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oA Estimation Prformance of Interference Signal in W-CDMA using 3D Adaptive Array Antenna

W-CDMA에서 3차원 적응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방해 신호의 도래각 추정 성능에 관한 연구

  • 임승각 (공주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
  • 강대수 (공주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 Received : 2008.01.19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the estimation performance DoA (Direction of Arrival) using the 3D adaptive array antenna in W-CDMA signal. For this, we proposed the 5 types of 3D array antenna, and appied for the MUSIC in order to the estimation of DoA algorithm for that antenna, commonly, then the DoA estimation error was used for the estimation performan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and radio positioning service, performing the spatial filtering after the DoA estimation in array antenna, the quality of receiving signal can improve by the nulling or minimization of interfering signal which is from the undesired direction and the forming of beam which is from the desired direction. The result of DoA estimation and the DoA estimation error by varying the signal to noise ration and the number of interfering signal and power of each type antenna was calculated by computer simulation. As a result of simulation, the other propose antenna has good performance excluding the stack 3D antenna in DoA estimation and the Curved-B type antenna has more superior performance when increasing the number of interfering signal and power in the DoA estimation error.

본 논문은 W-CDMA 신호를 대상으로 3차원 적응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도래각 추정의 성능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5 가지의 3 차원 배열 안테나를 제시한 후 이들 안테나에 도래각 추정을 위한 알고리즘으로는 MUSIC을 공통으로 적용하였고, 이의 추정 성능을 위해서는 도래각 추정 오차를 이용하였다. 이동 통신과 무선 측위 서비스에서는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여 방해 신호의 도래각을 추정한 후 공간 필터링하므로서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부터의 방해 신호를 최소화 또는 널링시키고, 원하는 방향으로의 빔을 형성하므로서 수신 신호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안테나별 도래각 추정 결과와 신호대 잡음비와 방해 신호의 수와 전력에따른 도래각 추정 오차를 계산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도래각 추정의 경우 Stack 3D 형을 제외한 나머지 3D 안테나가, 도래각 추정 오차의 경우 방해 신호의 수와 전력이 증가할때 Curved-B 형 안테나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학림, 김주완,"파일롯 신호를 이용한 CDMA 통신방식용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 설계", Telecom-munication Review, 제9권, 2호, pp.133-144, 1999
  2. 경문건외 5인,"CDMA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Telecommunication Review, 제9권,2호, pp.145-185, 1999
  3. K.J.Lee, B.Y.Ahn et al,"Performance analysis of beamforming algorithms for CDMA smart antenna system", Proc. of CIC, Seoul, Korea, pp.283-287, Oct., 1997
  4. Seungwon Choi,"Design of an adaptive antenna array for tracking the source of Maximum power and Its application to CDMA mobile communication", IEEE Trans. Ant. and Prop., Vol.45, No.9, Sep, 1997
  5. 임승각, 강대수, "원형 배열 안테나의 DoA 추정 알고리즘 성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Vol.9, No.2, pp.395-400, 2008
  6. S.G.Glisic,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John Wiley & Sons Pres., 2004
  7. S.Haykin, Adaptive Filter Theory, 2nd Edition, Prentice Hall Pres., 1991
  8. 이문수역, 스마트안테나, 두양사, 2002
  9. Kaveh, M, A.J.Barabell, "The statistical performa-nce of the MUSIC and the minimum-norm algorithms in resolving plane waves in noise", IEEE Trrans. Acoust. Speech Signal Process., Vol.ASSP-34, pp.331-341, 1986
  10. Kezys, V., S. Haykin, "Multi-frequency angle-of-arrival estimator : an experimental evaluation", Proc. SPIE, Sandiego, Calif.,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