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추월가능구간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A Study on Service Level Analysis According to Geometric Structure of Two-Lane Highway (양방향 2차로도로의 기하구조에 따른 서비스수준 분석에 관한 연구)

  • Lee, Ju-Ho;Lee, Young-Woo;Lim, Chae-M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 /
    • v.7 no.1
    • /
    • pp.47-53
    • /
    • 2004
  • 양방향 2차로 도로에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도로의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오르막 차로 및 양보차로 추월차로 등의 부가차로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부가차로 효율성의 비교 분석을 통한 연구에 의하여 기존의 도로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가차로 중 추월차로 및 양보차로가 포함된 구간을 조사하여 기하구조에 따른 교통류 특성을 분석하고 각 구간별로 서비스 수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기하구조별로 지점속도와 통행속도를 분석한 결과 지점속도는 통행속도보다 조사지점의 기하구조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아 변동이 심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통행속도는 그 기하구조에 따른 교통류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차량별 지점속도의 비교 분석에서는 현재 차량성능의 진보로 인하여 조사구간의 설계속도에 반해 중차량 및 버스-트럭, 승용에 대한 차량별 속도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존의 중차량에 대한 보정은 현장제한속도에 대하여 감안되어야 된다고 판단된다. (3) 모의실험모형과 현장조사에 의한 교통류특성을 비교해 보았을 때, 시뮬레이션은 도로의 전구간에 대한 결과는 잘 반영하고 있으나 짧은 구간에 대하여 교통류의 연속성을 파악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4) 추월가능 구간과 양보차로구간의 효율성을 비교해 보면, 추월율에서 양보차로구간이 추월가능구간보다 22.5%나 높게 나왔으며 총지체비교에서는 추월가능구간보다 5.56sec/h의 지체감소를 보이고 있다. 서비스 수준분석에서는 같은 C의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양보차로의 영향으로 양보차로 후구간의 서비스 수준이 A까지 상향되었다. 따라서 대향교통류의 영향을 받는 추월차로의 확보보다는 효율성이 좋은 양보차로구간의 보급이 많아야 되겠다.

  • PDF

A Mathematical Model for Determination of PCE's Based on Delay for Two-Lane Two-Way Highway (양방향 2차로 도로의 지체시간 산정을 이용한 승용차환산계수 결정이론)

  • 이승준;최재성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2
    • /
    • pp.149-162
    • /
    • 1999
  • One of the most important steps of the design, capacity and operation analysis stapes in the two-lane two way highways is the effect of heavy vehicle to traffic flow quality. This heavy vehicle's effect on traffic flow can be represented as PCE, which is the number of passenger cars that are displaced by a single heavy vehicle of a particular type under prevailing roadway, traffic, and control conditions.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heavy vehicles effect on volume, speed, delay, and the maneuver of freedom which are major MOE's in traffic operation analysis and PCE criterion which should be measurable, determinable and able to reflect the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determine the PCE criterion and to develop a new PCE determination method. In this study, delay is adopted as PCE criterion and, for calculation of delay, the highway is divided into the passing zone and the no-passing zone. PCE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delay due to total traffic flow interaction with the delay due to a single heavy vehicle, Also,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to determine the average PCE on the highway that has the passing zones and no-passing zones.

  • PDF

A Study of a Model for Calculating Passing Sight Distance (추월시거 산정 모형에 관한 연구)

  • 김영호;손봉수;전경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3
    • /
    • pp.75-92
    • /
    • 1997
  • 추월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앞을 바라볼 수 있어야 하는 거리를 추월시거라 한다. 적절한 추원시거의 확보는 2차선 도로의 효율성과 운전자의 안전성 제고 및 도로설계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추월시거를 산정할 수 있는 여러 모형이 개발되었으나, 실제 교통상황을 반영하기에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 모형들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각 모형의 단점과 한계를 파악하여, 운전자의 실제 추월형태를 고려한 새로운 추월시거산정모형을 개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PASS모형은 현재 미국에서 도로설계시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AASHTO모형을 보완하여 구축하였다. 기존의 모형들은 서로 다른 조건을 가정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각 모형들의 추월시거 산정값을 비교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PASS모형은 운전자의 반응시간, 차량의 길이, 차량의 가속능력 등 실제 추월시거 산정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들을 특성치로 반영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추월 상황과 현실적인 교통상황을 폭넓게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 개발한 P SS모형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와 기존의 AASHTO모형, MUTCD모형, Glennon모형을 통해 얻은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PASS모형에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특성치를 적용하여 2차로 도로의 추월시거를 산정하였다. 이 결과 현재 우리나라 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하고 있는 추월기능구간 기준인 450m가 설계속도가 낮은 일반국도에는 타당함을 확인할수 있었다. 그러나, 설계속도가 높은 화물타의 운행빈도가 높은 고속국도의 경우,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기존의 광유계 윤활제에 비하여 대단히 고가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윤활 마찰면의 다양화와 가혹한 사용조건은 자성유체 윤활제의 연구개발 필요성을 크게 증대시키고 있다.xed Effects Model)을 결정하고, 각각에 해당하는 통계모형을 구축하였다. 이 결과 (1) 업종 및 기업규모별로 그룹간에 유의한 특성이 발견되었으며, (2) R&D 및 광고투자는 기업의 시장성과를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이나, (3) R&D 투자의 경우는 광고에 비해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4) 수리모형에서 도출된 한계원리가 통계모형에서도 유효한 것으로 드러났다.등을 토대로 한 10대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과학기술부는 기술수요조사를 바탕으로 49개 주요기술을 도출하여, 과학기술 일류 국가 실현, 국민소득 2만불 달성이라는 국가적 슬로건을 내걸고 “차세대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범정부차원의 기획과 연구비의 집중투자를 추진하고 있다.달성하기 위해서는 종합류류 전산망의 시급한 구축과 함께 화물차의 적재율을 높이고 공차율을 낮출 수 있는 운송체계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라나 이러한 화물전용차선의 효과는 단기적인 치유책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물류유통 시설의 확충을 위한 사회간접자본의 구축을 서둘러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으로 처리한 Mach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3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추공 내 물리검층과

  • PDF

A Development of a Model for Estimating Traffic Delay in No-Passing Zone (추월금지구간의 지체시간 산정모형 개발)

  • 손봉수;한상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2
    • /
    • pp.133-144
    • /
    • 1998
  • 양방향 2차로 도로는 우리나라 전체 포장도로 연자의 84%를 차지하고 있다. 양방향 2차로 도로의 효율성 및 교통류의 운영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서비스 수준 척도로 지체시간의 백분율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지체시간의 산정은 특정 도로 설계구간을 추원금지구간으로 설계할 것이지, 예산을 더 투자하여 선형을 개선함으로써 추원가능 구간으로 설계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도로설계과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저속차량의 확률적 분포를 고려하여 추원금지구간에서 발생하는 지체시간을 산정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모형식이 기존에 확률적 분포를 고려하여 추월금지구간에서 발생하는 지체시간을 산정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모형식이 기존에 개발된 거시적 수학적 모형에 비해 비교적 단순하고 입력변수도 수집이 용이한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모형의 신뢰성을 현장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모혀으이 예측값이 근사적으로 츠덩한 실제 지체시간을 포함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모형의 예측값 범위가 넓어 실용적인 MOE로 사용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개략적인 평가기준으로 모형이 예측한 값의 평균값을 보정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모형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가정한 확률분포식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실제 상황을 표현하는데 있어 확률적 개념의 도입과 이러한 새로운 접근방법의 기초를 마련한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양방향 2차로 도로에서의 지체시간은 실제 소요시간과 자유운행시 즉 다른 차량의 영향을 받지 않았을 때의 속도 및 운영시간과의 차이로 정의한 바, 실제 지체시간을 현장자료를 통해 구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근사적인 지체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한 점에서 의미를 갖을 수 있다.

  • PDF

An Exploratory Development of Railway-timetable Rescheduling Model Considering Transferring Service between KTX and Conventional Train on a Double Line Track (KTX열차와 일반열차 간 접속대기를 고려한 복선구간 열차시각표 재수립 모형의 기본설계)

  • Kim, Jae-Hee;Oh, Seok-M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6
    • /
    • pp.1337-1345
    • /
    • 2009
  • In the railway, the delay of a train may affect the schedule of other trains. Hence, the timetable management activity involving overtaking and transferring becomes an important issue. The timetable rescheduling is the conflict resolution of the disrupted schedule and a matter of deciding the sequence of moves among trains and the place for meeting. In Korea, there are few cases where operations research models were applied to railway timetable rescheduling problem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fer between Korea Train eXpress (KTX) trains and conventional trains. Hence, we present a mathematical approach that can minimize the total delay of the whole trains secondly. We applied the model to the exemplary section of a double-line track, the Gyung-Boo Lin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mathematical model could effectively address the transfer service as well as the complicated railway conflicts of Gyung-Boo Line.

A Study on the Traffic Accident Characteristics Analysis in Expressway Longitudinal Tunnel using a Logit Model (로짓모형을 이용한 고속도로 장대터널 교통사고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 Seo, Im-Ki;Park, Je-Jin;AhnNam, Byung-Ho;Lee, Jun-Yo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6D
    • /
    • pp.549-556
    • /
    • 2012
  • Longitudinal tunnels are defined as tunnels with length of over 1km. Because of Korea's topographical conditions and as safety measures for linear design, many tunnels are inevitably being constructed in Korea. The number of longitudinal tunnels constructed on expressways amounted to 104 as of the end of 2010 with a total length of 192km. Given the increasing demand for tunnels and the increasing length of tunnels, a safety evaluation of longitudinal tunnels needs to be conducted. As such, this study selected design elements, transportation environment and delineation system as elements to check and tried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road crashes. For this, tunnels have been classified based on history of crashes; ones with crashes and ones without crashes and statistically meaningful explanatory variables were selected. By using these variables, a logit model was development in order to better grasp the factors that directly and strongly influence crashes. The result, related to crashes as well as the analysis were utility tunnel interior materials of driving lane and passing lane, which are related to driver's visibility, lateral width widening to consolidate space in a tunnel, and annual average daily traffic (AADT) per lane. These results may be used in the future as analysis indicators when drawing up plans to prevent crashes in longitudinal tunn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