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추시

검색결과 754건 처리시간 0.049초

거대세포종의 보조 요법으로의 전기소작술 (Electrocautery as Adjuvant Treatment of Giant Cell Tumor)

  • 한정수;김세동;박성혁;김정래;신덕섭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22
    • /
    • 2006
  • 목적: 거대세포종의 치료에서 보조요법으로 전기소작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추시하여 종양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부터 2004년까지 두 곳의 대학병원에서 치료한 94례의 거대세포종 중 보조요법으로 전기소작술을 시행하였던 4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방법은 종양부위의 피질골에 창을 충분한 크기로 내고, 큐렛과 speed bur를 이용한 철저한 소파술 후 Bovie로 전기 소작술을 시행하였고, 추시 환자의 의무기록과 방사선 사진들을 조사하여 임상적 및 종양학적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 44개월의 추시 기간 중 국소재발은 8례(17%)에서 있었고, 폐전이는 1례에서 발견 되었다. Bovie를 이용한 전기소작술로 인한 합병증 또한 1례(화농성 슬관절염)에서 있었다. 결론: Bovie를 이용한 전기소작술은 거대세포종의 수술 중 사용하는 다른 보조요법에 비하여 비교적 간편하면서도, 재발율이 다른 방법에 비하여 높지 않다는 점에서 유용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 PDF

견봉 쇄골 관절의 급성 완전탈구에 대한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the Acu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 이광원;황인식;최원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권2호
    • /
    • pp.175-179
    • /
    • 1998
  • 저자들은 1990년 1월부터 1997년 1월까지 을지의과대학병원 정형외과에서 급성 견봉쇄골관절 탈구로 진단 받고 Phemister 방법, Bosworth 방법, Weaver와 Dunn의 방법 등으로 수술 받은 70례의 환자에 대하여 이중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60례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상 후 평균 오구쇄골 간격은 건측과 비교시 평균 7.l㎜의 차이를 보였는데 수술 방법에 상관없이 수술 후에는 평균 1㎜의 과교정, 최종 추시 시에는 평균 2㎜의 차이를 보였다. 2. 임상적 평가에서는 우수 23례(38%), 양호 31례(52%), 보통이 6례(10%)를 보여 대부분 좋은 결과를 얻어 최종 추시 시의 오구쇄골 간격 증가의 정도가 임상적 결과를 좌우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P>0.05)

  • PDF