대한 추정치인지 연관시켜주는 알고리듬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추정한 원거리입체각의 모든 조합으로부터 3차원 MUSIC 스펙트럼값을 비교하여 그 중 표적의 개수만큼을 선별하여 다중표적의 위치를 추정하였다.

  • PDF

Fast DOA Estimation Algorithm using Pseudo Covariance Matrix (근사 공분산 행렬을 이용한 빠른 입사각 추정 알고리듬)

  • 김정태;문성훈;한동석;조명제;김정구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0 no.1
    • /
    • pp.15-23
    • /
    • 2003
  • This paper proposes a fast direction of arrival (DOA) estimation algorithm that can rapidly estimate incidence angles of incoming signals using a pseudo covariance matrix. The conventional subspace DOA estimation methods such as MUSIC (multiple signal classification) algorithms need many sample signals to acquire covariance matrix of input signals. Thus,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DOAs of signals because they cannot perform DOA estimation during receiving sample signals. Also if the D0As of signals are changing rapidly, conventional algorithms cannot estimate incidence angles of signals exactly. The proposed algorithm obtains bearing response and directional spectrum after acquiring pseudo covariance matrix of each snapshot. The incidence angles can be exactly estimated by using the bearing response and directional spectrum. The proposed DOA estimation algorithm uses only concurrent snapshot so as to obtain covariance matrix. Compared to conventional DOA estimation methods. The proposed algorithm has an advantage that can estimate DOA of signal rapidly.

일반화혼합회귀 추정량과 베이지안 회귀추정량의 비교

  • 김주성;김영권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3 no.3
    • /
    • pp.1-9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일반화 회귀모형의 회귀모수${\beta}$에 대한 사전정보의 형태에 따른 각 추정량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사전정보가 ${\beta}$에 대한 사전분포로 주어지는 경우에 해당하는 베이지안 회귀추정량을 제시하였고, 다른 하나는 ${\beta}$에 대한 사전정보모형으로 선형회귀모형식이 주어진 경우의 일반화 혼합회귀추정량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두가지 경우로부터 얻어진 각 추정량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추정량의 공분산행렬을 이 용하여 서로 비교하여 보았다. 각 추정량의 분산비들을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일반화 혼합회귀추정량이 베이지안 회귀추정량들보다 비교적 작은 분산값을 가진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Estimation Method for the DOAs and Doppler Frequencies Using the Non-Uniformly Distributed Towed Array (비균일 분포 견인 배열을 이용한 입사각 및 도플러 주파수 동시 추정 기법)

  • 강정원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137-140
    • /
    • 1998
  • 본 논문은 비균일 분포 수동형 견인 배열 센서를 사용하여 입사각 추정은 물론, 도플러 주파수를 동시에 추정해내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균일 선형 센서 배열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수동형 견인 센서 배열 처리기법은 센서간의 등 간격구조 및 단순한 표본 과정에 기인하여 활용 분야의 한계성을 가지며, 주된 응용 분야가 방사된 음향신호의 입사각을 추정하는 데만 국한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제한성을 극복하고 방사 신호들의 개별적인 입사각 및 도플러 주파수의 동시 추정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수동형 견인 배열 센서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DoA Estimation Prformance of Interference Signal in W-CDMA using 3D Adaptive Array Antenna (W-CDMA에서 3차원 적응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방해 신호의 도래각 추정 성능에 관한 연구)

  • Lim, Seung-Gag;Kang, Dae-Soo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9 no.1
    • /
    • pp.11-17
    • /
    • 2009
  • This paper deals with the estimation performance DoA (Direction of Arrival) using the 3D adaptive array antenna in W-CDMA signal. For this, we proposed the 5 types of 3D array antenna, and appied for the MUSIC in order to the estimation of DoA algorithm for that antenna, commonly, then the DoA estimation error was used for the estimation performan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and radio positioning service, performing the spatial filtering after the DoA estimation in array antenna, the quality of receiving signal can improve by the nulling or minimization of interfering signal which is from the undesired direction and the forming of beam which is from the desired direction. The result of DoA estimation and the DoA estimation error by varying the signal to noise ration and the number of interfering signal and power of each type antenna was calculated by computer simulation. As a result of simulation, the other propose antenna has good performance excluding the stack 3D antenna in DoA estimation and the Curved-B type antenna has more superior performance when increasing the number of interfering signal and power in the DoA estimation error.

  • PDF

Near-field Target Localization using Bottom-mounted Linear Sensor Array in Multipath Environment (다중경로환경에서 해저고정형 선배열센서를 이용한 근거리표적의 위치추정기법)

  • 이수형;류창수;이철목;이균경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763-76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해저 고정형 선배열센서를 이용하여 다중경로 신호를 이용한 근거리표적의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다중경로를 통하여 근거리 표적의 신호가 센서에 도달하는 경우 각 신호의 원추각이 다르므로 신호들의 원추각과 시간차를 추정해서 3차원 표적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원거리표적으로 가정하고 추정한 원추각과 신호들의 시간차에 대한 관계식을 유도하였으며 이들을 연립하여 표적의 위치를 추정하였다. 그러나 표적이 위치한 기하학적인 위치에 따라 신호들의 원추각이 거의 같아지는 지점이 존재한다. 이 경우 부가적인 1차원 탐색으로 표적의 위치를 추정하였다.

  • PDF

Mutual Coupling Compensation for an Antenna Array and Direction Of Arrival Estimation Using ESPRIT (ESPRIT 알고리듬을 이용한 안테나 배열의 상호결합 보상과 도래각 추정)

  • Hong, Jeong-Geun;Ahn, Woo-Hyun;Seo, Bo-Seok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8 no.4
    • /
    • pp.37-42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mpensation method of a non-ideal antenna array and a computationally efficient estimation method of the direction of arrival (DOA) for the antenna array. For DOA estimation, an antenna array is essential. By using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signals of antennas, we can derive the DOA. In practice, however, mutual coupling between the elements of an antenna array change the beam pattern of each element and degrade the performance of DOA estimation. In the proposed method, we first estimate the DOA for the mid-subarray of the array, where all elements undergo relatively same coupling effect. We use the estimation of signal parameters via rotational invariance techniques (ESPRIT) algorithm to estimate the DOA. Then, we expand the array based on the estimated DOA by compensating the coupling effect.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when jamming to noise power ratio (JNR)is relative low.

Broadband DOA Estimation Techniques with Towed Hydrophone Array (견인 하이드로폰 배열을 이용한 수중에서의 광대역 신호 DOA 추정기법)

  • 강정원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465-468
    • /
    • 1998
  • 본 논문은 천해 상에서 목표물로부터 방사되어 견인 이동되는 하이드로폰을 통하여 입사되는 광대역 신호에 대한 DOA (Direction-Of Arrival) 추정기법을 제안한다. 견인 배열 어레이를 이용하는 경우 고정된 위치의 배열 하이드로폰을 사용하는 경우와는 달리 움직임에 의한 도플러 주파수 천이 값이 발생하며 배열 상에 입사되는 광대역 신호는 각 주파수성분에 따라 서로 다른 고유 벡터 영역을 갖게 된다. 따라서 주파수 성분별로 처리하여 평균 공간 스펙트럼을 구하여 입사각을 추정하는 기존의 Incoherent 처리기법은 심각한 추정 오차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 주파수 성분에 대한 고유한 벡터영역들을 Coherent 변환과정을 거쳐서 통합된 벡터영역으로 변환하여 공간 스펙트럼을 추정하고 이를 통하여 입사각을 추출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Cherent 처리기법을 이용한 입사각 추정상의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Cascade AOA Estimation Using Uniform Rectangular Array Antenna (등간격 사각 배열 안테나를 적용한 캐스케이드 도래각 추정)

  • Kim, Tae-Yun;Hwang, Suk-Se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3 no.5
    • /
    • pp.923-930
    • /
    • 2018
  •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n array antenna, the angle of arrival (AOA) information of signal is very important element and various AOA estimation algorithms have been studied. Although most AOA estimation algorithms employ the uniform linear array (ULA), some algorithms apply the planar array (PA) antenna.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lgorithm for efficiently estimating AOAs of adjacent multiple signals, based on the uniform rectangular array antenna. This approach has two steps; after approximately estimating AOA groups consisting of the closely located signal sources using CAPON, accurately estimating the individual AOA of each signal in the estimated AOA group using Beamsapce MUSIC. The estimation performance of the presented cascade AOA algorithm is illustrated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exam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