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추정가능

Search Result 4,256,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Estimable functions of less than full rank linear model (불완전계수의 선형모형에서 추정가능함수)

  • Choi, Jaes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4 no.2
    • /
    • pp.333-339
    • /
    • 2013
  • This paper discusses a method for getting a basis set of estimable functions of less than full rank linear model. Since model parameters are not estimable estimable functions should be identified for making inferences proper about them. So, it suggests a method of using full rank factorization of model matrix to find estimable functions in easy way. Although they might be obtained in many different ways of using model matrix, the suggested full rank factorization technique could be one of much easier methods. It also discusses how to use projection matrix to identify estimable functions.

Estimable Functions of Fixed-Effects Model by Projections (사영을 이용한 고정효과모형의 추정가능함수)

  • Choi, Jaesu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7 no.4
    • /
    • pp.553-560
    • /
    • 2014
  • This paper deals with estimable functions of parameters of less than full rank linear model. In general, the parameters of an overspecified model are not uniquely determined by least squares solutions. It discusses how to formulate linear estimable functions as functions of parameters in the model and shows how to use projection matrices to check out whether a parameter or function of the pamameters is estimable. It also presents a method to form a basis set of estimable functions using linearly independent characteristic vectors generating the row space of the model matrix.

Estimable functions of fixed-effects model by projections (사영에 의한 모수모형의 추정가능함수)

  • Choi, Jae-S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3 no.3
    • /
    • pp.487-494
    • /
    • 2012
  • This paper discusses a method for getting a basis set of estimable functions of model parameters in a two-way fixed effects model. Since the fixed effects model has more parameters than those that can be estimated, model parameters are not estimable. So it is not possible to make inferences for nonestimable functions of parameters. When the assumed model of matrix notation is reparameterized by the estimable functions in a basis set, it also discusses how to use projections for the estimation of estimable functions.

A Comparison of Bayesian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s in a SUR Tobit Regression Model (SUR 토빗회귀모형에서 베이지안 추정과 최대가능도 추정의 비교)

  • Lee, Seung-Chun;Choi, Byongsu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7 no.6
    • /
    • pp.991-1002
    • /
    • 2014
  • Both Bayesian and maximum likelihood methods are efficient for the estimation of regression coefficients of various Tobit regression models (see. e.g. Chib, 1992; Greene, 1990; Lee and Choi, 2013); however, some researchers recognized that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tends to underestimate the disturbance variance, which has implications for the estimation of marginal effects and the asymptotic standard error of estimates. The underestimation of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e in a seemingly unrelated Tobit regression model is examined. A Bayesian method based on an objective noninformative prior is shown to provide proper estimates of the disturbance variance as well as other regression parameters

Estimable functions of mixed models (혼합모형의 추정가능함수)

  • Choi, Jaesu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9 no.2
    • /
    • pp.291-299
    • /
    • 2016
  • This paper discusses how to establish estimable functions when there are fixed and random effects in design models. It proves that estimable functions of mixed models are not related to random effects. A fitting constants method is used to obtain sums of squares due to random effects and Hartley's synthesis is used to calculate coefficients of variance components. To test about the fixed effects the degrees of freedom associated with divisor are determined by means of the Satterthwaite approximation.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In Korea : Comparison with 2004 Result (한국 가능최대강수량 추정 : 2004년 결과와의 비교)

  • Lee, Okjeong;Sim, In Kyeong;Kim, Sang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94-194
    • /
    • 2018
  •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공식적으로 총 세 번의 전국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추정이 이루어졌다. 첫 번째는 1988년에 건설부 주도로 작성된 바 있는데, 1987년까지의 관측된 기상자료를 이용한 수문기상학적인 방법을 전국에 적용하여 한국가능최대강수량도를 작성하였다. 이후 12년 뒤인 2000년에 건설교통부 주도로 그 동안의 축적된 관측자료를 추가하여 한국가능최대강수량을 추정하였다(건설교통부, 2000a). 2000년의 전국 PMP도 추정은 WMO 보고서(WMO, 1986)를 가능한 충실히 반영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며, 과학적인 측면에서도 한층 진일보된 PMP도가 생산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태풍 '루사' 또는 태풍 '매미'와 같은 관측 최대 강우량 기록을 경신하는 대형 호우사상들이 연이어서 발생하였기 때문에, 기존에 추정된 전국 PMP도에 대한 의문이 제기됨에 따라 해당 호우들을 추가하여 전국 PMP도를 개략적으로 재산정하여 제시한 바 있다(건설교통부, 2004). 국외에서는 PMP 추정의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는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보고서(WMO, 1986)가 2009년에 수정되어 발간됨에 따라 PMP 추정절차 중 일부 방법에 대한 기술적 보완이 이루어졌다(WMO, 2009).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2008년 PMP 및 PMF 산정절차 지침 수립 용역 이후 중앙정부 차원의 전국 PMP도 생산은 더 이상 추진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2018년 현재에도 2000년 혹은 2004년에 재산정된 전국 PMP도를 그대로 수자원 실무에 이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MO(2009)에서 제시하는 방법 및 최근 국외에서 적용되고 있는 PMP 추정방식을 참고하여 1973년부터 2017년까지의 기상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PMP를 추정하여 다양한 지속시간별 영향면적별 전국 PMP도를 생산하고 기존 2004년 보고서 결과와 비교를 수행하고자 한다.

  • PDF

Bayesian Interval Estimation of Tobit Regression Model (토빗회귀모형에서 베이지안 구간추정)

  • Lee, Seung-Chun;Choi, Byung Su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6 no.5
    • /
    • pp.737-746
    • /
    • 2013
  • The Bayesian method can be applied successfully to the estimation of the censored regression model introduced by Tobin (1958). The Bayes estimates show improvements over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e; however, the performance of the Bayesian interval estimation is questionable. In Bayesian paradigm, the prior distribution usually reflects personal beliefs about the parameters. Such subjective priors will typically yield interval estimators with poor frequentist properties; however, an objective noninformative often yields a Bayesian procedure with good frequentist properties. We examine the performance of frequentist properties of noninformative priors for the Tobit regression model.

The 3D Extension of ETAM Method using Array Shape Estimation (어레이 형상 추정을 통한 ETAM기법의 3차원 확장)

  • Park Minsu;Dho Kyeong Cheol;Oh Won Tcheon;Lee Chungyong;Youn Dae-Hee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40-243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칼만 필터 방법을 이용하여 견인 어레이의 3차원 형상을 추정하고, 어레이 합성 기법인 ETAM방법이 추정된 3차원 형상에서도 적용 가능함을 입증한다. 기존의 합성 기법들은 모두 견인 어레이가 직선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가정을 필요로 하지만, ETAM 방법은 3차원 형상추정이 가능한 경우에 그러한 가정이 필요 없게 된다. 단, 3차원 어레이 형상에서 어레이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절대 좌표를 추정할 수 있으며, 어레이가 동일한 견인 경로를 따라간다는 가정이 필요하다. 컴퓨터 모의 실험 결과 신호원의 입사각을 추정하였을 때, 주엽폭과 부엽레벨이 감소하는 등 합성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Frequency Estimation Algorithm for QPSK (QPSK를 위한 주파수 추정 알고리즘)

  • 남옥우;이순규;김상규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837-840
    • /
    • 2001
  • 주파수 추정 알고리즘의 경우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 중에서 ML방법은 계산상 너무 복잡하고 구현하기 힘들며, 준-ML 방법들은 이론적인 방법과 비교해 볼 때 다소 단순하긴 하나 역시 구현상의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BWLL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단순하면서도 구현이 용이한 주파수 추정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주파수 추정기는 V&V 위상추정기를 기초로 한다. 성능분석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할 경우 최대로 정규화된 심벌율의 0.5%까지 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아날로그 영역에서의 거친 주파수 조절과정에서 다소 많은 잔류 주파수옵셋이 존재하여도 주파수 복구가 가능하다.

  • PDF

Channel Estimation for Long Delay with Orthogonal Code in MIMO System (MIMO 환경에서 직교코드를 이용한 긴 채널추정)

  • Park, Do Hyun;Kang, Eun Su;Han, Dong 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470-47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MIMO(multi-input multi-output) 시스템에서의 시간영역 채널 추정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각 안테나에서 전송되는 시간영역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구간에 직교코드를 곱하여 기존의 채널 추정보다 긴 채널 추정이 가능하다. 제안된 알고리듬을 바탕으로 다양한 길이의 직교코드를 이용하여 채널추정이 가능함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